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에 힘 모아달라" 후보 선출 2주 만에 탈당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국민의힘을 전격 탈당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3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지 2주 만이다. 후보 선출 직후부터 윤 전 대통령과 관계를 끊으라는 요구가 나왔던 점을 고려하면 한참 늦었다.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거취 문제를 일단락 짓고 반격의 물꼬를 텄다고 자평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고 올렸다. 탈당계도 함께 제출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 지지 의사를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에게 힘을 모아 달라. 반드시 투표에 참여해 달라"며 "제가 대선 승리를 김 후보 본인 못지않게 열망하는 것도 이번 대선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마지막까지도 국민을 향한 사과나 반성은 전혀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탈당에 따른 지지층 이탈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취임과 동시에 "정중하게 탈당을 권고드리겠다"고 요청하는 등 당내 압박과 잡음이 커지던 상황이었다. 탈당 직후 김 후보는 "그 뜻을 존중한다"고 했고, 김 비대위원장은 "탄핵의 강을 넘어 대한민국 국민 통합을 이룰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들은 대부분 탈당이나 제명을 통해 당적을 정리했다. 특히 임기 말 지지율이 낮았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집권여당의 요구에 쫓기듯 당을 떠났다. 윤 전 대통령은 불법계엄과 탄핵의 당사자이자 대선의 원인 제공자인 만큼 당에 남아있을 명분이 없었다.

국민의힘은 내부 단합에 주력했다. 김 후보는 18일 특사단을 미국에 보내 경선 주자였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선대위 합류를 타진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을 포함해 3가지 조건을 내걸어온 한동훈 전 대표는 20일 부산에서 첫 지원 유세에 나선다. 국민의힘은 그간 윤 전 대통령 거취 문제에 발목이 잡혀 김 후보의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됐다는 판단이다. 이에 남은 대선 기간 개헌과 경제를 비롯해 차별화된 정책 이슈로 승부수를 던질 계획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559 '손흥민 협박女' 흉악범도 아닌데 얼굴 그대로 노출…왜? 랭크뉴스 2025.05.18
49558 “사과 한 마디 없이···” 윤석열 ‘대선 앞 늑장 탈당’에 국힘서도 비판 랭크뉴스 2025.05.18
49557 상반기 전공의 복귀 마지막 문 열린다…복귀 규모에 관심 랭크뉴스 2025.05.18
49556 한동훈 20일 부산서 첫 지원 유세... 2007년 박근혜처럼 후보와 따로 다닌다 랭크뉴스 2025.05.18
49555 ‘김건희 다이아몬드’ 통일교, 천공도 만났다…검찰, 건진 재소환 랭크뉴스 2025.05.18
49554 민주당 "이재명, 커피 비싸게 판다 말한 적 없어…김용태 고발" 랭크뉴스 2025.05.18
49553 김문수 "이재명, 푸틴처럼 장기집권 의도"…4년 연임제 개헌 맹공 랭크뉴스 2025.05.18
49552 민주당 “이재명, 커피 ‘비싸게 판다’ 말한 적 없어…김용태 고발” 랭크뉴스 2025.05.18
49551 홀로서기 나선 ‘우버 택시’는 추락, ‘티맵’은 개선... 이용자 급감에 송진우 총괄 연임 불투명 랭크뉴스 2025.05.18
49550 고액체납자 가택 찾았더니…순금 100돈 압수 랭크뉴스 2025.05.18
49549 김문수, “임기단축·4년 중임”…이재명에 ‘개헌협약’ 제안 랭크뉴스 2025.05.18
49548 이재명 "4년 연임" 띄우자…김문수 "임기 단축" 맞불 랭크뉴스 2025.05.18
49547 외신 "하마스 가자지구 수장 무함마드 신와르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5.18
49546 개헌 허 찔린 김문수 '연임제' 맹공…“李 장기집권 여지” 랭크뉴스 2025.05.18
49545 애플·알리바바 AI 제휴에 中 역량 커지나… 美 정부 우려 고조 랭크뉴스 2025.05.18
49544 김문수 5·18 기념식 불참…이재명 "저녁에라도 와서 반성하라" 랭크뉴스 2025.05.18
49543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 논란... "대장동 비리 말고 카페 열지 그랬나" 랭크뉴스 2025.05.18
49542 국민의힘 “경제 몰이해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소상공인을 악덕업자로 매도” 랭크뉴스 2025.05.18
49541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논란에 “5년 전 값 말한 것” 랭크뉴스 2025.05.18
49540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멀티플렉스 시대 다시 열릴까 [김희경의 컬처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