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과 2시간 통화 뒤 직접 협상 강조
'30일 휴전' 불발 속 교황청에 중재 넘겨
빈손 통화 뒤 EU·英 러시아에 신규 제재
'30일 휴전' 불발 속 교황청에 중재 넘겨
빈손 통화 뒤 EU·英 러시아에 신규 제재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러시아에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해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사국 간 직접 협상을 하라”며 중재자 역할에서 한발 물러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재에 나선 후 실질적 진전을 이끌어내지 못한 트럼프 대통령이 현실적 한계에 부딪힌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 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2시간 넘게 통화한 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썼다. 이어 “협정 조건은 당사국이 정해야 한다. 외부 어느 누구도 세부 사항을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는 잠재적인 평화협정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다만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30일 무조건 휴전’은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푸틴으로부터 실질적 양보를 얻어내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주일 전까지만 해도 푸틴을 향해 강도 높은 압박을 쏟아냈다. 트럼프 행정부는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법안까지 추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정상회담을 하면 자신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바 있다.
하지만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는 유보적으로 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티칸을 협상 장소로 제안하며 교황청에 중재 역할을 넘겼다.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는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그냥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고려해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에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러 제재가 중국에 불이익을 줄 경우 외교적 부담이 커진다는 것이다. ‘신고립주의’를 표방한 트럼프의 대외 전략 역시 제재 확대에 제동을 걸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전화 통화가 '빈손 합의'로 끝난 직후 유럽연합(EU)과 영국은 러시아에 대한 신규 제재를 잇달아 발표했다. EU 27개국은 20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외교·국방장관회의에서 제17차 대러 제재 패키지를 공식 채택했다. '그림자 함대' 유조선 189척이 제재 명단에 추가됐으며 러시아 군산복합체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법인 31곳도 제재 대상이 됐다. 같은 날 영국도 그림자 함대 유조선과 우크라이나 민간 지역 공격에 사용된 이스칸데르 미사일 등 무기 공급망을 겨냥한 제재안을 발표했다. 크렘린궁 자금 지원을 받는 소셜디자인에이전시 소속 직원 14명도 제재 명단에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