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회, '의대 학사 정상화' 기본 원칙 밝혀
"복귀할 의대생, 동료 학생 학습권 존중 해야"
"4학년 국시 추가 응시 기회 등 정부 논의로"
"복귀할 의대생, 동료 학생 학습권 존중 해야"
"4학년 국시 추가 응시 기회 등 정부 논의로"
지난 5월 25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의대 2,000명 증원 정책' 등에 반발해 수업을 거부해 온 의대생들 사이에서 복귀 조건으로 '학사 유연화' 요구가 나오는 가운데, 의대 학장들은
교육기간 압축이나 학사 유연화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는 입장을 밝혔다.이들은 의대생들이 조건 없이 복귀 의사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하며, 2학기에 복귀할 경우 정부와 함께 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임을 시사했다.
의대협회 "학내 공동체 질서 침해 않아야"
내년부터 의대 모집인원이 증원 이전 규모로 돌아가면서 재수생 숫자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5월 25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 학장 모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전날 이사회를 열고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주요 원칙들을 설정해 이날 회원들에게 공지했다.
연관기사
• 복귀 전공의·의대생 겨냥 "감귤들 XX할 것" 보복 예고 글 수사(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1114540004315)
KAMC는 우선 학생들에게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은 전제 조건 없이 학교에 복귀 의사를 명확히 밝히고 학교와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면서 "이미 복귀한 동료 학생들의 학습권을 존중하고 학내 공동체 질서를 침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밝히며 위반 시 학칙에 따라 책임질 것을 서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의학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정규 교육 과정의 총량은 유지하며 교육 기간 압축이나 학사 유연화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관기사
• '수업 거부'로 1년 진학 늦춰진 의대생들…후배보다 의사 시험, 병원 실습 밀릴 듯(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0916070003046)
KAMC는 "2025학년도 1학기 성적 사정(유급)은 원칙적으로 완료하고 새 학기를 시작한다"며 '새 학기'는 2025학년도 2학기를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4학년의 경우 졸업 및 국시 추가 응시 기회는 정부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단체는 "협회는 학생 복귀 후 교육의 질 저하 없는 기본적인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는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1학기 유급 대상자들의 유급은 원칙대로 진행하되,
의대생들이 2학기 복귀할 시 학장들이 정부와 함께 최대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찾겠다는 뜻으로 풀이
된다.연관기사
• 김민석 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과 회동…"의료 현안 논의"(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720450005263)
교육부·의대협회 "학사 유연화 고려 안 해"
의대는 학사가 1년 단위로 이뤄져 올해 1학기 유급 조치를 받을 경우 원칙적으로 내년에나 복학이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2학기에 복귀하려고 해도 학사 일정 등의 조정이 필요하고,
일부 학생들은 7월 중에라도 복귀해 교육 과정 압축을 통해 진급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지금까지 학사 유연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며, 대학 총장들도 복귀가 먼저라고 밝힌 셈이다. 이종태 KAMC 이사장은 "의대생의 복귀는 언제나 환영한다"면서도 "의대 교육을 책임지는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을 양보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 원칙을 정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