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내란 심판', 김문수 '反 방탄독재', 이준석 '동탄 모델'
지지층 결집 가속, 막판 단일화 변수 주목…각당 "언행 자제령" 실점 최소화 부심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
(안양·안동·수원=연합뉴스) 24일 안양에서 집중유세하는 이재명 후보(왼쪽부터), 안동 방문한 김문수 후보, 수원에서 유세하는 이준석 후보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김영신 곽민서 기자 = 대선이 9일 앞으로 다가온 25일, 요동치는 지지율 속에 남은 선거운동 기간 판세를 자신에게 유리한 구도로 가져가기 위한 후보들의 '프레임 전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이번 대선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파면으로 치러진다는 점에서 '내란 극복 선거' 프레임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도덕성 측면에서 이재명 후보와 대비하는 동시에 '반(反) 방탄독재' 프레임을 내세우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앞선 두 후보에 대한 반감을 극대화해 역전을 노리는 '동탄 모델'에 주력하고 있다.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지지층의 결집이 가속하는 가운데 김문수·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여부 등 막판 변수도 주목된다.

이재명 지지율 주춤, 김문수·이준석은 추격
정치권의 이목은 지난 22∼24일 잇따라 발표된 대선 후보 여론조사 결과에 집중됐다.

22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19∼21일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46%, 김문수 후보는 32%, 이준석 후보는 10%를 기록했다.

23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 결과(20∼22일 조사)에선 이재명 후보 45%, 김문수 후보 36%, 이준석 후보 10%였다.

이어 전날 발표된 리얼미터 조사 결과(22∼23일 조사)는 이재명 후보 46.6%, 김문수 후보 37.6%, 이준석 후보 10.4%였다.

수치는 조금씩 달랐지만, 이재명 후보의 '과반 지지율'이 깨진 가운데 김문수·이준석 후보가 추격하는 양상은 공통됐다.

특히 김문수·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을 단순 합산하면 이재명 후보와 오차범위 내 접전이라는 점, 그리고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두 자릿수로 올라왔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깜깜이' 기간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관건은 이러한 지지율 변동 추세가 지속되느냐, 또는 반전하느냐다.

NBS·한국갤럽·리얼미터 조사 결과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재명 "내란 심판" 김문수 "反 방탄독재" 이준석 "동탄"
이재명 후보는 지지율이 다소 주춤해졌지만, 여전히 각종 여론 조사상 선두를 달리고 있다. 단일화를 가정한 양자 대결에서도 오차범위 밖 우세다.

이재명 후보는 대선 후반 레이스에서 우위를 굳히기 위해 이번 선거의 가장 큰 의미가 '내란 극복'이라는 점을 연일 강조하는 모습이다.

그는 전날 유세에서 "이재명이 밉더라도, 민주당이 좀 마음에 안 들더라도 결코 내란 세력을 지지하거나 기회를 다시 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는 전날 유세에서 계엄과 탄핵을 거론, "여러 가지로 부족했던 점이 많았던 것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몸을 낮춤으로써 '내란 프레임' 극복을 시도했다.

김문수 후보는 "제 측근 중 한 사람도 부정부패 비리로 자살하거나 의문사한 사람이 없다"며 이재명 후보를 "온갖 흉악한 죄를 지어서 문제가 많은 사람"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지난 22일 "방탄 독재를 반드시 깨부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후보가 집권할 경우 입법·행정·사법부를 모두 장악할 것이라는 공세다.

이준석 후보는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해 전날 "100% 안 한다"고 단언했다.

이준석 후보는 "국민이 받아볼 투표용지에는 기호 4번 개혁신당 이준석의 이름이 선명히 보일 것"이라며 지난 총선에서 3자 구도 속 승리했던 '동탄 모델'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열하루 앞으로 다가온 대선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제21대 대선을 열하루 앞둔 23일 서울 마포구 공덕오거리에 대선 후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5.5.23 [email protected]


매 선거 단골 변수 후보 단일화…이번에도 구도 바꿀까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진영 간 결집 양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가장 주목되는 변수는 사전투표(29∼30일) 전 김문수·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여부다.

단일화에는 '깜깜이' 직전 여론조사 추이가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두 후보가 지지율 상승세를 이어갈지, 또 상승 폭은 얼마나 될지 등에 따라 성사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민주당은 보수 후보 단일화에 대비해 '심판론' 구도를 키우는 한편, 단일화 여부에 따라 중도층 표심이 크게 좌우될 수 있다고 보고 경제·안보 등 의제에서 중도 확장에 막판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함께 최근 주한미군 철수설, 중국의 배타적경제수역 항행 금지구역 설정 등 안보 이슈가 떠올랐다.

