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월 1~10일 수출 194억불
일평균 수출 증가율 9.5%
美中 양대시장서 동반선전
7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 상순에도 한국의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를 시작으로 미국의 관세 부과 계획이 현실화하고 있음에도 ‘수출 플러스’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수출 누계액은 3541억 21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 증가했다. 열흘 전까지는 3347억 140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다소 적었으나 뒤집기에 성공한 것이다. 이달 1~10일 초순만 떼어 놓고 보면 수출은 19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5%나 증가했다. 일평균 수출 증가율도 동일하다. 조업일수 영향은 아니라는 얘기다.

국가별로는 10개 주요 수출국 가운데 홍콩(4억 5000만 달러, -43.1%)을 제외한 나머지 9개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중국(37억 3600만 달러, 6.2%), 미국(34억 2900만 달러, 6.1%), 유럽연합(19억 5600만 달러, 3.6%), 베트남(17억 9100만 달러, 2.3%), 대만(9억 3900만 달러, 38.3%), 일본(8억 2300만 달러, 9.2%), 인도(5억 5600만 달러, 2.7%), 싱가포르(5억 1900만 달러, 6.6%) 말레이시아(3억 7000만 달러, 7.9%) 등이다. 미중 양대 시장으로의 수출이 견조했을 뿐만 아니라 신흥국 등 수출 다변화도 이뤄지고 있음을 짐작게 한다.

품목별로는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가 38억 2800만 달러로 12.8%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증가와 반도체 판매가격 상승 덕분이다. 이어 승용차(18억 100만 달러, 13.3%), 철강제품(12억 9600만 달러, 4.1%), 선박(8억 8900만 달러, 134.9%), 자동차부품(7억 달러, 2%) 정밀기기(2억 9400만 달러, 8.5%), 컴퓨터주변기기(2억 8400만 달러, 13.2%) 등의 수출이 늘었다. 반면 석유제품(13억 9800만 달러, -1.9%)과 무선통신기기(4억 1100만 달러, -13.7%), 가전제품(2억 300만 달러, -19.7%) 등의 수출은 줄었다.

올 하반기 첫 수출 지표가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지만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25%의 관세가 적용 중인 승용차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한 데는 미국 이외 대체 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해 7월 시작된 한국GM의 부분 파업 등에 따른 기저 효과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여서다. 25%에서 50%로 관세가 상향된 철강 역시 눈치보기 속 판가 상승분이 물량 감소분을 상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품목은 상호 관세가 본격 부과되기 전에 매입해두려는 미국 현지의 가수요도 일정 부분 섞여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출기업 90% “관세 15% 넘으면 못버텨”
■한경협 150개사 설문
하반기 수출은 1.6% 감소 전망


국내 주요 수출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가 15%를 넘기면 감당하기 어려운 경영 위협에 직면한다고 답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 중 수출이 주력인 기업(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에 비해 1.6%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철강(-5.0%)과 석유화학(-2.2%) 등의 수출 감소 폭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은 ‘트럼프 2기 관세정책(53.3%)’이 수출을 위협할 최대 요인이라고 답했다. 이어 ‘글로벌 저성장으로 인한 수요 침체(14%)’ ‘미중 통상 갈등 심화(12.7%)’ ‘원화 강세(8.7%)’ 순으로 위협 요인을 꼽았다.

특히 대부분의 기업은 다음 달 1일 미국이 25% 상호관세를 발효해 경영이 막다른 길에 내몰릴 것으로 우려했다. 기업 92%가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를 넘으면 “감내하기 어렵다”고 했고 응답 기업의 절반(50%)은 관세율이 10~15%만 돼도 “감당이 어렵다”고 호소했다.

기업들은 원가 절감(33.7%)과 수출 단가 조정(33.2%), 해외 현지 생산 확대(14.7%) 등으로 관세 위협에 대응할 예정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미국 정부와 통상 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0%)’와 ‘법인세 감세, 투자 공제 등 세제 지원 확대(18.7%)’ 등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 수출기업의 비교우위를 반영한 통상 협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제도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748 [단독] 정부, 美협상 위해 ODA 예산 삭감해 국방비 증액 가능한지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7 '강선우 방지법'까지 발의...논란의 여가부 장관 후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6 더위에 수박이 '3만 원'‥"복숭아도 쳐다만 봐"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5 실물경제가 아닌 그림자금융 리스크를 경계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4 사회성 제로 ‘전직 천재’, 엄마로 살다 ‘나’를 되찾다[오마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3 “바람 잘 날 없네”...백종원 ‘수난시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2 '지우학' 주동근 작가 "좀비물 '팬심'서 시작…시즌2 촬영 설레"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1 '억만장자 모임'서 위기 해법 모색한 이재용…글로벌 경영 향방 17일에 달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0 폭염 속 일산 대형마트서 숨진 60대…중처법 위반 여부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9 동해안 몰려든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8 드론의 등장은 ‘무죄’…드론 잡는 ‘탄약’에 드론 막는 ‘방탄복’까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7 [단독] "이재현 특명" 올리브영, 도쿄 1호점 낸다…日 뷰티시장 정조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6 조사 불응에 "모레 나오라"‥'강제구인'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5 사진이 8초 영상으로…구글, 동영상 생성 AI에 새 기능 추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4 '기생충' 제친 K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장성호 감독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3 냉방의 역습! 시원할수록 허리 못 편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2 [실손 대백과] 의료자문 동의해야 보험금 준다더니… 36% 못 받거나 삭감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1 조선의 ‘폭싹 속았수다?’…확 달라진 북한 드라마 [뒷北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0 나쁜 대통령, 이상한 대통령 그리고 바쁜 대통령[신문 1면 사진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29 [내일은 못볼지도] 임박한 위험, 꿀벌이 사라진다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