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임진철·하수민 선교사 부부
한인교회 성도들과 매주 두 차례
도시락 만들어 전달
인도네시아 탕에랑 세완마을 주민들이 17일(현지시간) 마을 입구에서 도시락을 받아들고 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서쪽으로 약 30분가량 떨어진 탕에랑에는 일명 ‘쓰레기 마을’이라고 불리는 세완마을이 있다. 이 지역에 사는 빈민들은 쓰레기가 귀한 자원이다. 쓰레기 더미 속에서 옷가지를 주워 입고 그나마 쓸만한 물건을 골라 고물상에 내다 팔며 생계를 유지한다.

17일(현지시간) 오전 11시 30분 무렵, 세완마을 입구에 주민들이 긴 줄을 섰다.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한 이들 앞으로 한 차가 들어서자 주민들의 표정이 밝아졌다. 매주 목요일과 토요일 도시락을 싸 들고 이곳을 찾아오는 임진철(53·기아대책 파송) 하수민(45) 선교사 부부다.

임 선교사는 현지인 도움을 받아 질서 있게 서 있는 주민들에게 도시락과 물을 전달했다. 메뉴는 밥과 닭고기 그리고 오이 샐러드다. 주민들은 이 도시락으로 하루를 버틴다. 임 선교사는 “가족 수만큼 도시락을 나눠주는데 가끔 거짓말로 도시락을 많이 받아 가려는 이들이 있다”며 “상황을 잘 아는 현지인이 정확한 수대로 도시락을 나눠준다”고 웃었다.

인도네시아 탕에랑 세완마을 주민들이 17일(현지시간) 마을 입구에서 도시락을 받기 위해 긴 줄을 서고 있다.


주민과 도시락을 나눠주는 이들 사이에 잠시 실랑이도 생겼다. 하지만 주민들은 몇 마디 나눈 후 금세 멋쩍은 미소를 지으며 돌아선다. 파리가 날리고 쓰레기 냄새가 진동하는 마을에서 주민들의 표정은 밝았다. 임 선교사에게 배운 ‘손가락 하트’를 만들어 보이기도 했다. 아이들은 선교사 주변을 맴돌다 반갑게 손을 흔들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한마음교회 성도들이 15일(현지시간) 탕에랑 센터에서 도시락을 만들고 있다. 임진철 선교사 제공


이날 준비된 도시락 600여개는 순식간에 동이 났다. 인근 한인교회 성도들이 아침 일찍부터 만든 도시락이다. 하 선교사는 “자카르타 한마음교회와 소망교회 땅그랑교민교회 등 성도들이 순번을 정해 봉사하러 오신다”며 “하루에 요리해야 하는 닭이 80마리가 넘는다. 일일이 손질하고 양념을 재워둔 닭을 조리해서 정성스럽게 담아왔다”고 설명했다.

임 선교사 부부는 2023년 인도네시아에 왔다. 인도에서 17년 동안 선교하다가 추방된 후 새롭게 정착한 선교지다. 은퇴를 앞둔 성경득 선교사가 2014년부터 해오던 사역을 이어받아 함께하고 있다.

오직 인도 복음화만 생각했던 선교사 부부에게 인도네시아는 도전의 연속이었다. 하 선교사는 “인도에서는 다른 선교사님들을 도울 정도로 시니어 선교사였는데 여기 오니까 할 줄 아는 게 아무것도 없었다. 인도가 그리워서 많이 울기도 했다”며 “하지만 쓰레기 마을 아이들을 만난 후에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곳에 보내신 이유를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임 선교사 부부는 매주 화요일 세완마을 가정을 방문해 생필품을 나눠주고 기도를 해준다. 무슬림 국가이지만 기도를 해준다고 하면 주민들이 다 좋아한다고 한다. 가끔 아픈 자녀를 보여주며 기도를 요청하는 부모도 있는 등 점차 친밀해짐을 느끼고 있다.

