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정부, 10년 만에 에베레스트 입산료 인상
외국인 대상... 계절별 차등 요금 모두 36% ↑
쓰레기 증가·시신 방치 등 해결 위해 특단 조치
외국인 대상... 계절별 차등 요금 모두 36% ↑
쓰레기 증가·시신 방치 등 해결 위해 특단 조치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인 네팔 에베레스트산. 로이터 연합뉴스
“지구에서 가장 높은 쓰레기장.”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산(높이 8,848.86m)에 붙은 오명이다. 매년 등반 시즌 때면 1,200여 명의 인파가 몰리는 에베레스트의 베이스캠프에는 등반객들 배설물뿐 아니라 텐트·침낭·산소통·위생패드 같은 생활 쓰레기가 무더기로 버려진다. 진짜 문제는 이제부터다. 이 쓰레기들은 매년 녹았다가 얼기를 반복하면서 겹겹이 얼어붙는다. 수거하는 것조차 쉽지 않고, 오랜 기간 방치된 쓰레기는 땅으로 흡수돼 토양 오염을 일으킨다.
매년 청소하는데... "시신 200구 이상 남아"
보다 못한 네팔 정부가 결국 특단의 조치를 내놨다.
10년 만에 외국인 등산객의
입산료를 대폭 인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인상률은 무려 36%.
15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오는 9월부터 외국인의 성수기(3~5월) 에베레스트 입산료는 현행
1인당 1만1,000달러(약 1,500만 원)에서
1만5,000달러(약 2,100만 원)
로 오른다. 비수기 입산료도 마찬가지다. 9~11월은 7,500달러(약 1,000만 원)로, 12~2월에는 3,750달러(약 500만 원)로 모두 지금보다 36% 인상된다.이 같은 결정은 쓰레기와 시신 방치 등 에베레스트 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 조치다. 네팔 정부는 2019년부터 매년 연례 청소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다섯 차례의 청소에서 쓰레기 19톤, 시신 14구를 수거했다. 그러나
아직도 200구 이상의 시신이 산속에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지난해 6월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한 작업자가 에베레스트산에 있던 쓰레기를 수거한 뒤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카트만두=AFP 연합뉴스
에베레스트 '등반 자격' 규정 입법 추진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14곳 중 8곳이 위치한 네팔에서 에베레스트 입산료는 중요한 관광 수입원이다. 히말라야 등반 산업이 네팔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 이상으로 추산된다. 네팔 정부는 이번
입산료 인상에 따른 추가 수입을 환경 보호·안전 개선 등에 사용
할 예정이다. 에베레스트 등반은 본래 산악 전문가들의 ‘버킷리스트’였다. 하지만 등산 장비 발전·등산로 개발 등에 따라 비전문가인 일반인들도 도전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최근 몇 년 사이 너무 많은 '아마추어 등산객'이 몰리며 조난 사고 사망자 수가 늘었고, 네팔 정부는 "자격 검증 없이 무분별하게 등반을 허용했다"는 비판에 휩싸였다.
이에 지난해 4월 네팔 대법원은 정부에 "에베레스트 및 다른 봉우리에 발급되는 '등산 허가증' 수를 제한하라"고 명령했다. 네팔 정부도 최근 '7,000m 이상 고봉을 한 번 이상 오른 경험'이 있는 산악인에게만 최고봉 에베레스트 등반을 허용하도록 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