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과학·IT 기자가 들려주는 양자역학
양자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는 그림.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경제]

양자컴퓨터가 제대로 쓰이려면 100만, 또는 그 이상의 수백만 큐비트 성능은 돼야 한다는 게 정보기술(IT) 업계의 시각입니다. 반면 현재 개발되는 양자컴퓨터는 좋아봐야 1000큐비트 정도 성능에 그치고 있죠. 큐비트를 늘리면 그만큼 외부에서 가해지는 영향도 심해져서 계산 오류가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오류를 잘 제어하면서도 규모를 100만 큐비트까지 키우는 게 관건이죠.

단순 규모 경쟁과는 또다른 전략이 있습니다. 앞서 양자얽힘과 양자인터넷을 설명하며 언급한 적 있는 ‘양자 연결’입니다. 양자컴퓨터 칩 여러 개를 연결해서 한몸처럼 작동하게 하는 기술이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15일 정부출연연구원의 대형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글로벌톱전략연구단’의 하나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주도하는 ‘초연결 확장형 슈퍼양자컴퓨팅 전략연구단’을 선정했습니다. 2030년까지 750억 원을 들여 양자 연결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1000큐비트 국산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게 목표입니다.

과기정통부는 “양자 연결의 개념을 활용해 양자컴퓨터를 스케일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양자 칩 간 연결을 통해 큐비트 규모 확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양자컴퓨터 간 연결을 통해 확장형 양자컴퓨팅, 슈퍼양자컴퓨팅 기술을 구현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초전도·광자 기반의 멀티코어 양자 칩 개발, 양자메모리·양자신호변환 기반 인터커넥트를 통한 양자컴퓨터 간 원거리 연결 구현을 목표로 제시했고요.

양자 칩 여러 개를 연결한다는 아이디어는 듣기엔 쉬워보이지만 아직 제대로 구현되지 못한 고난도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양자 칩 내 큐비트 입자들 간에는 양자얽힘이 필요하다고 했죠. 양자얽힘을 다시 간단히 설명하면 두 입자가 먼 거리에서도 즉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큐비트 입자들의 정보 상태가 서로 연동돼야 유기적으로 대규모 연산을 수행할 수 있잖아요. 양자컴퓨터는 큐비트 입자가 0과 1의 정보를 동시에 갖는 양자중첩과 함께 이 입자들이 연동되는 양자얽힘도 함께 구현돼야 합니다. 큐비트 규모가 커질수록 이것이 깨지기 쉬워지는 게 현재 양자컴퓨터 발전의 기술적 어려움이고요.

당연히 양자 칩끼리, 또 칩을 장착한 양자컴퓨터끼리의 양자얽힘을 구현하는 것은 더 어렵겠죠. 지난 편에서 양자암호통신(QKD)을 설명하면서도 언급했지만 양자 정보를 전선이나 광섬유로 전달하는 건 넌센스니까요. 큐비트 입자가 전선이나 광섬유를 타고 가는 중에 정보가 왜곡되겠죠. 최재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장은 “양자컴퓨터들을 서로 전깃줄로 연결할 수는 없다”며 “보통 마이크로파를 쓰는데 문제는 마이크로파가 양자 칩 간을 이동할 때 정보가 손실되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극저온 등 큐비트를 위한 환경이 잘 갖춰진 양자 칩 안에서 마이크로파가 정보 전달을 매개하지만 양자 칩 간 이동에서 상온에 노출되는 등 다른 영향에 노출될 수 있고 이에 정보가 깨질 수 있다는 거죠. 표준연은 마이크로파가 양자 칩 밖 상온에 노출될 때는 가시광선으로 바꿔 정보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양자 연결 방식을 찾고 있습니다.

양자 연결은 어려운 만큼 양자컴퓨터 후발주자인 한국 입장에서는 선점 기회가 남아있는 상황이기도 합다. 최 소장은 “지난해 말 미국 에너지부(DOE)도 보고서를 통해 유망 기술로 꼽은 바 있다”며 “해외에서도 아직 기술 확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한국이 경쟁에서 빠르게 치고나갈 수 있는 히든카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97 [속보] 소방청 “광주 금호타이어 화재에 국가소방동원령”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6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건물 일부 붕괴… 화재 진압 난항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5 팔란티어 “군사력은 이제 SW가 좌우”…한 달 새 40% 폭등[인베스팅 인사이트]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4 김문수 “尹 탈당 뜻 존중…당 더 단합하고 혁신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3 기자보다 똑똑한 서울대공원 침팬지 남매 [고은경의 반려배려]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2 광주 찾은 김문수 "이재명 독재 정치 안 된다는 것이 5·18의 명령"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1 李 “특정 정치집단 멸절 안 시켜… 대통령 5년에 불과해”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90 ‘치킨 전쟁’ 3라운드…돌고돌아 다시 BBQ?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9 [속보] 소방청,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에 국가소방동원령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8 내란혐의 尹, 출당·징계 피해 뒷북탈당…사과없이 '자유수호 대선' 강변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7 대선 후보 현장 라이브 05.17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6 무디스, 미국 신용등급 'Aaa'→'Aa1' 하향‥"정부부채 증가"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5 버틴 시진핑, 겁먹은 트럼프…“미, 무역전쟁서 사실상 후퇴했다”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4 탈당하며 김문수 지지선언…尹 이별효과 평가 분분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3 김문수 "박관현 열사 죽고 제가 그방에 수감"…참배하며 눈물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2 부인 이건 나랑 먹거나 아니면 반드시 혼자서 드시오[음담패설 飮啖稗說]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1 대구서 이재명 후보 홍보물 잇단 훼손…벽보·현수막 등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80 ‘임신 주장’ 손흥민 협박 남녀, 오늘(17일) 구속영장 심사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79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연소 확대 차단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5.17
49078 김문수 “윤석열 탈당 존중…사전조율은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