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계속된 경기 침체로 문을 닫는 소상공인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대출도 가파르게 늘면서, 소상공인 문제에 점점 더 경고등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김준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소기업중앙회 집계 결과,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은 6천억여 원 지급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5천4백억여 원 지급됐는데, 이보다 11% 정도 늘었습니다.
노란우산 공제는 소상공인이 가입하는 일종의 보험으로, 폐업할 때 보험금 성격의 공제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폐업 공제금 지급이 급증하는 건 폐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 뜻입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나간 폐업 공제금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의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제도가 도입된 이래 역대 최대 수준입니다.
소상공인의 대출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빅데이터 기업인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를 보면, 1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의 대출 잔액은 719조 원 정도였습니다.
지난해 1분기 말보다 15조 원 정도 증가했습니다.
내수 부진으로 평균 매출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대출이 느는 건 향후 부담을 가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빚을 못 갚아 채무조정제도를 이용하는 소상공인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채무조정제도인 새출발기금 누적 신청액은 지난달 말 20조 3천억여 원으로 20조 원을 넘었습니다.
지난해 11월 말에 15조 원을 돌파한 이후 5개월 만입니다.
대선 이후 소상공인 문제가 주요 정책 의제 중 하나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