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박관현 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를 방문해 “5월의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5·18 민주화 묘역에서 참배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일부 광주 시민들은 김 후보와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해 “내란 세력 물러가라”며 항의 시위를 했다.
김 후보는 이날 광주교도소 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은 여러 가지 아픔을 딛고 오늘날 자유와 민주주의가 존중되는 사회를 이뤘다”며 “그 아픔이 승화돼서 더 위대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5월의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희생 위에 꽃 피웠다는 걸 잊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5월 정신을)정치적으로 악용하고 저에게 고함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면서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 지르지만 정말 80년 5월을 생각하면 너무 아프다”고 했다. 김 후보는 과거 민주화 운동을 하다 고문을 받고 투옥된 경험이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무명열사의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은 뒤 헌화를 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호남특별위원장인 인요한 의원, 김기현 양향자 안철수 이정현 공동선대위원장도 함께했다.
특히 김 후보는 5·18 당시 전남대 총학생회장인 박관현 열사 묘를 참배하며 눈물을 흘렸다. 김 후보는 묘비를 한참이나 바라보고 쓰다듬으며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광주교도소에서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그 방에서 1년 생활했다”며 “5월을 생각하면 늘 너무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참배 후 5·18 민주묘역 내 자료 전시관도 둘러봤다.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대학생들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는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를 향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김 후보가 참배를 하는 동안 광주 대학생진보연합 소속 대학생들은 5·18 민주묘지 입구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내란후예 광주방문 반대’ 피켓을 들고 “내란세력 물러가라”고 외쳤다. 한 학생은 “비상계엄으로 5월의 기억을 살려냈던 사람들이 사과 없이 이곳에 오는 게 마음 아프다”며 “내란 공범으로부터 광주를 지키겠다”고 연설했다. 또 다른 시민도 “김문수가 왜 여길 오나”라고 소리치며 소동이 일어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