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공개 질문…“명태균과는 어떤 관계인가”
23일 ‘사회분야’ 티브이(TV) 2차 토론회에 나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왼쪽)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이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를 향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권성동 원내대표 등 내란 옹호 세력과 앞으로도 연합하지 않겠다는 대국민 선언을 할 수 있는가” 공개 질의를 던지며 답변을 요구했다. 또한 “명태균씨와 어떤 관계인가. 공생공조 관계인가” 물으며 관련 답변도 요구했다.
김민석 민주당 중앙선대위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2차 대선 티브이(TV) 토론 평가에 기초해 이준석 후보에 질문한다. 공개적으로 질문하니 공개적으로 답해달라”며 이렇게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 후보는 티브이 토론 과정에서 윤석열 정권을 탄생시킨 개장사의 책임에 대한 일체의 반성이 없는 ‘무반성’ 후보임을 드러냈고, 동시에 ‘명태균 게이트’에 관한 법적, 정치적 책임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도 확인됐다”고 했다. 이어 “이 후보의 진짜 꾀주머니는 명태균이라는 ‘이준석-명태균’ 아바타설과 결국 내란 세력과 연합할 수밖에 없을 거라는 ‘단일화 야합설’에 대한 국민적 답변이 필요하다는 점도 확인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이 후보의 순간순간 말 바꾸기 전력은 최근 (이 후보의) ‘단일화 불가’ 발언을 믿지 못하게 만든다”며 “말로는 제3의 길을 이야기하지만 본심은 보수 당권을 확보하기 위한 국민의힘 회귀가 아닌가. 혹시 이름만 개혁신당으로 바꾸는 보수 재통합을 생각하는 것 아닌가. 그런 내용이 국민의힘의 여러 제안과 함께 오갔던 것은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한동훈, 안철수 등 국민의힘 내의 비주류와의 당권 경쟁을 위해 김문수, 권성동 등 내란 옹호 세력과 앞으로도 결코 연합하지 않는다는 대국민 선언을 오늘 할 수 있는가” 공개 질문을 던졌다.
또한 김 위원장은 이 후보를 향해 명태균씨와의 관계를 밝히라고도 요구했다. 김 위원장은 “(명씨와) 멘토-멘티 관계인가. 공생공조 관계인가. 아니면 야밤의 삽질 사진을 찍어 페북에 올리는 삽질 페이스북 관계인가”라며 “왜 하필 이 시점에 특별한 관계도 없다면서 이 중요한 때 (명씨와) 통화했는가. 명씨의 뜻은 단일화인가, 독자완주인가” 묻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에 대해서는 “(대선 티브이) 토론 과정을 통해 김 후보의 전광훈식 정치철학이 확인됐다”며 “김 후보의 당선은 결국 윤석열 전 대통령의 단죄 실패와 면죄부 발급 및 사면의 길을 열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백범 김구 선생의 국적이 중국이었고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선조 국적이 일본이었다’는 김 후보 입장에 비춰볼 때 김 후보는 원천적인 대통령 무자격자”라며 “일제강점기 국적 문제에 대한 광복회 등의 비판에 대해 답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대선을 열흘 앞둔 이 날 김 위원장은 ‘선거 판세’와 관련해 “1·2위 간 격차가 좁혀지고 결국 국민후보 이재명과 내란후보 김문수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최종적으로는 지금보다 김 후보가 조금 상승하고 이준석 후보가 조금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당 지지율 격차 내의 박빙 승부냐, 안정적 정권교체냐가 막판 집중력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내란 극복의 초심 유지 △절제된 선거 운동 △간절한 투표 참여를 “안정적 승리를 위한 막판 3대 과제”로 꼽으며 “선거 막판 집중력을 높이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김문수·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과 관련해 “이 후보의 99% 내심과 김 후보 및 국민의힘 100%의 동기가 합쳐서 단일화가 시도되고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두 사람의) 합친 표는 양자의 단순 산술 합산보다 떨어질 것이라 확신한다”고 했다. 그는 그 이유로 “내란옹호냐 아니냐에 대한 양 지지층의 성격이 다르고 만약 단일화가 이뤄졌을 경우 야합에 대한 국민적 비판과 분노 때문”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대법관을 14명에서 30명까지 단계적으로 늘리고 비법조인도 대법관 임용 자격을 부여하는 법원조직법 개정안에 이재명 후보가 반대 의견을 표한 데 대해 “정권 교체에 집중하는 선거 시기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법안 통과 등에 대해서는 국민의 뜻이 모일 때까지 신중하게 접근하자는 당내 일반적 합의가 있었다”고 했다. 그는 “대선이 10일 정도 남아있는 상황에서 단일화된 당론으로 (관련 법안을) 실행하는 건 어렵지 않겠는가 예측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