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의료 공백 속 전국 뇌혈관 전문병원 4곳 수술 건수 전년比 37% 급증
'지역응급의료기관'에 묶여 응급환자 후송엔 걸림돌…"정부, 지원책 적극 살펴야"


뇌경색과 뇌출혈
[에스포항병원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뇌졸중 환자가 우리 병원에 바로 오면 더 빨리 치료받을 수 있다는 걸 많은 사람이 알지만 119는 권역을 벗어났다는 이유로, 또 '센터'가 아닌 '응급의료기관'이라는 이유로 환자를 잘 이송해주지 않습니다."

경북 포항에 위치한 뇌혈관 질환 전문 에스포항병원 김문철 원장의 목소리는 1시간 동안 답답함과 안타까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마련한 미디어아카데미 강연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뇌혈관질환 치료 실력과 그 이면에 가려진 응급의료시스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에스포항병원은 환자가 응급실에 들어와 수술대에 오르기까지 걸리는 시간(Door-to-puncture time)이 국내 평균 115분보다 25분이나 짧은 90분일 정도로 시스템과 수술실력이 정평이 나 있다. 포항과 경주, 울산 등지에서 연간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 1천600여명의 절반 이상을 이 병원에서 치료할 정도다. 심지어 거리가 먼 대구, 마산, 창원에서도 이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매년 늘고 있다.

지난 2008년 대학병원 신경외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현장 진료를 택한 김 원장과 그를 따르는 숙련된 의료진, 효율적인 시스템 덕분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이 병원은 초고령화 추세 속에 갈수록 늘어나는 뇌졸중 환자들이 제때 찾아오지 못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엎어지면 코 닿을' 30분 거리에 최적의 뇌혈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이 있지만, 행정적인 구획과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라는 한계 때문에 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사실상 뇌혈관 질환의 응급 치료와 큰 관련이 없는 응급의학과 의료진을 채용하지 않은 게 지역 응급의료기관에 머물러있는 주요 이유다.

이 중에서도 뇌졸중 선별 검사에서 양성 의심 판정을 받은 환자조차 혈전 용해 치료만 가능하고 수술이 불가능한 지역 의료기관을 먼저 거치도록 한 119 후송 규정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는 명백히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심뇌혈관 질환 센터에 대한 지원 정책 역시 엇박자를 내고 있다.

최대한 빨리 최종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환자를 후송하는 게 목표이지만, 턱없이 부족한 지원과 까다로운 선정 기준으로 인해 현장의 불만이 커지는 것이다.

김 원장은 "상급종합병원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동안, 실제 뇌혈관 질환 치료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전문병원들은 제대로 된 보상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발표하는 김문철 에스포항병원 원장
[촬영 김길원]


의료의 질 평가 지원금 역시 마찬가지다.

뇌졸중 치료에 특화된 뇌혈관 전문병원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평가 지표는 오히려 불이익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 원장은 "신생아 중환자실 유무, 결핵 검사 실시율 등 뇌혈관 질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항목들로 평가받는 현실은 전문병원의 사기를 저하하고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 구축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특히 보건복지부는 최근 2차 병원을 육성하기 위해 '필수특화 기능 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중복지원이라는 이유로 뇌혈관 분야를 제외해 대한신경외과학회와 중소병원 등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김 원장은 "뇌혈관 응급 환자를 위한 전문 인력과 인프라를 구축했음에도 응급 전달 체계에서 전문병원이 후순위로 밀리는 게 현실"이라며 "잘못된 시스템과 정책으로 골든타임을 놓쳐 병원을 찾는 환자를 보면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뇌혈관 전문병원들은 지난 1년간 이어진 의정 갈등 속에 대학병원의 의료 공백을 메우며 묵묵히 환자 생명을 지켜온 것으로 평가된다.

전국 4개 뇌혈관 전문병원의 수술 건수가 2023년 대비 2024년 36.8%나 증가한 것은 이들 병원이 지역은 물론 권역 내 환자까지 책임지는 핵심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따라서 이제는 정부가 뇌혈관 전문병원의 이런 역할에 화답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숙련된 전문 인력과 시스템을 갖춘 뇌혈관 전문병원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때 비로소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질환인 뇌졸중으로부터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화려한 테크닉' 뒤에 숨겨진 의료 현장의 절박한 외침에 정부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56 “모건스탠리가?” 다이먼 JP모건 CEO 비트코인 구매 허용한 까닭은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5 [현장+]인천서 해수부 부산 이전 언급한 李…"인천만의 발전 전략 세워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4 이재명 “윤석열, 본인 이긴 선거시스템도 부정선거인가…이해 안 가”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3 떠난 의사 대신해… 내달부터 간호사도 ‘피부 봉합’ 등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2 대형화재·선거 미끼 '노쇼' 사기 기승…"각별 주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1 "전광훈 내란 선동에 정신적 고통"…427명 손배소 제기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50 한화 “배관 교체 승인 받아” vs 軍 “협의 없어”… 호위함 결함 놓고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9 '새집론' 국힘, 이준석 유세도 찾아가 단일화 구애…李는 '거절'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8 400만 수험생 멘토 이지영, UNIST 인공지능 특임교수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7 이재명 "보호 넘어 복지" 김문수 "반려동물과 행복"··· 동물의 삶 나아질까 [H공약체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6 '부정선거 영화' 관람한 尹에 김용태 "반성하고 자중할 때"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5 “오히려 김건희 여사 소환됐다?” 질의에 김문수 답변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4 "로고송 시끄러워"…흉기든채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원에 항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3 “7월 시행 DSR 3단계” 서울·수도권·지방 시장의 향방은?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2 민주당 "김문수 '도지사 갑질' 논란, 불법후원 기업연관‥해명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1 中 "美, 화웨이 제한하면 제재"…왕이, 강경화 만나 반도체 언급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40 늙고 병들면 누가 날 돌봐줄까…“배우자” 제친 1위는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39 이재명 “국힘 조만간 ‘석고대죄 쇼’ 하겠지만…윤석열과 일심동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38 윤석열 전 대통령, 메가박스 깜짝 등장…전한길 作 다큐 관람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37 올해 1분기 ‘산재 사망’ 137명…대형사고 잦았던 건설업 7명 늘어 n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