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일 경남 김해시에서 한 시민이 대선 후보 포스터를 보고 있다. 문광호 기자


6·3 대선을 2주 앞둔 20일 인구 200만명에 가까운 ‘낙동강벨트’(서부산·경남 동부권) 민심이 심상치 않다. 매 선거 격전지로 분류됐지만 보수가 근소 우위였던 이 지역에서조차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12·3 불법계엄에 대한 여론은 싸늘하다. 탄핵 정국, 단일화 잡음에 국민의힘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지난 19일 역대 선거마다 격전지였던 낙동강벨트, 그 중에서도 초접전지였던 부산 강서구 명지동과 경남 김해 장유동을 찾아 대선 민심 들어봤다.

낙동강벨트는 보수가 우세한 지역이지만 민주당 진영 대통령(노무현·문재인)을 배출하기도 한 선거의 바로미터다. 2022년 대선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부산 강서구에서 53.50%를 득표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42.92%)를 10.58%포인트 앞섰다. 김해에서는 윤 전 대통령 49.33%, 이 후보 46.23%로 득표율 차가 3.1%포인트에 불과했다. 지난해 22대 총선에서는 부산 강서구에서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김해갑·을에서 민홍철·김정호 민주당 의원이 각각 당선됐다.

낙동강벨트에서 만난 시민들은 불법계엄 선포, 탄핵심판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느낀 실망감을 숨기지 않았다. 부산 명지시장에서 주차관리 일을 하는 곽병관씨(79)는 “이런 시절에 계엄이 어디 있나”라며 “이번엔 부산에서도 좀 다를 것이다. 박근혜 탄핵 때랑 달리 이번에는 완전히 이 사람(윤 전 대통령) 잘못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나처럼 나이 먹은 사람들도 보수에서 진보로 지금 많이 넘어갔다”며 “하는 꼬라지(꼴)를 보니 도저히 안 되겠다”고 했다.

강서구 명지동에 20년 넘게 거주한 김정호씨(50)는 이재명 후보를 뽑을 생각이라며 “탄핵됐을 때 잘못했다고 수긍했으면 국민의힘도 민심은 잃지 않았을 낀(텐)데 끝까지 죄가 없다고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니 이미 부산 민심은 다 잃었다. 주변에서도 다 돌아섰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국회의원 선거까지도 영향이 있을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뻔뻔하게 거짓말할 때 화가 났다. (군인들이 국회) 유리창 깨고 하는 걸 TV로 다 봤는데 재판 과정에서 고개 빳빳하게 들고···”라고 말했다.

김해에서도 정권 심판을 바라는 목소리가 컸다. 김해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한 60대 남성은 “국민의힘 이야기는 꺼내지도 말라. 요새 국민의힘 얘기하면 욕 들어 먹는다”며 “윤석열이 나라를 망하게 만들어놨지 않나. 너무 밉다”고 말했다. 김해에 거주하는 한 40대 여성은 “이재명 후보가 내란세력 심판을 앞장서서 제대로 해줄 것 같다”며 “회사 동료들끼리 말은 못하지만 바른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19일 부산 강서구 명지신도시의 모습. 문광호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에 대해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김해에서 원예업을 하는 한 60대 여성은 “국민의힘 사람들을 믿을 수가 없다”며 “김문수씨는 그렇게 뭐 22번이나 그렇게 (한덕수 전 총리와) 단일화한다고 하고서 자기가 올라가니까 말을 뒤집었다”고 했다. 그는 또 “김 후보는 나이도 많고 옛날에 경기지사 할 때 소방관한테 ‘도지삽니다’ 그것도 안 좋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보수 우위 지역인 만큼 “그래도 국민의힘”이라고 말하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다만 시민들은 불법계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실망감, 대선 패배 전망 등을 이유로 지지 후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기를 꺼렸다. 김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힌 시민들도 그 이유로 비전이나 능력에 대한 기대감보다 “이재명 후보가 싫어서”라고 말했다.

