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원자력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던 중 전화벨이 울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다시 시작됐다. 이번엔 스마트폰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과 삼성전자를 직접 언급하며 오는 6월 말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스마트폰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7월과 9월 각각 신제품 공개를 앞둔 삼성전자와 애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 할 경우 신제품 스마트폰의 가격이 인상이 불가피하고, 소비자 부담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판매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스마트폰에 25% 관세 예고
서울 중구 명동 애플스토어에서 시민들이 이날 출시된 애플의 스마트폰 '아이폰 16시리즈'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외에서 생산된 스마트폰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날 오전 그는 소셜미디어에 “애플은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을 경우 25%의 관세를 납부해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삼성전자도 대상으로 지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삼성을 비롯해 그 제품(스마트폰)을 만드는 다른 기업도 포함된다. 그렇지 않으면 불공정하다”며 “그들이 여기(미국)에서 만들면 관세가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제조사들의 생산기지 미국이전 가능성은 희박하다. 애플 전문 애널리스트 밍치궈는 “애플 입장에서는 25% 관세를 감수하는 것이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보다 수익성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25% 관세 부과에 대해 “자극적인 헤드라인이지만, 향후 애플 실적에는 완만한 역풍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애플은 아이폰의 80%를 중국, 20%를 인도 등지에서 만든다. 삼성은 베트남 50%, 인도 30%, 국내와 기타지역 20%다.



삼성·애플 직격탄…“특정 기업 유불리 없어”
전자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도 ‘불공정’ 논리를 꺼내 든 데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1기였던 2019년에는 오히려 “공정하지 않다”며 애플에 관세 면제 특혜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당시 베트남과 인도에서 제품을 생산하던 삼성전자가 대중 관세를 피하게 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도 삼성과 비슷한 기준으로 대우해야 한다”며 일부 애플 부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했다.

6년 전 삼성전자의 과도한 수혜를 의식해 애플에 특혜를 줬던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는 삼성과 애플 모두에 동일한 부담을 부과한 셈이다. 오히려 삼성전자 입장에선 형평성 측면에서 유리한 환경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나 삼성 입장에선 어느 쪽이 불리하거나 유리하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수요 위축으로 번지나
아니카 비존 영국 법인 MX사업부 마케팅 부문 디렉터가 지난해 7월 10일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4에서 삼성 A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제는 스마트폰 수요 위축이다. 스마트폰에 관세가 적용될 경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고, 교체 주기 연장이나 중고폰 시장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삼성과 애플 모두 수익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당장 오는 7월 뉴욕에서 폴더블폰 신제품 공개(언팩)를 앞둔 삼성전자는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폴더블폰은 일반 바형 스마트폰보다 가격대가 높지만, 애플이 아직 시장에 출시하지 않은 제품군인 만큼 삼성전자가 미국 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제품이다. 관세 여파와 가격 책정에 따른 판매량과 수익성 사이의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위 애플(65%)에 이어 삼성전자가 18%를 차지했다.
김경진 기자

통상 9월에 신제품을 공개해온 애플 역시 고민스럽긴 마찬가지다. 보편관세 10%가 부과된 상황에서 애플은 미국 판매용 아이폰을 인도산으로 대체하며 대응했지만, 관세 부담은 여전히 컸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 실적 발표에서 “새로운 관세가 추가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약 9억달러(약 1조20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향후 스마트폰 관세 25%가 적용될 경우 비용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상호관세는 국가 간 협상의 여지가 있지만 품목별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관되게 추진해온 사안인 만큼 실제 부과 가능성이 높다”며 “결국 기업들이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96 트럼프 “일본제철, US스틸 일부 소유권만 갖게 될 것”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5 이준석 "노무현 정부 '대통령 과학장학생'과 '노무현 장학생'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4 이재명 "北인권 개선노력…軍 핫라인 복원, 국민공감하는 남북대화"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3 김용태, 개혁신당에 "단일화 조건 제시해달라…기적 만들 것"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2 "고객과 소통 중시한다"던 스타벅스, 결국 키오스크 도입 왜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1 고객 소통 강조하던 스타벅스, 한국·일본서 키오스크 첫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90 휠체어 탄 남성, 라이터로 배달 음식 포장 뜯으려다 3도 화상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9 트럼프, EU에 대한 50% 관세 “7월 9일까지 유예”…“대러 추가 제재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8 쿠팡서 주문 폭주하더니‥중고거래 플랫폼에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7 직장 동료 결혼 축의금 5만원은 옛말?…고물가에 10만원 대세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6 [속보] 李 "한미일 협력 견고히…北 핫라인 복원 남북대화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5 "SKT 해킹 이후 '한국소비자원' 사칭 악성 앱 늘어"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4 이준석 "김문수·이재명·황교안 단일화하길‥그 외 단일화 관심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3 김현태 前707단장 등 '내란 혐의' 군인 7명 내주 첫 재판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2 "국민연금 믿지 않아요" 2030의 시선으로 본 연금개혁 [대선, 내 삶을 바꿀까⑥]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1 1인가구 느는데도 대형 아파트값은 왜 신고가 행진?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80 [인터뷰] “中 목표는 아시아 장악...대만 침공 시 한국도 전쟁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79 108년 만의 등급 강등‥숨은 위험은? [뉴스 속 경제]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78 레오 14세, 로마 주교좌 착좌식 거행… 中 신자 언급도 new 랭크뉴스 2025.05.26
48177 이재명 “北인권 개선되도록 노력…軍 핫라인 복원” new 랭크뉴스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