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4일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 정 전 장관은 12·12 군사반란을 도모해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군 출신 인사다.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는 이날 제21대 대통령선거대책기구 추가 인선을 단행하면서 대선 후보 자문 및 보좌역 23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중 정 전 장관을 포함해 상임고문에는 박희태 전 국회의장, 박철언 한반도복지통일재단 이사장, 김종하·이주영 전 국회부의장, 목요상 전 헌정회 원로회의 의장, 김일윤·신경식·유용태 전 헌정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정 전 장관은 12·12 군사반란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에 가담한 혐의로 1997년 대법원에서 징역 7년의 유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당시 50사단장이었던 정 전 장관은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이희성 전 육군참모총장, 황영시 전 육군참모차장과 함께 신군부 핵심 5인으로 평가된다. 신군부 핵심 5인 중 유일하게 정 전 장관만 생존해 있다.
정 전 장관은 이후 1980년 5월 17일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에서 비상계엄 확대를 적극 지지했고 신군부는 그날 자정을 기점으로 전국에 계엄을 확대 선포했다. 당시 정 전 장관은 특전사령관으로서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공수부대의 작전 보고를 직접 받았으며 이에 대한 공로로 충무무공훈장을 받았다.
정 전 장관은 이후 육군참모총장(1983년), 내무부 장관 및 국방부 장관(1987년)을 지내며 군과 정계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지만 대법원 판결로 실형을 살고 서훈이 취소됐다. 2004년 6월엔 퇴역 연금도 중단됐다.
전두환(왼쪽) 전 대통령이 1987년 1월 21일 정호용 내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중앙포토
그러다 1998년에는 특별사면을 통해 석방됐으며 12·12 사태 40주년이었던 2019년에는 전 전 대통령 등과 오찬 모임을 함께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김 후보는 지난 12일 채널A 인터뷰에서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께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처음 사과의 뜻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이틀 만에 과거 계엄 확대와 내란 주도자로 지목된 정 전 장관을 캠프에 영입한 것을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사과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4일 경남 밀양시 밀양관아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