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리 위로 물이 조금씩 불기 시작하더니 순식간에 강물이 밀려듭니다.

다리가 완전히 잠기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3분여 남짓.

사람들은 꼼짝없이 갇힙니다.

이달 초 미국 텍사스 중부를 덮친 홍수.

수백 명이 넘는 주민이 실종되고 숨졌습니다.

[10대 생존자(부모, 남동생 실종): 지붕이 무너지면서 무언가가 제 머리를 친 기억이 나요. 그다음 기억은 집이 사라지고, 제가 물속에 있었어요. 뭔가를 붙잡으려고 했지만, 그럴 수 없었어요. 그냥 계속 떠내려갔어요.]

그런데 인명피해가 발생한 커 카운티에서 차로 1시간 떨어진 마을에서는 단 한 명의 사망자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사이렌 덕분입니다.

[다니엘 모랄레스/컴포트 소방서 부국장: (사이렌 작동을) 수동으로 할 수 있는지 확인했고, 버튼을 누르고 있으니, 자동으로 3분간 사이렌이 울렸어요.]

당시 새벽이라 휴대전화 알림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거리로 나온 소방관들의 대피 명령을 듣지 못한 주민들도 이 사이렌을 듣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었는데요.

지난해 경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둔 것도 급박한 재난 상황에 빛을 발했습니다.

[다니엘 모랄레스/컴포트 소방서 부국장: 우린 준비돼 있었어요. 아무것도 없는 것보단 훨씬 낫죠.]

반면 커 카운티에는 컴포트 지역 같은 경보 시스템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폴 베튼코트/텍사스 상원의원: 사이렌 경보도 없었고요. 휴대전화가 서비스 지역이 아니었다면 알림을 받지 못했을 겁니다.]

커 카운티 지역을 휩쓴 홍수는 45분 만에 강물이 9미터까지 불어난 천재지변이었지만, 행정 당국의 늑장 경고와 안이한 대처가 인명피해를 불러왔다는 지적입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국립 기상청에 대한 예산 삭감과 인력 감축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백악관은 100년 만의 폭우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다며, 이번 참사의 원인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돌리는 것은 사악한 거짓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 편집: 임세정)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00 한동훈 “이재명 정부 전작권 전환 추진, 국민 동의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9 트럼프 ‘40% 관세’ 서한에 미얀마 군부 “진심으로 감사” 왜?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8 “코스피 2년 내 5000 가능”…JP모건이 내건 '이 조건'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7 ‘러닝인구 1000만’ 주장 무색… “성인 70%, ‘숨차는 운동’ 안 한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6 "농약 분무기로 고기에 소스 뿌려"…백종원,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 추가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5 “코스피 향후 5000 가능”…JP모건이 내건 '조건'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4 17번째 세계유산 나왔다…‘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3 강훈식, 첫조각 마무리에 "대통령 눈 너무높다…국민 판단만 남아"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2 의대 학장들 "의대생들 조건 없이 복귀 밝혀야··· 교육 단축 고려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1 [속보]‘반구천 암각화’ 한국 17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침수 문제 해결은 과제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90 의대 학장들 “의대생들 복귀 원하면 조건 없이 돌아와야”···학사 정상화 원칙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9 “이것 개혁하면 ‘오천피’ 가능”… JP모건의 진단은?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8 강화도 어민들, 北 핵폐수에 방사능 검출 주장한 유튜버 고소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7 ‘260명 사망’ 에어인디아의 추락 원인…“연료 스위치 차단”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6 선사시대 삶의 기록 ‘반구천 암각화’ 한국 17번째 세계유산 됐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5 “대통령님 눈 너무 높으십니다”…강훈식, 1기 내각 인선 소회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4 [속보] 울산 ‘반구천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3 국민의힘 지지율 하락 묻자 김문수 전 장관 한 말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2 ‘불금’에 대통령과 오겹살 외식한 사람은 누구?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49981 암벽 위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 세계유산으로 인정받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