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박윤주 외교부 1차관(왼쪽부터). 외교부 제공
이재명정부 첫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11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가운데 3국이 북한과 대화 재개 필요성에 공감대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개최됐다. 다자회의 기간 동안 3국 외교장관은 일정을 조율해 만남을 성사시켰다.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이 참석했다. 한국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어 박 1차관이 대신 자리했다.
이 자리에서 한·미·일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가 확고함을 재확인하고, 3국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북 억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박 1차관은 남북 간 긴장 완화와 대화 재개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미·일 측과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박 1차관은 남북한 대화 재개를 위한 노력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을 미·일에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일 역시 북한 비핵화 원칙은 견지하면서도 대화를 위한 외교적 공간은 열어둬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외교 소식통은 전했다.
이번 만남은 미국 측이 먼저 제안했고, 한·일도 3국의 고위급 외교라인 회담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3국 회의 이후 박 1차관은 쿠알라룸푸르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의는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라며 “신임 장관 임명 전임에도 불구하고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된 건 3국 간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각급에서 3국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방위비 인상 요구 등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