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 보호 등 사이버 안보가 국민 행복의 기초입니다. " 베리 파르코 핀란드 내무부 사무차관이 지난 14일 서울에서 열린 ‘한-노르딕 포럼: 국가적 대비태세의 전망, 위기관리부터 디지털 보안까지’ 강연에서 한 말이다. 최근 국내에서 SKT 해킹으로 가입자 개인정보가 대거 유출되는 피해를 본 것과 관련해서였다.
파르코 차관은 이날 강연 직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핀란드를 뒤흔들었던 개인정보 해킹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소개했다. 핀란드의 심리치료 서비스 업체인 바스타모는 2020년 환자 데이터베이스(DB) 3만6000여건을 해킹 당했다. DB에는 이름·연락처·사회보장번호 등이 담겨 있었다.
결국 일은 터졌다. 해커는 정치인 등 300여명의 개인정보를 공개해버렸다. 자살시도 등 개인정보가 담긴 정신과 상담 내용이 공개되자 절망한 피해자가 목숨을 끊은 일도 있었다. 그런데 바스타모가 2019년 해킹을 당한 정황이 있었는데도 개인정보 침해를 제 때 신고하지 않았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바스타모는 결국 엄벌에 처해졌다. 왜 그랬을까?
파르코 차관은 "해킹 사실이 알려진 직후, 핀란드 정부는 신속하게 해결책을 강구했다"고 말했다. 당시 마리아 오히살로 내무부 장관은 "보안 침해 사건 피해자에게 신속한 위기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피해를 본 개인들의 회복이 먼저였다. 2020년 해당 건으로 2만2600명 이상이 범죄 피해자의 상담·지원 기관인 '핀란드 피해자 지원센터'를 방문했다.
피해자 긴급 지원과 배상도 이뤄졌다. 피해자 중 3500명은 무료로 집단 소송에 들어갔고 일부는 500~1500유로(약 78만~235만원)의 보상금을 받기로 합의했다. 피해자 중 한 명에게 7000유로(약 1096만원)의 손해배상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한 판결도 있었다.
바스타모는 2021년 데이터 보호 규정 위반으로 60만8000유로(약 9억6696만원)의 벌금형을 받았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지 못했고, 개인정보 침해 신고 의무도 소홀히 한 것이 큰 문제”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바스타모는 사건 4개월여 만에 파산했다. 핀란드 정부는 프랑스로 도망간 당시 해킹 사건의 주범인 20대 해커 알렉산테리 키비마키를 집요하게 추적해 체포하는 데도 성공했다. 키비마키는 6년 3개월형을 선고받아 현재 복역 중이다.
핀란드는 평소 국민의 안전 의식이 투철하다고 파르코 차관은 소개했다. 그는 "핀란드에는 모든 국민이 72시간 동안 집에서 도움 없이도 외부 공격 등으로부터 버틸 수 있는 태세를 갖추라고 어릴 때부터 교육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핀란드 가정은 비상식수와 식량, 의약품, 보조 전력원 등을 준비해놓는다고 한다.
정부 차원에선 주로 인구 밀집 지역에 민방위 대피소를 운영한다. 핀란드 전체 인구(550만명)의 87%인 48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5만 500개 있다. 폭발 및 방사능, 유독성 물질을 견디게 설계돼 있다. 핀란드에선 바닥 면적이 1200㎡를 초과하는 건물이나 주택 단지는 법에 따라 방공호 설치가 의무다.
헬싱키 이타케스쿠스 수영장은 유사시에 3800명을 수용하는 민방위 대피소로 변신한다. 72시간 이내에 물을 비우고 방공호로 바뀐다. 야구장, 체육관 등을 갖춘 헬싱키의 메리하카 대피소는 6000명이 수용된다. 시민들이 매일 이용하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잘 된다.
이렇게 핀란드가 안보에 진심인 이유는 1340㎞ 국경을 러시아와 접하면서 전쟁을 겪었기 때문이다. 파르코 차관은 "과거 러시아와의 전쟁을 겪다보니 핀란드는 일상 속에서 국민들을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3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핀란드를 방문했을 때, 우크라이나의 방공호 시스템 개발을 핀란드가 돕기로 하는 국방 각서에 서명했다고 핀란드 국영 방송이 보도했다.
핀란드 국제문제연구소 선임 연구원인 마티 페수는 "국가 안보에 모든 국민들을 참여시키는 방식은 핀란드 정체성의 일부"라면서 "민방위 대피소는 국가가 국민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보여주는 물리적 증거"라고 전했다. 유리 예르비아호 주한 핀란드 대사는 "핀란드는 8년 연속 행복 국가 1위에 선정됐는데, 국민 행복도 안보가 튼튼하며 모든 상황에 대비하는 태세를 갖출 때 나온다"고 전했다.
파르코 차관은 이날 강연 직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핀란드를 뒤흔들었던 개인정보 해킹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소개했다. 핀란드의 심리치료 서비스 업체인 바스타모는 2020년 환자 데이터베이스(DB) 3만6000여건을 해킹 당했다. DB에는 이름·연락처·사회보장번호 등이 담겨 있었다.
