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 강남발 아파트값 상승세가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되며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수원의 강남이라 불리며 자족 기능과 교통·인프라를 갖춘 광교의 수요가 더 탄탄해지는 모양새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광교 중흥 S클래스' 전용면적 109㎡는 지난달 17일 23억 7000만 원에 거래됐다. 올해 2월 같은 면적이 18억 1000만 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두 달 만에 5억 6000만 원이나 급등했다. 광교 신도시의 대장주인 ‘광교 중흥 S클래스’는 2019년 초에 입주한 2231세대 규모다. 신분당선 광교중앙역이 단지에서 500m 거리에 있고 수원신갈IC, 광교상현IC, 동수원IC 그리고 수원북부순환로로 인해 교통편이 매우 훌륭해 분양권에는 1억~1억3000만원 수준의 웃돈(프리미엄)이 형성된 바 있다.
또 광교신도시에 속하는 수원시 이의동 소재 ‘광교센트럴뷰’ 전용 84㎡는 지난 3월 13억원(17층)에 거래돼 작년 3월 실거래가 11억4000만원(17층) 대비 1억6000만원(14%) 상승했다. 이 단지는 경기도청을 비롯해 다양한 행정기관들이 바로 인근에 자리하고 있다. 영통구 하동 '힐스테이트 광교' 전용 98㎡는 3월 말 13억 9000만 원에서 4월 19일에는 16억 원에 거래되며 약 2억 원 상승했다.
광교 일대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증가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광교 신도시가 위치한 수원 영통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 1월 246건에서 2월 341건, 3월 515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3월 거래량은 1월의 2배 이상이다.
광교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이유 중 하나로는 신분당선을 꼽을 수 있다. 신분당선은 수원 광교에서 성남 분당과 판교를 거쳐 서울 강남과 신사를 잇는 민자 노선이다. 역별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수원 영통구 이의동에 조성된 광교중앙역으로 18.67%를 기록했다. 광교중앙역이 상승률 1위를 기록한 이유는 다양한 인프라 때문으로 보인다. 경기도청과 도의회, 도교육청 등 경기융합타운이 4번 출구 인근에 있으며 롯데아울렛 광교점, 아브뉴프랑 광교점 등 대형 쇼핑몰도 가까이에 있다. 역 주변에 주요 관공서와 쇼핑 시설이 고루 들어선 것이다. 이같은 인프라는 주변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집값 상승기엔 가격이 크게 오르고, 침체기엔 집값 하락을 방어해준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