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애플 매장에 아이폰이 전시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관세 부과 위협 속에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 확대를 꾀하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소 25% 관세’를 무기로 ‘미국 생산’을 압박하고 나섰다. 삼성전자도 관세 대상으로 콕 집어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애플에만 관세를 부과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삼성이나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6월 말부터 스마트폰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이곳(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는 없다”고 했다. 그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에게 ‘인도로 가는 건 괜찮지만 관세 없이 미국에서 제품을 팔 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발언은 그가 같은 날 SNS에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뒤 나왔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와 반도체가 들어간 전자기기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중국에서 아이폰의 80%를 생산하는 애플은 미·중 관세 전쟁 격화로 중국산 제품이 고관세를 물게 될 가능성이 커지자 인도 내 공급망 확대에 나섰다. 미국 시장에 내놓을 아이폰 대부분을 비교적 관세 부담이 덜한 인도에서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는 애플 위탁생산업체 폭스콘이 인도에 15억달러 규모의 부품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시장에선 애플이 관세 부담을 감수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오래전부터 애플이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가격이 3배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돼왔다. 애플 전문 분석가 궈밍치는 SNS에 “수익성 측면에서 보면, 아이폰 조립 라인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보다 25% 관세를 부담하는 편이 애플에 유리하다”고 썼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한다는 구상은 실현 불가능한 동화 같은 이야기”라고 평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관세 정책을 내놓을지는 불확실하다. 애플을 비롯한 기업들이 협상을 벌여 조정을 이끌어낼 가능성도 있다. 애플이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해 생산 라인의 극히 일부분을 미국 내로 옮기는 등 상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베트남을 주요 스마트폰 생산기지로 두고 있는 삼성전자도 불확실성에 놓여 있다. ‘25%’라는 수치까지 거론된 만큼 다각도로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상황이 계속 바뀌고 있어 실제 관세가 어떻게 책정될지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