하 선교사는 “아직은 언어도 서툴고 해줄 수 있는 게 많이 없어 껴안고 기도만 해주고 있다”며 “직접 전도가 금지된 지역이기에 주민들은 우리가 어느 단체에서 왔는지도 모르지만 언젠가는 이들 마음속에 복음이 들어갈 것이라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진철(오른쪽) 하수민 선교사가 1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탕에랑 센터에서 도시락 제작을 마치고 현지인을 향한 복음화 비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임 선교사는 훗날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우는 게 목표다. 하 선교사는 부부의 모습을 보고 현지인들이 예수님을 느끼길 기대하고 있다.

“인도에서 가르쳤던 아이들이 자라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기도를 요청하러 올 때 얼마나 기쁘고 감사했는지 몰라요. 인도네시아에서도 우리가 아이들과 깊은 관계를 맺어 바르게 자라나는 모습을 보고 아이들이 우리가 믿는 예수님을 궁금해할 정도로 신실한 모습을 보이기 원합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524 김문수, 이재명 개헌안에 “대통령 불소추특권 폐지·3년 임기 단축···협약 맺자” 역제안 랭크뉴스 2025.05.18
49523 [속보] 김문수 “‘임기 단축’ 4년 중임 개헌해야…개헌협약 제안” 랭크뉴스 2025.05.18
49522 ‘김건희 다이아몬드’ 통일교-천공, 작년 10월 만났다 랭크뉴스 2025.05.18
49521 사과 없는 尹 뒤늦은 탈당… 수세 몰리던 국민의힘 반격 물꼬 랭크뉴스 2025.05.18
49520 [공정위 핫이슈] ‘해운 운임 담합 규제’ 공정위 손 들어준 대법원… 해운업계 비상 랭크뉴스 2025.05.18
49519 김문수 측 “이재명, NC소프트에 판교 부지 ‘특혜 수의계약’… 배임 혐의로 고발” 랭크뉴스 2025.05.18
49518 김문수 "임기단축·4년 중임 개헌…李, 즉각 개헌협약 체결하자" 랭크뉴스 2025.05.18
49517 ‘커피원가 120원’ 발언에…국힘 “소상공인 매도 사과하라” 랭크뉴스 2025.05.18
49516 윤석열 가고 ‘윤버지’ 김계리 국힘 입당…“지금은 김문수가 주인공” 랭크뉴스 2025.05.18
49515 ‘50년 우정’ 이낙연 떠난 이석현 “이재명 지지” 랭크뉴스 2025.05.18
49514 부하직원에 “거지냐” 폭언, 위협운전도… “면직 정당” 랭크뉴스 2025.05.18
49513 [전문] 개헌 띄운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결선투표 하자” 랭크뉴스 2025.05.18
49512 [속보] 김문수 “임기 단축·4년 중임 개헌…대통령 불소추 특권 폐지” 랭크뉴스 2025.05.18
49511 [속보] 김문수 "임기 단축·4년 중임, 불소추특권 완전 폐지 개헌해야" 랭크뉴스 2025.05.18
49510 스카이데일리, ‘5·18 북한개입 보도’ 사과…오월단체 “끝까지 단죄” 랭크뉴스 2025.05.18
49509 "임신했다" 손흥민 협박해 '3억' 뜯은 20대…'임신중절' 이력 확인 랭크뉴스 2025.05.18
49508 이재명 “4년 연임제, 개헌 당시 대통령은 해당 없다” 랭크뉴스 2025.05.18
49507 "이재명 XXX" 폭언 70대, 선거운동원 이어 경찰도 '퍽퍽'…극단 치닫는 갈등 랭크뉴스 2025.05.18
49506 멕시코 해군 훈련함, 뉴욕 브루클린브리지 충돌… 최소 2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18
49505 [속보] 김문수 "4년 중임제 개헌 제안…당선시 28년 4월 퇴진"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