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을 마친 뒤 법정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논란 끝에 17일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윤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저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만들어준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며 “국민의힘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계엄·탄핵에 대해선 사과와 반성을 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김 후보의 낮은 지지율과 당내의 ‘절연’ 요구 확산을 고려한 판단으로 읽힌다. 국민의힘이 계엄·탄핵 사태와 분명히 선을 긋지 못해 중도층으로의 외연 확장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보수층도 제대로 결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탈당은 위헌적인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진작 이뤄졌어야 했다는 점에서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 많다. 최소한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결정이 나온 뒤에는 곧바로 당을 떠났어야 조기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큰 격차로 열세에 처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윤 전 대통령이 뒤늦게 탈당하면서 반성·참회조차 하지 않으니 ‘무늬만 탈당’이라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그 뜻을 잘 받아들여서 당이 더 단합하고 더 혁신하겠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추격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박스권에 갇힌 김 후보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대선 판세를 변화시키려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분명한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 우선 김 후보가 “계엄권 발동이 적절치 않다”고 말로 사과하는 것을 넘어 더 절실하게 계엄·탄핵 사태에 대해 반성하면서 윤 전 대통령과 실질적으로 절연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당헌·당규 개정과 조직·인사 혁신, 소속 의원들의 무사안일 행태 탈피 등 뼈를 깎는 대수술로 당의 면모를 환골탈태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 실패에 대해 반성하면서 낮은 자세로 경제 살리기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는 일도 중요하다. 국민의힘이 살 길은 전면 쇄신을 통해 경제·안보에 강한 보수정당으로 거듭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