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처럼 드론이 활용되는 분야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데, 전 세계 드론 시장은 중국 업체가 압도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드론 부품 수출을 막으면 국내 업체들은 생산이 어려울 정도인데요.
정부가 드론 국산화 지원에 나섰습니다.
윤아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를 나는 드론.
해발 6천미터까지 15kg을 싣고 날아오르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드론은) 갑작스러운 거센 바람에도 안정적이고 영하 20도까지 견딜 수 있습니다."]
중국 기업, DJI의 드론입니다.
이 한 기업이 세계 드론시장의 70%를 차지합니다.
중국 드론은 성능과 가성비 모두 세계최고 수준으로 앞서나갑니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도 불법조업 감시용으로 중국산 드론 도입을 추진했는데, 무산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중국이 군사용으로도 쓰일 수 있는 고성능 드론 부품 수출을 통제했기 때문입니다.
프로펠러와 모터 등 드론 주요 부품의 평균 국산화율은 30%에도 못 미치는 상황.
중국이 드론 부품 수출을 금지하면 우리 업체들은 드론을 만들기도 어려운 수준입니다.
[이종수/국내 드론업체 관계자 : "중국 수입이 막히게 되면 아무래도 가격이 올라가게 되고…."]
[김태우/국내 드론업체 관계자 : "국산 제품을 사서 쓰고 싶은데 중국 시장이 워낙에 크고 가격이 싸고…."]
거기다 국내 드론 업체의 70%는 연 매출 10억 원 미만으로 영세합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런 드론의 모든 부품을 국산화하는게 목표인데 농업, 건설, 소방 등 5개 분야의 드론을 모두 국내 기술로 개발하도록 지원합니다.
정부는 우선 소방·조류 대응 드론 개발에 올해 1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고형석/영상편집:한찬의/화면제공:유튜브 DJI/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