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김치찌개, 라면, 순댓국…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음식이지만 항상 마음 속에 걸리는게 짠맛입니다.

과다한 소금 섭취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건 상식이고, 특히 대표적 소화기관 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때문입니다.

<여러분 건강하십니까> 오늘(12일)은 짠 음식과 위암의 연관성, 나아가 싱겁게 먹는 실천법까지 알아봅니다.

유광석 기잡니다.

[리포트]

위암 수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식사 교육, 위를 일부 잘라낸 만큼 조금씩, 자주, 천천히 먹을 것을 강조합니다.

무엇보다 짠 음식은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피해야 합니다.

[김지연/국립암센터 임상영양사 : "젓갈이나 장아찌, 이렇게 염장 식품 위주의 식사를 하시는 거는 바람직하지 않겠고요. 고기를 드실 때도 탄 음식을 당연히 피해 주시고…."]

과도한 염분이 위점막을 손상시켜 염증을 일으키고, 반복되면 암으로 발전하기 때문입니다.

인구 10만 명당 위암 연령표준화발생률은 2011년 이후 줄어들기 시작해 2022년엔 10년 전보다 32.4% 감소했습니다.

20년 전 5,000mg을 넘던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도 식약처가 나트륨 저감 정책을 시행한 2010년 이후 감소 추세로 바뀌었습니다.

위암은 식생활과 헬리코박터균, 가족력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나트륨 섭취가 줄어 위암 발생률도 감소했다고 단정하긴 힘듭니다.

하지만 짠 음식은 위암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양한광/국립암센터 원장/위암 외과 : "40대, 50대, 또는 60대 되시는 분들은 이미 어려서부터 쭉 이 (짜게 먹는) 식이 패턴 때문에 이런 위험 인자에 이미 노출돼 있다고 보입니다."]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가 줄긴 했지만 세계보건기구 기준 2,000mg과 비교하면 아직도 1.5배 높습니다.

김치와 국·탕·찌개, 면류를 통한 나트륨 섭취가 여전히 높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세 끼 식사를 모두 찌개로 하면 하루 6,000mg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하게 됩니다.

[홍두표/65세/위암 수술 환자 : "한국 사람들이 주로 먹는 김치찌개, 라면 국물. (드시는 양이 많았습니까? 자주 드시거나?) 그렇게 많지는 않았어요.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제가 이렇게 오니까 약간 충격적이죠."]

짠 음식은 또 위 점막의 방어 기능을 약화시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더 쉽게 위 점막에 정착하게 만들고, 독성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킵니다.

결국 염분과 헬리코박터균이 만나 염증 반응을 증폭시켜 위암 발생 위험을 더욱 높입니다.

국립암센터의 임상 연구 결과 조기 위암 환자와 위암 환자 가족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하면 위암 재발 또는 발생 위험이 50% 이상 감소했습니다.

[최일주/국립암센터 위암센터 교수 : "조기 위암을 내시경으로 절제를 한 경우 전체 위 점막이 살아 있기 때문에 그 경우에는 반드시 치료해야 되고 위암 가족력이 있을 때도 치료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위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78.4%로, 초기 국한 병기에서 진단하면 생존율이 97.4%까지 올라가 조기 진단의 중요성 역시 빼놓을 수 없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62 의대생들 '학교 복귀' 선언…"국회·정부 믿고 돌아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1 ‘갑질 논란’ 수도군단장, 정직 징계 중 음주운전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0 트럼프 “EU·멕시코에 30% 상호관세” EU엔 추가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9 중징계 받고도 음주운전한 간 큰 육군 중장‥누군가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8 김밥집에서 130여명 고열·복통‥폭염에 식중독까지 비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7 이 대통령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에 “마음 깊이 환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6 암벽에 새겨진 6천년‥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5 ‘해수욕’ 대신 ‘호수욕’…생존수영과 클라이밍 한번에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4 "김밥 먹고 앓아누웠다"…서초구 김밥집서 130여명 식중독 증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3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1일부터 각각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2 "달콤한데 0칼로리 죠스바, 스크류바가 노벨상감? 뿌듯했죠"[New & Good]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1 말 바꾼 김태효‥"대통령 크게 화내는 것 봤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0 의대생들 유급 확정 직전 "학교 복귀하겠다, 대책 마련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9 1인당 '25억 잭팟' 터졌다…‘로또 1등’ 11명 어떻게 샀나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8 17번째 세계유산 탄생…‘반구천의 암각화’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7 의대생들, 학교복귀 선언…“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 돌아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6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학교 돌아가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5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부터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4 [속보]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 1일부터 각각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3 [속보]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1일부터 각각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