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파면되고 재구속..."집회 동기 사라져"
서부지법 가담자들 줄줄이 실형도 영향
차벽 등 철저 대비한 경찰 경비도 한몫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를 위해 호송차를 타고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입구에 들어서고 있다. 하상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구속영장이 발부된 10일 새벽.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인근에 대기하던 지지자들 200여 명이 탄식과 욕설을 쏟아냈다. 다만, 올해 1월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직후 벌어진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처럼 광기 어린 집단 폭력은 없었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라 지지자들이 크게 줄어든 데다 서부지법 사태 가담자들이 무더기로 실형을 선고받은 점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한다. 경찰이 법원을 둘러싸고 경계 태세를 강화한 것도 주효했다. 여기에 찜통더위도 지지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하는 데 한몫했다.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열리기 직전인 9일 오후 2시 무렵 신자유연대 등 강성 보수 단체가 서울중앙지법 서문 쪽에서 개최한 '영장 기각 촉구' 집회엔 1,000여 명(경찰 추산)이 모였다. 전날 신고 인원(4,000명)의 25% 수준이다. 올해 1월 18일 윤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심사 당일 서부지법 일대에 3만6,000명(경찰 추산)이 운집한 것과 비교하면 확연히 줄어든 규모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혐의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장실질심사가 열린 9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법 인근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영장 기각 촉구 집회를 하고 있다. 강예진 기자


눈에 띄게 결집력이 약해진 원인으로는 반년 새 바뀐 윤 전 대통령의 '신분'이 우선 꼽힌다. 1월 서부지법 사태 때는 '현직 대통령을 지킨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탄핵 뒤 조기 대선 패배로 정권까지 바뀌면서 지지자들이 예전처럼 대규모로 모일 만한 동력을 잃었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국민의힘마저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고 있지 않냐"며 "고립무원인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도 집회에 나갈 동기가 사라졌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경찰 관계자도 "서부지법 사태 당시 보수 진영이 대거 뭉치며 일부 젊은 세대의 과격 행동을 부추겼지만 이번엔 결집력이 매우 약해진 터라 별다른 선동 행위도 없었다"고 말했다.

서부지법 사태에 가담한 폭력 시위자들이 줄줄이 엄벌을 받은 것도 과격 행동 없는 '조용한 해산'에 영향을 줬다. 지난달 법원은 소화기로 유리창을 깨고 영장 발부 판사를 찾겠다며 법원 7층에 난입한 '녹색 점퍼남' 전모(29)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 전씨 외에도 경찰을 폭행한 이모(34)씨, 벽돌을 던져 청사 외벽을 파손한 조모(30)씨 등도 각각 징역 3년과 2년 6개월의 실형을 받았다. 서부지법 사태로 법정에 선 피고인은 모두 96명에 달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지 1시간 뒤인 10일 새벽 3시쯤 경찰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서문 쪽 진입로를 봉쇄한 채 시위대를 지켜보고 있다. 최현빈 기자


법원 내 폭동이 재연되지 않게 강도 높은 경계 태세를 유지하겠다고 공언한 경찰의 경비 작전도 한몫했다. 서부지법 사태 때 경찰은 기동대 2,900명(48개 부대)를 배치했다가 영장심사가 종료된 오후 9시쯤 35개 부대를 철수시켰다. 흥분한 지지자들이 들이닥친 새벽 3시 무렵 남은 경찰관은 780명(13개 부대)에 불과해 난동을 조기 진압하는 데 실패했다. 경찰은 이를 반면교사 삼아 이번 영장심사 때는 이른 오전부터 일대를 차벽으로 둘러싸고, 심사 결과가 나온 이튿날 새벽엔 법원 진입로를 통제선으로 봉쇄하는 등 '철통 경계' 태세를 유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741 '억만장자 모임'서 위기 해법 모색한 이재용…글로벌 경영 향방 17일에 달렸다 랭크뉴스 2025.07.12
54740 폭염 속 일산 대형마트서 숨진 60대…중처법 위반 여부 조사 랭크뉴스 2025.07.12
54739 동해안 몰려든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랭크뉴스 2025.07.12
54738 드론의 등장은 ‘무죄’…드론 잡는 ‘탄약’에 드론 막는 ‘방탄복’까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12
54737 [단독] "이재현 특명" 올리브영, 도쿄 1호점 낸다…日 뷰티시장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12
54736 조사 불응에 "모레 나오라"‥'강제구인' 검토 랭크뉴스 2025.07.12
54735 사진이 8초 영상으로…구글, 동영상 생성 AI에 새 기능 추가 랭크뉴스 2025.07.12
54734 '기생충' 제친 K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장성호 감독 랭크뉴스 2025.07.12
54733 냉방의 역습! 시원할수록 허리 못 편다 랭크뉴스 2025.07.12
54732 [실손 대백과] 의료자문 동의해야 보험금 준다더니… 36% 못 받거나 삭감 랭크뉴스 2025.07.12
54731 조선의 ‘폭싹 속았수다?’…확 달라진 북한 드라마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5.07.12
54730 나쁜 대통령, 이상한 대통령 그리고 바쁜 대통령[신문 1면 사진들] 랭크뉴스 2025.07.12
54729 [내일은 못볼지도] 임박한 위험, 꿀벌이 사라진다 랭크뉴스 2025.07.12
54728 독방에 고립된 ‘우두머리’ 윤석열, 이제야 “후회한다”는 내란 공범들 [법정 417호, 내란의 기록] 랭크뉴스 2025.07.12
54727 살인적인 폭염...정부 결국 ‘파격 조치’ 랭크뉴스 2025.07.12
54726 [유튜브월드] 뉴스 강세 속 AI 버튜버 돌풍…유튜브 판 흔든다 랭크뉴스 2025.07.12
54725 트럼프 인형 태우며 "미국인 탓"…집값 8배 폭등에 분노한 이 나라[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7.12
54724 “일 안 해도 더 번다” 실업급여 근로소득 추월 랭크뉴스 2025.07.12
54723 [샷!] 허수경·사유리부터 이시영까지 랭크뉴스 2025.07.12
54722 돈없어 폭염에 초교 에어컨가동도 주저…인천교육청 재정악화 비상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