베라 파르코 핀란드 내무부 차관. 사진 페이스북 캡처
해커는 이런 개인정보를 빌미로 환자와 업체를 협박했다. 특히 환자에게는 "개인정보를 비공개해주는 대신 비트코인으로 200유로(약 31만원)를 내라"는 내용의 e메일을 보냈다. "24시간 내로 돈을 안 보내면 500유로(약 78만원)로 올릴 것"이라는 위협도 했다. 업체 측엔 "비트코인으로 45만 유로(약 7억원)를 내라"고 협박했다.
결국 일은 터졌다. 해커는 정치인 등 300여명의 개인정보를 공개해버렸다. 자살시도 등 개인정보가 담긴 정신과 상담 내용이 공개되자 절망한 피해자가 목숨을 끊은 일도 있었다. 그런데 바스타모가 2019년 해킹을 당한 정황이 있었는데도 개인정보 침해를 제 때 신고하지 않았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바스타모는 결국 엄벌에 처해졌다. 왜 그랬을까?
파르코 차관은 "해킹 사실이 알려진 직후, 핀란드 정부는 신속하게 해결책을 강구했다"고 말했다. 당시 마리아 오히살로 내무부 장관은 "보안 침해 사건 피해자에게 신속한 위기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피해를 본 개인들의 회복이 먼저였다. 2020년 해당 건으로 2만2600명 이상이 범죄 피해자의 상담·지원 기관인 '핀란드 피해자 지원센터'를 방문했다.
피해자 긴급 지원과 배상도 이뤄졌다. 피해자 중 3500명은 무료로 집단 소송에 들어갔고 일부는 500~1500유로(약 78만~235만원)의 보상금을 받기로 합의했다. 피해자 중 한 명에게 7000유로(약 1096만원)의 손해배상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한 판결도 있었다.
핀란드에서 해킹 사건을 저지른 키비마키. 사진 유튜브 캡처
핀란드 정부는 사회적 신뢰가 크게 흔들렸다고 판단해 디지털 보안 투자와 관련법 강화에 나섰다. 개인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개인정보와 관련한 피해 또는 상당한 불편을 초래한 경우, 데이터 주체의 사생활 침해죄로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있게 법을 강화했다.
바스타모는 2021년 데이터 보호 규정 위반으로 60만8000유로(약 9억6696만원)의 벌금형을 받았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지 못했고, 개인정보 침해 신고 의무도 소홀히 한 것이 큰 문제”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바스타모는 사건 4개월여 만에 파산했다. 핀란드 정부는 프랑스로 도망간 당시 해킹 사건의 주범인 20대 해커 알렉산테리 키비마키를 집요하게 추적해 체포하는 데도 성공했다. 키비마키는 6년 3개월형을 선고받아 현재 복역 중이다.
유튜브
핀란드엔 민방위 대피소만 5만개, 국민 87% 수용 "집에 비상식수 10L랑 무선 라디오는 다 갖고 계시죠?"
핀란드는 평소 국민의 안전 의식이 투철하다고 파르코 차관은 소개했다. 그는 "핀란드에는 모든 국민이 72시간 동안 집에서 도움 없이도 외부 공격 등으로부터 버틸 수 있는 태세를 갖추라고 어릴 때부터 교육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핀란드 가정은 비상식수와 식량, 의약품, 보조 전력원 등을 준비해놓는다고 한다.
2025년 3월 27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촬영된 이타케스쿠스 수영장. AFP=연합뉴스
정부 차원에선 주로 인구 밀집 지역에 민방위 대피소를 운영한다. 핀란드 전체 인구(550만명)의 87%인 48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공호가 5만 500개 있다. 폭발 및 방사능, 유독성 물질을 견디게 설계돼 있다. 핀란드에선 바닥 면적이 1200㎡를 초과하는 건물이나 주택 단지는 법에 따라 방공호 설치가 의무다.
헬싱키 이타케스쿠스 수영장은 유사시에 3800명을 수용하는 민방위 대피소로 변신한다. 72시간 이내에 물을 비우고 방공호로 바뀐다. 야구장, 체육관 등을 갖춘 헬싱키의 메리하카 대피소는 6000명이 수용된다. 시민들이 매일 이용하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잘 된다.
핀란드의 민방위 대피소 모습. 사진 헬싱키타임스 캡처
이렇게 핀란드가 안보에 진심인 이유는 1340㎞ 국경을 러시아와 접하면서 전쟁을 겪었기 때문이다. 파르코 차관은 "과거 러시아와의 전쟁을 겪다보니 핀란드는 일상 속에서 국민들을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3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핀란드를 방문했을 때, 우크라이나의 방공호 시스템 개발을 핀란드가 돕기로 하는 국방 각서에 서명했다고 핀란드 국영 방송이 보도했다.
핀란드 국제문제연구소 선임 연구원인 마티 페수는 "국가 안보에 모든 국민들을 참여시키는 방식은 핀란드 정체성의 일부"라면서 "민방위 대피소는 국가가 국민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보여주는 물리적 증거"라고 전했다. 유리 예르비아호 주한 핀란드 대사는 "핀란드는 8년 연속 행복 국가 1위에 선정됐는데, 국민 행복도 안보가 튼튼하며 모든 상황에 대비하는 태세를 갖출 때 나온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