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들리 전 총재 “관세 정책 아직 불분명”
몇 달 내 경제 여파 나타날 것···기다려야
금리 인하 시 오히려 연준 독립성 우려 증가
“후임 의장 지명 시도, 파월 의장 못 흔든다”
빌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지난 2017년 3월 21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빌 더들리 전 뉴욕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집중 포화에도 불구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없으며 인하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경제가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불안한 데다 금리 인하는 자칫 연준이 행정부에 굴복하는 모양새가 돼 또 다른 비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들리 전 총재는 1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 칼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했지만 통화 정책이 동결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동결을 결정해야 하는 첫 번 째 이유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을 꼽았다. 그동안 관세 발표일이 4월 9일에서 7월 9일로, 또다시 8월 1일로 미뤄지는 등 관세 대상국과 품목, 세율, 시기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지켜보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는 설명이다. 더들리는 “트럼프 대통령은 친구인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을 기소했다는 이유로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부과했다”며 “이는 관세 근거가 경제적 이유를 넘어 얼마나 광범위한지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브라질은 대미 무역 적자국”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정책의 경제 영향이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점도 금리를 동결해야 할 근거로 꼽았다. 인플레이션을 높이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올지, 노동시장을 둔화시키는 결과를 맞을 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더들리 전 총재는 “인플레이션 측면에서 관세가 물가에 전가되는 현상이 미미한 이유는 단순히 상품 주문 시점과 최종 판매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일 수 있다”며 “노동 시장 역시 채용률이 감소하지만 불법 이민 단속과 추방 증가, 기업들의 해고 회피로 인한 노동시장 참여 둔화로 (실업률 상승 요인이) 상쇄되고 있는 것”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관세 정책과 정책 여파는 몇 달 내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며 “연준 내 위원들간의 금리 전망 격차도 이에 따라 줄어들 게 될 것”이라고 봤다. 이와 함께 현재 금리 수준이 경제를 상당히 제약하는 수준 에 미치지 못하는 점도 동결의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후임 지명 시도 등 더욱 연준에 대한 공격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봤다. 다만 이같은 시도가 금리 정책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관측했다. 더들리 전 총재는 “오히려 이런 압력은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만약 연준이 정치적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인식된다면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커져 인플레이션 기대가 흔들리게 될 위험이 커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855 북러, 원산서 외무장관 회담 개최… “양국 관계는 전투적 형제애”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54 한국인 11명 태운 중국 버스기사, 뇌출혈에도 브레이크 놓지 않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53 이 대통령, 보수 언론인과 2시간 대화‥'배짱 외교' 조언에 '모병제' 공감대까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52 "지금 집 사야 할까요"...혼돈의 부동산 시장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51 안성 에어컨 보관 창고서 불…1시간여 만에 초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50 하늘에서 깨달은 ‘내가 정치하는 이유’ [.txt]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9 “혼자 있고 싶을 때 화장실 가요”… Z세대 푹 빠진 스트레스 해소법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8 리박스쿨 청문회…“압력으로 느끼셨죠?” “압력으로 느꼈습니다”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7 이재명 대통령 "소비쿠폰으로 경제 선순환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6 尹 관저 ‘골프연습장’ 제보자, 기자에게 한 첫 마디는? [취재후토크]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5 23시간 '안산 인질극' 벌였던 살해범, 동료 수용자 폭행해 추가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4 국힘 19% 지지율에…안철수 "찐윤 세도정치 완전히 막 내려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3 정규재 “이 대통령 ‘시진핑, 경주 APEC 올 것’이라고 말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2 정규재 "李대통령 '시진핑 경주 APEC 올 것'이라고 말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1 저출산위, 청소년·청년 국민위원회 발족…"미래세대 의견 청취"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40 북러, 원산에서 외무장관 회담…"양국관계는 전투적 형제애"(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39 李정부 기조 'ARF 성명' 반영됐다…CVID 빠지고 "대화 재개" 강조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38 K팝 확산 쉽지 않네… JYP 글로벌 걸그룹 ‘비춰’, 4인조로 재편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37 박찬대 "당대표, 이재명 정부 뒷받침해야…그래서 제가 적격"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36 폭염 속 대형마트서 카트 정리하다 숨진 60대 근로자…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