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미국·일본 공동 국부펀드’ 조성을 제안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손 회장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공동 국부펀드 조성 방안을 논의했고, 미·일 양국 고위급 정부 관계자들도 이 같은 구상을 보고받았다.
미국 재무부과 일본 재무성이 상당한 지분을 출자해 펀드를 구성한 뒤 공동으로 소유·운영하는 게 이 계획의 골자다. 이에 더해 제한적인 파트너 투자자를 유치하거나, 미국·일본의 일반 국민들이 소량의 지분을 보유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동 국부펀드 구상은 양국 정부 모두에 수입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가 대규모 투자자의 공장·인프라 건설 투자에 대해 감면해 준 세금을 국부펀드를 통해 직접 투자 수익으로 환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한 관계자는 “베선트 장관은 증세 없이 세수를 늘릴 방안을 모색해 왔으며, 이론적으로 공동 국부펀드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베선트 장관은 새로운 국가 대 국가 금융 구조의 청사진을, 일본은 적절히 통제된 계약을 통해 백악관 정치의 즉흥성으로부터 보호받을 방법을 원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펀드가 효율적으로 기능하려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할 전망이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초기 자금만 3000억달러(약 4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FT에 따르면 손 회장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공동 국부펀드 조성 방안을 논의했고, 미·일 양국 고위급 정부 관계자들도 이 같은 구상을 보고받았다.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지난 2월 4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의 회동을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미국 재무부과 일본 재무성이 상당한 지분을 출자해 펀드를 구성한 뒤 공동으로 소유·운영하는 게 이 계획의 골자다. 이에 더해 제한적인 파트너 투자자를 유치하거나, 미국·일본의 일반 국민들이 소량의 지분을 보유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동 국부펀드 구상은 양국 정부 모두에 수입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가 대규모 투자자의 공장·인프라 건설 투자에 대해 감면해 준 세금을 국부펀드를 통해 직접 투자 수익으로 환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한 관계자는 “베선트 장관은 증세 없이 세수를 늘릴 방안을 모색해 왔으며, 이론적으로 공동 국부펀드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베선트 장관은 새로운 국가 대 국가 금융 구조의 청사진을, 일본은 적절히 통제된 계약을 통해 백악관 정치의 즉흥성으로부터 보호받을 방법을 원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펀드가 효율적으로 기능하려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할 전망이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초기 자금만 3000억달러(약 4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