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국내 달걀 가격이 급등하며 2021년 조류인플루엔자(AI) 대유행 당시 수준에 근접했다.

12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전날 기준 특란 30구 한 판의 평균 소비자 소매가격은 7218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당시 달걀값 폭등의 직접적 원인은 AI 확산으로 인한 산란계 대규모 살처분이었다. 정부는 방역을 위해 약 1700만 마리를 도태했고, 공급 급감에 따라 가격은 한때 7800원을 넘어서며 '달걀 대란'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올해 역시 AI가 달걀 가격 급등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말부터 충남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한 고병원성 AI로 인해 올 초까지 약 490만 마리의 산란계가 살처분됐다. 정부는 전체 사육 규모에 비하면 살처분 비율이 낮아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밝혔지만, 일부 지역에서 공급이 줄며 전국적인 가격 상승을 유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농업관측 보고서에서 "3월 충청권에서 AI가 집중 발생하면서 지역 간 물량 불균형이 나타났고, 이는 전국 평균 산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산란계의 고령화, 저병원성 AI 및 가금티푸스 같은 질병 확산도 공급 위축을 부추겼다. 국제적으로도 AI가 확산되며 주요 수입국에서 산란계 살처분이 이어진 점 역시 영향을 미쳤다. 실제 지난 5월에는 브라질 내 AI 발생으로 인해 브라질산 종란, 병아리, 식용란 수입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또한 오는 9월 시행 예정인 '닭 1마리당 사육면적 확대' 규제를 앞두고 농가들이 노계를 조기 도태하거나 병아리 입식을 늦추면서 교체 수요가 늘고, 이 역시 공급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이러한 공급 제약 요인 외에도 추가적인 가격 상승 압력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이다. 폭염은 대표적 위험 요인이다.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6월, 산란계의 산란율 저하와 폐사 증가로 달걀 생산량도 눈에 띄게 줄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6월 달걀 등급판정 물량은 1억2493만개로 5월보다 약 6.1%(812만개) 감소했다.

폭염 피해는 축산업 전반으로 확산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신고는 총 52만6006마리(돼지 1만9768마리, 가금 50만6238마리)에 달한다. 아직 전체 사육 규모에 비하면 적은 비율이지만, 빠르게 늘어나는 폐사 사례는 시장에 심리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부는 달걀 가격 안정을 위한 대응에 나섰다. 가공용 달걀 수입 확대와 할당관세 적용, 산란계 시설 현대화 지원 등을 통해 중장기적 공급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64 국힘 "강선우·이진숙 사퇴해야"‥민주당 "청문회 지켜보자"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3 1180회 로또 1등 11명…인터넷 구매로 25억원 당첨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2 의대생들 '학교 복귀' 선언…"국회·정부 믿고 돌아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1 ‘갑질 논란’ 수도군단장, 정직 징계 중 음주운전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60 트럼프 “EU·멕시코에 30% 상호관세” EU엔 추가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9 중징계 받고도 음주운전한 간 큰 육군 중장‥누군가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8 김밥집에서 130여명 고열·복통‥폭염에 식중독까지 비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7 이 대통령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에 “마음 깊이 환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6 암벽에 새겨진 6천년‥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5 ‘해수욕’ 대신 ‘호수욕’…생존수영과 클라이밍 한번에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4 "김밥 먹고 앓아누웠다"…서초구 김밥집서 130여명 식중독 증상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3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1일부터 각각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2 "달콤한데 0칼로리 죠스바, 스크류바가 노벨상감? 뿌듯했죠"[New & Good]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1 말 바꾼 김태효‥"대통령 크게 화내는 것 봤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50 의대생들 유급 확정 직전 "학교 복귀하겠다, 대책 마련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9 1인당 '25억 잭팟' 터졌다…‘로또 1등’ 11명 어떻게 샀나 봤더니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8 17번째 세계유산 탄생…‘반구천의 암각화’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7 의대생들, 학교복귀 선언…“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 돌아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6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학교 돌아가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0045 트럼프 “EU·멕시코에 8월부터 30%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