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혹 휩싸인 논문 다수는 예술 등 비이공계 분야 연구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6월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전혀 문제가 없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가 ‘이공계 관행’을 언급하며 연구 윤리 위반 논란에 휩싸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옹호하고 나섰다. 학계에선 황당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연구 분야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이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학문 별 차이로는 설명하기 힘든 논문 작성과 연구의 기본 원칙을 훼손했다고 봐서다.

문 수석부대표의 발언은 11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나왔다. 그는 “보통 교수가 외부에서 가져온 프로젝트에 (대학원생이) 공동 참여해서 그걸 토대로 석사학위 논문을 쓴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경우) 공동저자로 교수도 제자와 함께 이름 올려 학술지에 제출해도 된다고 이공계 윤리지침에 나와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공계가 다른 학계에 견줘 논문 작성과 심사 기준에 다소 차이가 있는 건 사실이다. 한국과학기술지편집인협의회(KCSE)와 한국연구재단이 펴낸 ‘이공계 연구윤리 및 출판윤리 매뉴얼’(이공계 논문 매뉴얼)에는 “대부분 이공계 연구는 협업의 형태로 이뤄지기에 논문 저자는 지도교수나 책임연구원을 포함한 다수가 된다”며 “이 점은 인문계열의 경우와 아주 다르다”라고 나와 있다. 이 매뉴얼은 “인문계열, 특히 문학, 사학, 철학에서는 ‘논문 작성시에 일어나는 사고의 발전이 논문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이 적성한 논문에는 지도교수가 저자로 함께 들어가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해 학생이 단독 저자가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쓰여 있다.

문제는 이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단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한 대학의 이공계 전공 교수는 한겨레에 “제자 학위 논문을 인용 없이 자신을 제1저자로 넣어 발표하는 행위가 이공계 관행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제자 논문을 그대로 옮겨오면서도 저자에 제자 이름을 뺀 이 후보자의 논문 사례를 겨냥한 것이다. 인용이나 주석 표기와 같은 논문 작성의 기본 규칙도 지키지 않은 사례도 적잖다. 실제 앞서 언급한 이공계 논문 매뉴얼에도 제자 논문을 적절한 출처 표기 없이 활용하거나, 저자의 기여를 누락하는 행위를 용인한다는 내용은 없다.

충남대 연구윤리지침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연구자가 속한 학문 분야에서 윤리적 또는 법적으로 비난을 받을만한 행위인지 여부 △학계의 관행과 특수성 등을 두루 고려해 연구부정행위를 판단한다고 돼 있다. 이 후보자가 주로 활동한 한국색채학회 또한 연구윤리 관련 규정에도 “다른 사람의 글을 인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차용(참고)할 경우에는 반드시 주석을 통해 인용 여부 및 참고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쓰고 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또다른 한 교수는 “이공계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연구윤리지침은 없다”며 “설사 프로젝트 참여자로서 제자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등의 행위가 이공계 관행이라고 할지라도 학계 전체에 통용되는 기본적인 연구 윤리 지침에 맞게 작성된 건지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 후보자의 논문 147편 가운데 80편가량은 공학 분야가 아닌 예술일반, 디자인, 미술 등으로 분류가 돼 있다는 점이다. 현재 논란이 된 대부분의 논문들도 공학 이외 분야에 속해 있다.

이 후보자 논문을 검토 중인 전국 교수·학술 단체 14곳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오는 14일 검증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773 남편 내린 다른 여성 차…쫓아가 들이받은 40대 "선고유예" 왜 랭크뉴스 2025.07.12
54772 美, 지난달 무역전쟁으로 역대 최고 관세수입‥작년 4배 수준 랭크뉴스 2025.07.12
54771 울산 반구천 암각화 오늘 세계유산 등재 유력 랭크뉴스 2025.07.12
54770 "마감 쫓겨 그만"…12년 애독자 뒤통수 친 '이 만화' 랭크뉴스 2025.07.12
54769 37년간 쓴 공짜 지하수, 폭염에 고갈됐다…이 아파트 결국 랭크뉴스 2025.07.12
54768 여고생·관광객 따라다니며 음란행위…'바바리맨' 징역 2년 랭크뉴스 2025.07.12
54767 李대통령, '원로 보수 논객' 조갑제·정규재 오찬···"지혜를 보태달라" 랭크뉴스 2025.07.12
54766 더위가 사망 원인 1위 되는 날... 폭염은 불평등도 키운다 랭크뉴스 2025.07.12
54765 '파죽지세' 비트코인, 11만8천달러선 돌파 후 일단 숨고르기 랭크뉴스 2025.07.12
54764 ‘친윤 라인 중용’ 검찰 인사가 불편한 이유 랭크뉴스 2025.07.12
54763 원조 친명만큼이나 실속 챙긴 이해찬계... 실용주의 노선 닮은 꼴[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7.12
54762 [시승기] 전기차 느낌의 하이브리드 SUV… 푸조 ‘올 뉴 3008’ 랭크뉴스 2025.07.12
54761 이재명 정부의 미래가 될 수 있을, 경기도의 ‘주 4.5일제’ 실험 랭크뉴스 2025.07.12
54760 [스타트UP] 티로흐 “나노기술 활용해 야외 스포츠용 피부보호제 개발” 랭크뉴스 2025.07.12
54759 "너도 여드름?" 약 먹기도 바르기도 부담된다면... '빛·금·열' 치료 고려를 랭크뉴스 2025.07.12
54758 흉터 남기지 않고 자궁외임신 수술…마음의 흉터까지 고려했다 랭크뉴스 2025.07.12
54757 ‘자본론 굽던 시골빵집’, 다시 원점에서 ‘삶의 균’ 발효중 [.txt] 랭크뉴스 2025.07.12
54756 '맥주 한잔도 불법'인데 범죄자 넘쳐난다…인도 불편한 속사정 랭크뉴스 2025.07.12
54755 토요일 최고기온도 36도···수요일에 비 소식 랭크뉴스 2025.07.12
54754 미 법원 “AI 학습, 저작권 침해 아냐” 잇단 판결···저작권 논쟁 새 국면 맞나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