국민의힘은 '민주 정권 안보 취약' 공세를, 민주당은 '계엄으로 안보를 망친 정권 심판' 공세로 충돌할 전망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남은 기간 안보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다. 과거에는 '북풍'이었다면, 지금은 '중풍'인 상황"이라며 "중도층 소구를 위해서는 안보 선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역에 생중계되는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23일 서울역 대합실 TV로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가 생중계되고 있다. 2025.5.23 [email protected]


한번 남은 후보 토론회…실언 등 돌발 리스크 최소화 부심
남은 기간 후보나 각 당 인사들의 실언 등 돌발 논란도 막판 판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오는 27일 열릴 마지막 후보자 토론회도 변곡점으로 꼽힌다.

각 당은 내부에 '언행 주의령'을 내렸으며, 논란이 될 만한 일이 발생하면 더 커지기 전 조기에 차단하는 데 애쓰고 있다.

한 예로 민주당 내에서 '비법조인 대법관' 법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비판 여론이 조성되자, 이재명 후보는 전날 "신중해야 한다", "섣부르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고 당내에 불필요한 논쟁을 만들지 말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남은 기간 선거 운동 기조를 '간절·절박·겸손'으로 세우고 율동도 절제하기로 했다. 최근 당 인사들이 유세장에서 춤을 추는 것이 과도하고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계엄과 탄핵에 사과하며 몸을 낮췄다. 김문수 후보는 전날 대구·경북 유세에서 계엄·탄핵을 거론하며 사과의 의미로 매번 큰절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2 전문가들 "한은, 0%대 저성장 위기에 29일 기준금리 낮출것" 랭크뉴스 2025.05.25
47721 김문수·이준석, '마이웨이' 가나…단일화 '1차 시한' 넘겨 랭크뉴스 2025.05.25
47720 [똑똑한 증여] “재혼 전 받은 재산까지 토해내”… 아버지 사망 후 돌변한 새엄마 랭크뉴스 2025.05.25
47719 한해 지구 1049바퀴…서울 지하철 기관사 허리 ‘빨간불’[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5.05.25
47718 ‘커피 끊어야 하나…’ 스벅, 저가, 믹스 다 오르는 커피값에 소비자들 고민 랭크뉴스 2025.05.25
47717 '3축체계' 안 보이는 이재명, 美에 달린 확장억제 김문수 [이철재의 밀담] 랭크뉴스 2025.05.25
47716 슈퍼마이크로 CEO “韓 점유율 25% 목표…턴키로 액체냉각 문턱 낮출 것” 랭크뉴스 2025.05.25
47715 삼바 인적분할에 '파운드리' 이목…삼성 '아픈 손가락' 된 이유 랭크뉴스 2025.05.25
47714 레오 14세, 교황청 '콘클라베 보너스' 복원…1인당 78만원 랭크뉴스 2025.05.25
47713 일부지역 오후 소나기…15도 안팎 큰 일교차 주의 랭크뉴스 2025.05.25
47712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 소비 습관의 심리학 [박지수의 재테크 바이블] 랭크뉴스 2025.05.25
» »»»»»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요동치는 지지율에 '프레임 전쟁' 가열 랭크뉴스 2025.05.25
47710 트럼프 "美아이 10명 중 4명 만성질환"…범인은 '이 시럽'? 랭크뉴스 2025.05.25
47709 트럼프 보란듯…찰스 3세, 캐나다 의회서 '왕좌의 연설' 랭크뉴스 2025.05.25
47708 "엔비디아, 美 규제 피해 중국용 저가형 블랙웰 출시 예정" 랭크뉴스 2025.05.25
47707 "월급 15만원도 밀려, 받으러 갔다가 감옥행"…中 임금체불 시위 연이어 발생 랭크뉴스 2025.05.25
47706 “취업 된 줄 알았어요”…태국서 납치됐다 보름만에 구출된 한국인,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5.25
47705 김문수 ‘전광훈 구속에 눈물’ 과거 부정하며 “이재명 거짓말” 랭크뉴스 2025.05.25
47704 이재명 “비법조인에 대법관 자격, 제 입장 아냐…당에 자중 지시” 랭크뉴스 2025.05.25
47703 애플, 美텍사스 주지사에 '앱스토어 책임법안' 거부권 행사 요청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