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갈이,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모두 수면장애의 한 종류다. 이갈이가 치과와 연관이 있다는 건 쉽게 떠올릴 수 있지만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치과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의문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은 모두 구강이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치과에서 만드는 교합 안정장치나 턱 견인 장치 같은 구강 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 약 처방이나 보톡스 같은 부가 치료를 병행하면 치료 효과는 더욱 좋아진다.

그렇다면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 두 증상 모두 수면 중 기도가 좁아져 발생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코골이는 누운 상태에서 턱과 입천장의 부드러운 목젖 부위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면서 기도가 좁아지고 이때 목젖이 떨리며 소리를 내는 것이다.

반면 수면 무호흡증은 잠자는 동안 기도가 좁아져 일정 시간 동안 숨을 쉬지 못하는 현상이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코골이도 함께 동반된다. 특히 얼굴을 옆에서 보았을 때 아래턱이 뒤로 들어가 있는 경우, 즉 아래턱이 작고 후퇴된 얼굴형을 가진 사람들은 기도가 좁아져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더 자주 나타난다.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수면 다원검사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이갈이, 잠꼬대, 수면 부족 등과 관련한 이상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다. 검사 방법은 근육과 머리 부위에 측정 장비를 부착한 후 병원에서 하룻밤 자면서 진행되며 수면 중 호흡의 흐름, 깊은 잠의 유무, 근육의 긴장도 등을 기록하고 분석해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이갈이는 소아기에도 흔하게 나타나며 보통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질환이다.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30~60세 연령층에서 시간당 5회 이상의 무호흡-저호흡이 나타나는 수면 호흡장애가 남성의 24%, 여성의 15%에서 관찰되었으며 주간 졸음증을 동반한 수면 무호흡증은 남성 4%, 여성 2%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40~69세 연령대 남성의 27%, 여성의 16%에서 수면 호흡장애가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으며 남성의 경우 4명 중 1명이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겪고 있다는 결과가 있다. 만일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로감이 지속된다면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증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음주와 비만이 지적된다. 실제로 체중을 감량하면 코골이와 무호흡증이 줄어든다는 여러 보고가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자는 동안 산소를 불어넣어주는 양압기(CPAP)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넣어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효과는 입증되어 있지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여름철에는 착용이 어렵다.

이에 비해 치과에서 제작하는 장치는 마스크 없이 착용이 가능해 더욱 편리하다. 구강 내 장치, 하악 전방 유도 장치, 기도 확장 장치, 코골이 장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자는 동안 아래턱을 앞으로 당겨 기도를 넓히거나 입천장의 목젖 부위를 들어 올려 기도 공간을 확보해 증상을 줄여주는 원리다.

이러한 구강 내 장치는 치아에 맞춰 제작되며 아래턱의 위치를 기도가 열릴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로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치열, 턱의 위치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방사선 사진과 3차원 CT를 통해 기도의 폭과 넓이를 측정하고 진단한 뒤 환자 개개인에 맞는 장치를 맞춤 제작하면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단, 목젖이 과도하게 크거나 편도선이 비대해 기도를 막는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반적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라면 수술보다는 치과에서 제작하는 보존적 치료장치만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김현종 서울탑치과병원 원장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32 “월 500만원 간병 파산 지경”… ‘지속가능한 돌봄’ 요구 커져 랭크뉴스 2025.05.27
48531 고민시 측, 학폭 의혹에 “명백한 허위…법적 조치 진행” 랭크뉴스 2025.05.27
48530 이재명 옆집 GH 숙소가 비선캠프라고?…검찰, 3년 끌다 ‘무혐의’ 결론 랭크뉴스 2025.05.27
48529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확실시 랭크뉴스 2025.05.27
48528 한국전쟁 참전 '지한파' 미국 랭글 전 의원 별세... 향년 94세 랭크뉴스 2025.05.27
48527 "큰맘 먹고 헬스장 등록했는데 문 닫았다네요"…공정위, '먹튀 헬스장' 막는다 랭크뉴스 2025.05.27
48526 베네수엘라, 이웃나라 영토 주지사에 軍장성 선출…갈등 예고 랭크뉴스 2025.05.27
48525 [사설] 경쟁 후보 좋은 공약 수용하는 큰 선거 하길 랭크뉴스 2025.05.27
48524 “단일화 가능성 0%” 못 박은 이준석… 국힘서도 자강론 확산 랭크뉴스 2025.05.27
48523 “힘든 시간 알아채지 못해”…숨진 제주교사 제자들의 추모 편지 랭크뉴스 2025.05.27
48522 “선생님의 억울함을 들어주세요” 랭크뉴스 2025.05.27
48521 부산 수영구 선관위, 대선 현수막 문구 승인 번복 랭크뉴스 2025.05.27
48520 메르츠 “이스라엘, 더는 이해할 수 없어”…독일도 이스라엘 정면 비판 랭크뉴스 2025.05.27
48519 "사람처럼 주먹질·발차기"‥중국에서 세계 첫 로봇 격투대회 랭크뉴스 2025.05.27
48518 한낮 강남서 외제차 돌진하더니 '쾅'…경찰 "차 안에 마약 의심 물질" 랭크뉴스 2025.05.27
48517 [사설] 미·유럽 ‘脫탈원전’ 바람, 대선후보 원전 생태계 복원 나서라 랭크뉴스 2025.05.27
48516 "마취 못하고 골절 수술"…WHO, 가자지구 의료위기 경고 랭크뉴스 2025.05.27
48515 일본, 대미 관세협상에 쇄빙선을 카드로 쓴다…기술 더 앞선 한국도 주목 랭크뉴스 2025.05.27
48514 오픈AI, 한국 법인 만든다…“챗GPT 애용 AI선도국과 협력” 랭크뉴스 2025.05.27
48513 [Today’s PICK] 임대인의 보증사고 이력, 전세 계약 전 알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