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품 헤더
의뢰인은 경매 낙찰자였다.
소름 끼치는 사연이었다.

주변에서 종종 아파트가 경매로 넘어가는 걸 본다.
채무나 체납 때문에 집을 압류당하고 결국엔 소유권까지 넘기는 경우다.

의뢰인은 32평 아파트를 낙찰 받게 된 사람이었다.
원래 집주인은 84년생.
그 정도 입지에 그 정도 평형치고는 젊은 사람이었다.

낙찰자는 소위 ‘경매꾼’이라고 하는 전문가가 아니었다.
자신이 직접 살기 위해 집을 마련하다가 경매가 싸다는 소리를 듣고 물건을 구한 모양이었다.
그래서 ‘권리분석’이니 ‘점유’니 하는 골치아픈 문제와 해결 방법을 잘 몰랐던 것 같다.

시세보다 싼 값에 집을 마련했다고만 생각한 것이다.
이사 전에 인테리어를 하러 집에 갔더니 이전 집주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얼굴을 마주보고 상황을 해결하고 싶었지만 젊은 남성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전 집주인이 대화 자체에 응하지 않자 의뢰인은 현관문에 메모를 붙이기 시작했다.
낙찰자가 취할 수 있는 법적인 조치가 있지만 그냥 ‘상식적으로’ 해결하고 싶었다고 한다.

2, 3일에 한번 방문해 메모지로 퇴거를 호소한 것이다.
갈 때마다 메모지는 사라져 있었다.
젊은 남성이 보긴 봤다는 이야기다.

다만 그것이 전부.
응답도 없고 메모지만 떼어갈 뿐이었다.
두 달여에 걸친 지루한 메모지 호소전.

이지우 디자이너
그러다 어느날부터인가 메모지가 현관에 그대로 붙어있었다.
그제서야 불현듯 뒷목에 소름이 돋았다.
집을 비웠으면 뭐라도, 욕이라도 한 줄 남겼을 텐데….

의뢰인은 그때부터 온갖 안 좋은 상상이 가지를 치며 공포에 침식당하기 시작했다.

‘그가 죽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그의 집을 빼앗았기 때문에 그가 죽었다.
나 때문에 죽은 것이다…

내가 사람을 죽였다.

의뢰인의 잘못이 아니었다.
집을 빼앗은 것도 아니다.
원래 집주인이 여기 저기 빚을 지고 안 갚아 타인의 재산을 빼앗은 것이고, 의뢰인은 그의 빚을 대신 갚아주는 대가로 그 집을 얻은 것이다.

그랬을 뿐이다…라고,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싶었지만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불안한 마음에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단다.
가족의 신고가 있거나 특이사항이 있어야만 집 내부를 수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 소유의 집인데도 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
그렇지만 분명 그는 죽었을 거란 죄책감에 얼굴도 모르는 젊은 남성이 밤마다 꿈에 나타났다.
악몽이 겁나 잠도 못 이루고, 심신이 피폐해져 밥도 안 넘어갔다.
혹시나 싶어 다시 집을 찾아가면 나만 아는 죽음의 현장을 들여다보는 범죄자가 된 기분까지 들었다.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패닉의 시간이 2주나 지났다.
그제서야 봉쇄된 문이 열렸다.
이웃의 악취 신고였다.
경찰이 문을 열기로 했다.

그제서야 집주인인 자신에게 연락이 왔다고 한다.
그때 처음 들어간 ‘내 집’은 지옥 같았다.

(계속)

20대에 32평 아파트 구매, 수십 번의 해외여행.
유복했던 남자는 왜 40세에 스스로 삶을 끝냈을까. 김새별 씨는 5톤 쓰레기 더미 속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를 파멸로 이끈 충격적인 '로또'의 정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28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또 다른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미친개' 아들에 질려버렸다…엄마가 죽고 5년뒤 생긴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739

아빤 6년 만에 고독사했다, 엄마 이혼시킨 두 딸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5891

“내 삶 찾고싶다” 이혼 1년뒤, 전남편 울린 그녀의 약봉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9207

한여름, 어느 의사의 고독사…친형은 외제차 타고 나타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8749

남친과 절친의 ‘잘못된 만남’…바퀴벌레 속 그녀의 일기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4338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78 한동훈 "'친윤 구태 청산'이 이재명 민주당 이기는 유일한 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7 한예슬, 모델료 청구 소송 2심도 승소…"6억6000만원 지급하라"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6 [단독] 지인 신상까지 캐내 협박…불법이자 5억 뜯은 사채업자 징역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5 1초에 180개씩 팔린다는 ‘국민 커피’…“가격 또 오른다네요”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4 6억원 광고 모델료 못 받아 소송 건 한예슬… 고등법원 판단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3 ‘의원 끌어내라’ 지시에 충격 …‘잘못됐다’ 생각에 메모까지 [피고인 윤석열]⑧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2 “결혼하자”…‘환승연애’ 하며 4억 뜯은 40대 여성의 정체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1 ‘아이폰 최소 25% 관세’… 트럼프 “삼성도 해당”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0 주말 서울 곳곳 도로 통제…집회·마라톤·행사 줄줄이 예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9 포탄 자체 생산 늘리는 유럽… 韓 방산, 현지화로 대응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8 데이트앱 남성들과 '환승 연애'…4억 뜯어낸 40대 여성 수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7 공모펀드 살린다는 직상장 다가오는데… 운용사는 여전히 은행 눈치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6 사망설 돌던 '액션스타' 이연걸…14년 만에 전한 깜짝 근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5 [대선토론] 권영국, 김문수에 “사람 죽어도 책임 안지게 하는 게 기업하기 좋은 나라입니까?”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4 김문수 “전국 ’153만 채 빈집' 무상 임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3 삼성전자도 콕 찝었다...트럼프, 스마트폰 관세 언급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2 ‘진짜 총각’ VS ‘소방관 갑질’...이재명·김문수 네거티브 공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1 티치아노 그림에 숨겨진 방귀 유머 [休·味·樂(휴·미·락)]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0 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 李·金 격차 한 자릿수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59 트럼프 진영의 3대 토대가 흔들린다[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