명지시장에서 지난 18일 열린 첫 TV토론 재방송을 보던 한 상인은 “투표하고 싶은 마음도 없는데 그래도 가서 찍어야 안 되겠나. 국민의힘 찍지 우리가 어딜 찍겠나”라며 “(대통령으로) 이재명이 자체가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가 좋아서는 아니라며 “매력이 없다”고 말했다. 명지시장의 다른 상인은 김 후보에 대해 “(국회에서) 다 일어나서 인사하라고 할 때도 자기 혼자만 안 일어나던데 그건 참 좋더라”라고 호평했다. 명지신도시에서 케이크 전문점을 운영하는 박효진씨(32)는 “(비상계엄은) 최악이었다. 주변에서 다들 미쳤다고 했다”면서도 “(이 후보는) 범죄자라 뽑기가 그렇다”고 말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를 보수의 대안으로 생각하는 시민도 있었다. 부산 강서구에서 노인 일자리 모니터링을 하는 서연숙씨(63)는 “국민의힘이 개혁을 해야 하는데 다 옛날에 했던 분들을 쓰고 불러들인다. ‘꼰대’들이 많다”며 “기득권들이 똘똘 뭉쳐갖고 새로운 사람, 좀 똑똑한 사람이 들어오면 다 쳐내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도 다 밑에서 조정하는 것”이라며 “젊은 이준석이라도 (단일 후보로) 밀면 뭔가 (보수가) 조금 바뀔 것 같은데 (현실적으로) 그것도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싸늘한 민심 탓인지 낙동강벨트의 선거전은 차분한 분위기 속 치러지고 있었다. 부산과 김해에서 만난 다수의 시민들은 대선을 언급하자 얘기할 것이 없다며 손사래를 쳤다. 국민의힘이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해에서 두부집을 운영하는 이재학씨(61)는 “이재명 (유세)차만 계속 돌아다닌다”며 “국민의힘은 눈 씻고 찾아볼래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차기 대통령에게 바라는 바는 경제 활성화였다. 부산 명지신도시에서 약사로 일하는 30세 여성은 “지방 경제가 좀 살아났으면 좋겠다”며 “다 서울로 가지 않나. 남아 있는 사람도 없고”라고 말했다. 부산에 거주하는 한 30대 남성은 “먹고 살기 바빠 정치에 관심이 없었다”며 “경제를 살리는 후보가 대통령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23 “쌀이 집에 넘쳐서 사본 적 없다” ‘보릿고개’ 와중 망언한 일본 농림수산상 결국 경질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22 "뒤 보여요?" 묻더니 두리번‥'돌발상황' 경호원 동공이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21 '민주당 입당' 김상욱 "이재명을 한때 오해했다... 존경하게 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20 국민의힘 “이재명, ‘불법 유흥주점 출입 의혹’ 해명하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9 "비서가 더 비싼 걸로 바꿔가"‥잃어버렸다더니 '대반전'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8 ‘백종원 사재 출연 검토’ 더본코리아, 이달 중 상생위원회 가동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7 김재원 "단일화 여건 성숙한 단계 아냐‥'이준석으로 단일화' 가능성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6 보성 청소년수련원서 중학생 10명 가스 중독 증세…병원 이송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5 이번 대선은 '계엄·내란 심판' 52% '민주당 심판' 35% [한국일보 여론조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4 국힘, 尹 '부정선거' 영화관람에 부글부글…"대선에 악재, 자중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3 ‘양자 테마’ 떨어질 때 상장하길 잘했네… 양자컴퓨터 ETF, 등락률 상위권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2 이재명 “공공갈등조정관 둘 것”…연 2천만건 민원 전담 비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1 “5월에 열대야 날씨?”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무더운 아침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10 이재명 "尹과 국힘 여전히 일심동체…국민 속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9 尹 '부정선거' 다큐 관람에 국힘 부글부글…"이재명 운동원이냐"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8 김문수, 윤석열 영화 관람에 “선관위 해명해야”…‘중도 확장’ 문닫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7 ‘설문조사인 줄 알았는데’… 대선 앞두고 피싱 문자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6 '중국 간첩 99명 체포 가짜뉴스 보도' 스카이데일리 기자 구속 기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5 '내란 우두머리' 피의자 나들이, 전한길과 무슨 영화를‥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04 충북 초등학교서 외부인 숨진 채 발견…학생들 한때 대피도 n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