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구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뉴스1
김건희 여사 집사로 불리는 김예성(48)씨의 차명 회사가 ‘집사 게이트’ 관련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차명 회사를 통해 대기업 투자금 일부를 부당 취득한 정황이 드러나면서다. 다만 법원은 특검법상 수사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영장청구를 기각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지난 7일 집사 게이트와 관련해 청구한 압수수색영장에는 ‘이노베스트코리아’가 적시됐다. 김씨가 대기업 투자를 활용해 엑시트하는 과정에서 이노베스트코리아를 차명으로 활용했다고 의심하면서다. 집사 게이트는 각종 형사 사건, 오너리스크에 처한 대기업과 금융회사들이 김건희 여사 청탁 목적으로 김씨와 연관된 IMS모빌리티에 자금 184억원을 우회지원했다는 의혹이다.
특검팀은 2023년 투자금 중 일부가 김씨 측으로 흘러갔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 돈이 김 여사의 비자금이나 김씨의 개인적 용도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특검팀은 당시 투자 계약에 따라 이노베스트코리아가 소유한 지분 4.64%가 46억원에 판매됐는데, 이노베스트코리아를 김씨 차명 회사로 판단하고 있다. 투자에 앞서 2022년 말 김씨는 지분 4.64%를 이노베스트코리아에 양도했다.
2022년 8월 이노베스트코리아 설립 당시 김씨 아내 정모(47)씨는 감사로 재직하다 지난해 5월 유일한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같은 시기 주소지도 김씨 부부가 거주하는 제주의 아파트로 옮겼다. 현재 정씨가 이노베스트코리아 대주주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다만 투자 당시 대표이사는 A씨, 대주주는 원양산업에 종사하는 B씨였다.
2023년 당시 이노베스트코리아가 김씨가 사내이사로 등재됐던 C사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 점도 특검이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C사에는 IMS모빌리티 관계자들도 사내이사 등으로 등재됐다.
특검팀은 지난 4월 이노베스트코리아 소재지가 제주에서 서울 강남으로 이전된 것에 대해 증거인멸 여부도 살피고 있다. 이전 시기가 김씨 출국 10일 전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자녀와 함께 베트남으로 출국한 뒤 현재까지도 귀국하고 있지 않다. 정씨는 휴대전화를 해지해 둔 상태로, 휴대전화 교체 등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소재지도 불분명하다고 한다. 이날 특검팀은 언론 브리핑 및 공지를 통해 “현재 김씨는 물론 김씨 가족과 연락이 되고 있지 않다”며 “신속히 자진 귀국하여 수사에 적극 협조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사건을 맡은 민중기 특별검사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서 현판 제막을 마친 뒤 발언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법조계 안팎에선 집사 게이트 관련 압수수색영장 청구 기각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주피의자의 증거인멸과 도주 정황이 드러났는데도 이례적인 기각”(한 판사 출신 변호사)이라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특검법을 개정하는 등 특검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며 정치권에서도 거들었다.
IMS모빌리티 측은 “투자 당시 이노베스트코리아는 김씨와 무관한 제3자의 회사였다. 투자자들도 김씨가 회사와 연관이 없다는 걸 확인하고 투자를 결정했다”며 “뇌물성 투자는 성립될 수 없다. 김 여사와 어떠한 관계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회사가 정씨 명의로 바뀌어 당혹스럽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