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오른쪽 부터)가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18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6·3 대선의 첫 TV토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의 전략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이재명 후보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위기를 부각하면서 김 후보에게 공세를 폈다. 자신을 향한 다른 후보들의 공세엔 “극단적이다, 왜곡” “일도양단으로 말할 수 없다”라며 아웃복서처럼 받아쳤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 때리기에 ‘올인’하면서 특히 사법리스크를 파고들었다. 이준석 후보는 주로 이재명 후보를 지목해 공약 실현 방안을 캐물으며 허점을 파고들었다.

이날 토론은 18일 오후 8시부터 서울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2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재명 후보는 계엄 사태에 대한 국민의힘 책임론을 부각했다. 이 후보는 “내란 때문에 경제와 서민이 너무 어려워지고 자영업자는 완전히 무너졌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를 향해선 “대한민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한 데 대해서 윤석열 정권 주무장관(고용노동부 장관)으로서 죄송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라고 공격했다.

자신의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을 겨냥한 공세에는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20원인데 비싸게 판다’며 제가 자영업자를 공격한다고 왜곡 조작했다”고 반박했다. 여행객이 호텔 예약금을 취소해도 그사이 소비 순환을 통해 경제 가치가 창출된다는 자신의 ‘호텔 경제학’을 둘러싼 공격에는 “극단적이다, 단편적 질문”이라고 받아쳤다. 이 후보는 토론 내내 자신의 공약이나 안보관 등을 겨냥한 공세에 대해 “한쪽만 본다”는 논리로 반박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 공격에 집중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불법 대북송금 의혹을 겨냥해 “대북사업에서 경기지사가 모르게 부지사가 송금할 수 있나”라고 캐물었다.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계엄에 대해선 “죄송하게 생각하지만, 이재명 후보 책임도 크다”고 역공을 폈다. 또 “민주당이 대통령·국무총리·경제부총리를 계속 탄핵하고, 얼마나 많은 법을 막았는지 국회가 더 잘 알 것”이라고 공격했다.

이재명 후보의 안보관도 문제 삼았다. 김 후보는 “이 후보가 과거 사드 배치 철회를 주장하고, 지난해 당 대표 시절 중국·대만 문제에 대해 모두에게 ‘셰셰’(고맙단 뜻의 중국어)하면 된다고 했다”며 “이 후보의 발언은 미국으로선 끔찍한 발언”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한·미동맹은 중요하다. 하지만 중국·러시아와 적대적으로 갈 필요는 없다”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정책 허점을 파고들었다. 이 후보는 “임금 감소가 없는 주4.5일제를 어떻게 하겠다는 건가”라는 물음에 이재명 후보가 “타협을 통해서 나아가야 한다”고 답하자 “이재명 후보는 ‘어떻게’가 빠져있다. 사람들이 어려울 때 다가오는 사이비 종교처럼 가장 위험한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후보의 ‘호텔 경제학’ 논란에는 “돈 풀기식 괴짜 경제학”이라며 “돈이 도는 과정에서 돈이 사라지지 않는 무한 동력인가”라고 비꼬았다. 이재명 후보의 전국민 AI 공약에는 “자체 AI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라면 전 세계적으로 전무후무한 일”이라고 현실성 문제를 지적했다.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공약 남발하는 양치기 소년, 노쇼 후보”라고 몰아붙이기도 했다.

토론 도중 자신에게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공세가 집중되자 이재명 후보는 “협공하면서 저에게 기회를 안 준다”며 “극단적으로 전제하고 왜곡하는 건 국민의힘 출신의 일반적 특성인 것 같다”고 꼬집었다.

권영국 후보는 첫 질문부터 김 후보를 향해 “윤석열을 감싸며 대선에 나왔다.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고 사퇴하라”는 강펀치를 날리는 등 토론 내내 존재감을 보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93 미 재무장관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이게 관세율이다’서한 받게 될 것” 경고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2 "명문대생 과외라 1200만원 입금했는데"…문자로 파산 통보한 업체,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1 역대 가장 삼엄한 대선 경호 [와글와글 플러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0 문화유산 밟는 운동화?…아디다스 드론 쇼에 그리스 발칵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9 '월세 12만 원' 유학마을 만들었더니‥지역 활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8 바이든 전립선암 진단에…트럼프 “슬픈 소식, 쾌유 바란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7 [단독] "올여름 '원피스 해적단'과 풀파티 즐겨요"…에버랜드와 첫 컬래버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6 [단독] 금감원 금융사고 단속 기간에도 하나은행 74억 부당대출 적발 못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5 마이크로소프트가 25년 근속 직원을 내쫓은 이유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4 바이든, 퇴임 4개월 만에 전립선암 진단…트럼프 “슬프다, 쾌유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3 지귀연 재판장 향응 의혹 속 오늘 윤석열 내란 재판…“빨리 정리돼야”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2 [최훈 칼럼] 왜 ‘그날’은 오지 않는지 답해야 할 6·3 대선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1 82세 바이든, 최고령 퇴임 4개월 만에 전립선암 진단 …“뼈로 전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0 남매 갈등에 시끄러운 한국콜마…건기식 계열사 놓고 깊어가는 다툼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9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전립선암 진단…“뼈까지 전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8 바이든, '공격적인 형태' 전립선암 진단…"이미 뼈까지 전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7 바이든, 전립선암 진단...정적 트럼프도 "슬프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6 되살아난 미국 기술주에…“ETF 쏠쏠하네” [잇슈 머니]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5 국토보유세, 과연 도입될 것인가[권대중의 경제 돋보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74 이재명 “尹정권 책임”·김문수“민주당 탓”…경제해법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