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인터뷰서 연일 보복관세 군불때기…'對트럼프 항전' 나서나
"미국이 우리제품 안사면 아시아 포함 새로운 시장 직접 찾을 것"


10일(현지시간) '브라질과 브라질 국민'이라고 적힌 모자 쓴 브라질 주민
[브라질리아 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명목 국내총생산(GDP)·인구 규모·영토 면적 등 각종 지표에서 남미 최대국으로 꼽히는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이 50%의 초고율 관세 폭탄을 투하하려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항전 의지를 다지는 분위기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무역 긴장 완화를 우선순위로 삼으면서도 상황에 따라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 들겠다는 메시지를 연일 발신하고 있다.

룰라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2015년 댐 붕괴 사고 피해자들에 대한 37억 헤알(9천100억원 상당) 지원 프로그램 출범 행사에서 "저는 미국이 브라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싸우겠다"며 "그런데도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는 보복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브라질 정부 공식 유튜브로 생중계된 이날 행사에서 룰라 대통령은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간 교역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최근 15년간 미국과의 교역에서 발생한 누적 적자 규모가 4천100억 헤알(101조원 상당)에 달한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미국은 브라질과의 무역 적자를 기록하지 않고 있는데도 (불공정) 무역 문제라며 관세를 매겼다"고 강조했다.

룰라 대통령은 별도로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브라질과 브라질 국민'이라고 적힌 파란색 모자를 쓴 자신의 사진을 게시했는데, 이는 각종 공식 행사에 빨간색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를 쓰고 등장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연상하게 한다.

브라질 대통령의 이런 행보는 트럼프식 겁박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취지의 뉘앙스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자국 내 지지율 하락을 경험하고 있는 룰라 대통령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서한 공개 이후 며칠 만에 3차례 이상의 현지 언론 인터뷰와 대통령궁 성명을 통해 보복 관세 부과를 포함한 맞대응 필요성을 띄우며 여론을 환기하는 모습이다.

연설하는 룰라 대통령 옆모습(실루엣)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로 공개한 트럼프의 50% 관세 부과 예고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쿠데타 모의 등 혐의 사건 재판을 비롯한 정치적 이유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그 부당성을 부각하는 한편 부정확한 데이터를 '공격 근거'로 삼은 것에 대해 논리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브라질 대통령실은 지난 9일 성명에서 "쿠데타 계획에 책임 있는 자들에 대한 사법 절차는 브라질 사법부 관할에 속한다"며 "일방적인 관세 인상은 브라질의 경제호혜주의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룰라 대통령은 또 '조르나우 다 헤코르드'·조르나우 나시오나우' 등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도 "브라질은 존중받아야 하며, 정부가 용납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면서 "협상 등 모든 과정이 실패하면 우리도 미국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또 양국 상호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는 산업을 위해 "제가 직접 브라질 제품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것"이라면서 "미국이 우리 제품을 사지 않으면, 아시아를 포함해 (브라질 제품을) 사려는 국가를 찾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부연했다.

2003∼2010년 1·2기 정부 당시 실용 외교로 브라질 국가 경쟁력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받는 룰라 대통령은 2023년 1월 3기 정부 출범 이후 2년여 만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비(非)서방 연합체 브릭스(BRICS) 정상회의 등 각종 다자회의를 주관하면서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 강화에 공을 들였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 주요국으로 꼽히는 인도·인도네시아 등과도 연대 강화에 나서미국과 거리를 두려는듯한 구도를 만들어 왔다.

앞서 전날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에서는 트럼프를 규탄하는 군중 시위가 진행되기도 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809 트럼프 “친구가 적보다 나빠”…상호관세 적극 협상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8 전세계 톱10 해수욕장이 한국에 있다, 은빛 모래 구슬피 우는 곳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7 김계리 "尹, 돈 한푼 없어 아무것도 못 사"…영치금 계좌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6 짠 음식이 위암 유발한다는데…무심코 먹어도 기준 초과 [건강하십니까]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5 이진숙·강선우 ‘버티기’… 국힘 “증인 ‘제로’ 자료 ‘맹탕’이 뉴노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4 "마크롱, 영부인한테 또 한대 맞겠네"…4살 어린 영국 왕세자빈에 '윙크'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3 달러의 상승 반전…월가선 “트럼프, 무역전쟁에서 승리 중” 주장도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2 오늘도 최고 36도 불볕더위··· 내일 폭염 '이중 뚜껑' 풀려도 덥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1 이 대통령 "골목 살아야 경제도 살아‥가까운 식당 외식에 동참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00 김태효 “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 목격”…‘VIP 격노설’ 수사 급물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9 '안산 인질 살해' 무기징역 김상훈, 교도소서 동료 수용자 폭행(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8 “어떤 나라에 태어나고 싶나요”… 10대들이 꼽은 답변 1위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7 방시혁의 ‘은밀한 계약’...“터질게 터졌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6 미 국무부, 외교관·공무원 1353명에 해고 통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5 당내서도 문전박대…조지연 '출판기념회 금지' 설득 분투기, 왜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4 "트럼프, 내달 50% 구리관세에 정련동·반제품까지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3 주유소 기름값 4주 만에 하락‥"다음 주도 내릴 듯"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2 36도 폭염 피해 12도 동굴로…여기가 별천지로구나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1 미 국방부 "한미, 전작권 전환 위해 계속 협력 중"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90 [단독] 장관 후보자 ‘버티기’, 대통령실 인청TF 지침 ‘버팀목’ 삼았나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