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원자력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취재진과 대화하던 중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제조사가 미국이 아닌 해외에서 제품을 만들 경우 내달 말부터 관세 25%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삼성을 콕 집어 여기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원자력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 서명 후 가진 취재진과의 대화에서 미국에서 아이폰을 만들지 않으면 애플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거라고 한 자신의 소셜미디어 글과 관련해 “하나의 회사에만 부과할 수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더 많을 것이다. 삼성과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모든 회사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스마트폰 제조사는 어느 곳이든 6월 말부터 (관세 적용이) 시작될 것이다. 그들이 그 제품을 여기(미국)에서 만들면 관세가 없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을 경우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납부해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트럼프의 이날 발언은 스마트폰 제조사가 해외에서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들여올 경우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이 애플뿐만 아니라 삼성 등 모든 기업에 적용될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한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각 교역 대상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반도체와 스마트폰ㆍ노트북 등은 제외하겠다고 발표했었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25% 관세가 현실화하면 스마트폰 제조사는 물론 미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내달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관세 50%를 부과할 수 있다고 한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그들은 수년 동안 우리를 매우 나쁘게 대했다. 이제 제가 아는 방식으로 게임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50% 관세 위협’ 발언과 관련해 관세 유예 기간인 90일 내 협상을 희망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협상을 하려는 게 아니다”며 “무슨 일이 벌어질지 보겠지만 현재로선 그것(관세 부과)은 6월 1일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
법원 ‘하버드대 외국학생 등록 차단’ 제동
지난달 17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교육 정책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린 뒤 존 하버드 동상 주위에 시위대가 몰려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와 다른 대학들에 외국인 유학생을 받지 못 하게 한 조치를 중단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많은 것을 검토 중”이라며 “하버드대는 운영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미 매사추세츠 연방법원의 앨리슨 버로우스 판사는 국토안보부가 전날 내린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 취소’ 조치의 효력을 중단해 달라는 하버드대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버로우스 판사는 “(국토안보부) 조치가 시행되면 하버드대는 즉각적이고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버드대는 본안 재판이 이어지는 동안 SEVP 인증 자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