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호주 빅토리아 정부가 항공기를 이용해 코알라 약 700마리를 살처분해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현지 시각)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빅토리아 정부는 “부즈 빔 국립공원 화재로 먹이를 잃은 코알라들이 더는 고통받지 않도록 전례 없는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부즈 빔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약 2,200헥타르(약 665만 평)의 면적이 불에 탔으며, 이로 인해 코알라의 주 먹이인 유칼립투스 군락도 대부분 소실됐다.

정부는 화재의 직접적인 피해뿐 아니라 지속적인 가뭄, 건강 악화, 식량 부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살처분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살처분은 헬리콥터에서 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침입종 통제에 쓰이던 공중 사살 방식이 토종 야생동물에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 당국은 “국립공원의 험준한 지형과 코알라의 높고 외딴 위치, 화재로 약해진 나무의 위험성 때문에 공중 작전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보호협회 와일드라이프 빅토리아의 리사 팔마 대표는 "산불은 야생동물에 심각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한다”며 “심각한 화상을 입은 동물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자비로운 조치는 안락사"라고 말했다. 이어 “협회의 우선순위는 산불 이후 정부가 사용하는 모든 안락사 방법이 즉각적이며 적절한 감독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빅토리아주 생물다양성 책임자 제임스 토드는 "이번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다"며 "공중 살처분의 목적은 화재로 고통받는 동물의 고통을 끝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숙련된 수의사, 동물 복지 전문가 등 전문 인력이 참여해 망원경으로 개체의 건강을 평가한 뒤, 30m 이내에서 사살했다고 설명했다.

코알라 전문가이자 디킨대 부교수인 데슬리 위슨도 “그냥 방치하는 것보다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공중 살처분이 더 자비롭고 동정심이 담긴 대응”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부 단체들은 이번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국제 환경단체 지구의 벗(FoE)은 “코알라 공중 사살은 호주 최초로, 불쾌한 윤리적 선례를 남겼다”며 “공중에서는 성체 코알라의 정확한 건강 평가를 할 수 없고, 어린 코알라의 생존 가능성도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센트럴 퀸즐랜드대의 롤프 슐라글로프 생태학자 역시 "공중 사격이 실제로 효율적이고 정확한지 의문”이라며 “진짜 문제는 코알라 서식지와 자생 식물 관리 실패에 있다"고 꼬집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578 김건희 오빠 운영 요양원에서 노인학대 정황…당국 현장조사 랭크뉴스 2025.04.29
21577 [단독] 이재명 선대위 비서실장 이춘석·상황실장 강훈식 임명 랭크뉴스 2025.04.29
21576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1천만명…해킹 2차 피해 대응책" 랭크뉴스 2025.04.29
21575 명태균 "김 여사가 김상민 챙기라 해‥누가 거절하겠나" 랭크뉴스 2025.04.29
21574 [속보] 美 재무 장관 “한국과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다” 랭크뉴스 2025.04.29
» »»»»» 호주, 코알라 700마리 사살… 왜? 랭크뉴스 2025.04.29
21572 헌재법 거부권·출마 앞둔 ‘세불리기’…한덕수의 반헌법적 하루 랭크뉴스 2025.04.29
21571 더 속타는 알뜰폰, 고령층 이용자…우리는 어떻게? 랭크뉴스 2025.04.29
21570 ‘속전속결’ 대법원…예상되는 결론은? 랭크뉴스 2025.04.29
21569 2000만원으로 키 5㎝ 산다? 4살부터 맞는 성장주사 진실 랭크뉴스 2025.04.29
21568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부분 재발화…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29
21567 청주 흉기난동 17세 "학교 생활 힘들었다"…범행 암시 메모도 랭크뉴스 2025.04.29
21566 [대선참견시점] 이제 결승인데, 한덕수와 또 결승? / '홍카콜라'의 조기졸업 랭크뉴스 2025.04.29
21565 앉아있다 일어나면 갑자기 '어질'…빈혈인 줄 알았는데 '이 증후군'이었다 랭크뉴스 2025.04.29
21564 재판연구관 尹수준 10여명 투입…대법, 이재명 사건 초고속 선고 랭크뉴스 2025.04.29
21563 [속보] 美재무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29
21562 [속보] 美재무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29
21561 조국혁신당,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 특별법 당론으로 발의 랭크뉴스 2025.04.29
21560 비싸서 못 먹는 고등어·오징어·김 등 최대 반값에 푼다 랭크뉴스 2025.04.29
21559 주불 잡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 6시간 만에 재발화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