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대통령 선거 재외투표가 시작됐습니다. 사전에 등록한 유권자 수가 지난 대선보다 14% 더 늘었는데요.
◀ 앵커 ▶
투표 시작 첫날부터, 열기도 뜨거웠다고 합니다.
뉴욕 나세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재외투표 첫날, 베이징 주중대사관 투표소.
문을 열자마자 긴 줄이 생겼습니다.
한 가족은 차로 4시간을 달려왔습니다.
[최서희/중국 베이징]
"권리를 행사해야지 이게 권리가 유지되는 거잖아요. 여기서 직접 참가하는 게 중요한 거구나‥"
오늘부터 이곳 뉴욕을 비롯한 미주 지역에서도 투표가 시작됩니다.
오늘부터 엿새간 전 세계 118개국, 25만 8천여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게 됩니다.
등록 유권자는 3년 전 대선과 비교해 14%가 늘어났습니다.
[유재신/미국 버지니아]
"국가에 대해서 저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강제력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김지현/미국 뉴욕]
"타국에 가면 더 애국자가 된다고 하잖아요. 투표는 저의 권한이니까요. 이 권한을 반드시 행사를 해야겠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변은, 해외의 교민들에게도 큰 충격이었습니다.
[정재호/미국 로스앤젤레스]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 괜찮냐' 이렇게 계속 물어볼 때마다 참 속상하기도 하고 마음 아프기도 하고."
[조서윤/미국 뉴욕]
"전 세계 사람들의 관점도 더 많이 들을 수 있다 보니까. 이제 또 부끄럽지 않은 나라이고 싶고"
사는 곳도, 하는 일도 다르지만 더 나은 나라를 바라는 마음은 같았습니다.
[권아름/중국 베이징]
"아이가 자라는 세상과 환경이 참 건강하고 좋은 세상이었으면 좋겠다‥"
[나누리/일본 도쿄]
"사람들 좀 행복해질 수 있는 그런 평화롭고 민주적인 나라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재외투표지는 외교행낭을 통해 국내로 보내진 뒤 다음 달 3일 국내투표지와 함께 개표됩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나세웅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