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파면되고 재구속..."집회 동기 사라져"
서부지법 가담자들 줄줄이 실형도 영향
차벽 등 철저 대비한 경찰 경비도 한몫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를 위해 호송차를 타고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입구에 들어서고 있다. 하상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구속영장이 발부된 10일 새벽.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인근에 대기하던 지지자들 200여 명이 탄식과 욕설을 쏟아냈다. 다만, 올해 1월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직후 벌어진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처럼 광기 어린 집단 폭력은 없었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라 지지자들이 크게 줄어든 데다 서부지법 사태 가담자들이 무더기로 실형을 선고받은 점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한다. 경찰이 법원을 둘러싸고 경계 태세를 강화한 것도 주효했다. 여기에 찜통더위도 지지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하는 데 한몫했다.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열리기 직전인 9일 오후 2시 무렵 신자유연대 등 강성 보수 단체가 서울중앙지법 서문 쪽에서 개최한 '영장 기각 촉구' 집회엔 1,000여 명(경찰 추산)이 모였다. 전날 신고 인원(4,000명)의 25% 수준이다. 올해 1월 18일 윤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심사 당일 서부지법 일대에 3만6,000명(경찰 추산)이 운집한 것과 비교하면 확연히 줄어든 규모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혐의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장실질심사가 열린 9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법 인근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영장 기각 촉구 집회를 하고 있다. 강예진 기자


눈에 띄게 결집력이 약해진 원인으로는 반년 새 바뀐 윤 전 대통령의 '신분'이 우선 꼽힌다. 1월 서부지법 사태 때는 '현직 대통령을 지킨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탄핵 뒤 조기 대선 패배로 정권까지 바뀌면서 지지자들이 예전처럼 대규모로 모일 만한 동력을 잃었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국민의힘마저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고 있지 않냐"며 "고립무원인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도 집회에 나갈 동기가 사라졌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경찰 관계자도 "서부지법 사태 당시 보수 진영이 대거 뭉치며 일부 젊은 세대의 과격 행동을 부추겼지만 이번엔 결집력이 매우 약해진 터라 별다른 선동 행위도 없었다"고 말했다.

서부지법 사태에 가담한 폭력 시위자들이 줄줄이 엄벌을 받은 것도 과격 행동 없는 '조용한 해산'에 영향을 줬다. 지난달 법원은 소화기로 유리창을 깨고 영장 발부 판사를 찾겠다며 법원 7층에 난입한 '녹색 점퍼남' 전모(29)씨에게 징역 3년 6개월을 선고했다. 전씨 외에도 경찰을 폭행한 이모(34)씨, 벽돌을 던져 청사 외벽을 파손한 조모(30)씨 등도 각각 징역 3년과 2년 6개월의 실형을 받았다. 서부지법 사태로 법정에 선 피고인은 모두 96명에 달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지 1시간 뒤인 10일 새벽 3시쯤 경찰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서문 쪽 진입로를 봉쇄한 채 시위대를 지켜보고 있다. 최현빈 기자


법원 내 폭동이 재연되지 않게 강도 높은 경계 태세를 유지하겠다고 공언한 경찰의 경비 작전도 한몫했다. 서부지법 사태 때 경찰은 기동대 2,900명(48개 부대)를 배치했다가 영장심사가 종료된 오후 9시쯤 35개 부대를 철수시켰다. 흥분한 지지자들이 들이닥친 새벽 3시 무렵 남은 경찰관은 780명(13개 부대)에 불과해 난동을 조기 진압하는 데 실패했다. 경찰은 이를 반면교사 삼아 이번 영장심사 때는 이른 오전부터 일대를 차벽으로 둘러싸고, 심사 결과가 나온 이튿날 새벽엔 법원 진입로를 통제선으로 봉쇄하는 등 '철통 경계' 태세를 유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763 원조 친명만큼이나 실속 챙긴 이해찬계... 실용주의 노선 닮은 꼴[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7.12
54762 [시승기] 전기차 느낌의 하이브리드 SUV… 푸조 ‘올 뉴 3008’ 랭크뉴스 2025.07.12
54761 이재명 정부의 미래가 될 수 있을, 경기도의 ‘주 4.5일제’ 실험 랭크뉴스 2025.07.12
54760 [스타트UP] 티로흐 “나노기술 활용해 야외 스포츠용 피부보호제 개발” 랭크뉴스 2025.07.12
54759 "너도 여드름?" 약 먹기도 바르기도 부담된다면... '빛·금·열' 치료 고려를 랭크뉴스 2025.07.12
54758 흉터 남기지 않고 자궁외임신 수술…마음의 흉터까지 고려했다 랭크뉴스 2025.07.12
54757 ‘자본론 굽던 시골빵집’, 다시 원점에서 ‘삶의 균’ 발효중 [.txt] 랭크뉴스 2025.07.12
54756 '맥주 한잔도 불법'인데 범죄자 넘쳐난다…인도 불편한 속사정 랭크뉴스 2025.07.12
54755 토요일 최고기온도 36도···수요일에 비 소식 랭크뉴스 2025.07.12
54754 미 법원 “AI 학습, 저작권 침해 아냐” 잇단 판결···저작권 논쟁 새 국면 맞나 랭크뉴스 2025.07.12
54753 [이지 사이언스] "행복해지고 싶으면…오프라인 행사 많이 참석하세요" 랭크뉴스 2025.07.12
54752 ‘김건희 집사’ 김씨는 누구?…대기업들의 석연찮은 180억 투자 랭크뉴스 2025.07.12
54751 “김건희-노상원 비화폰 통화”, 김태효는 HID와 무슨 일을? [논썰] 랭크뉴스 2025.07.12
54750 아이들에게 꼭 양산 씌우세요…기상청이 당부하는 이유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12
54749 사도 바울이 유튜버였다면… ‘좋댓구알’ 대신 ‘말씀·기도’로 소통 랭크뉴스 2025.07.12
54748 [단독] 정부, 美협상 위해 ODA 예산 삭감해 국방비 증액 가능한지 검토 랭크뉴스 2025.07.12
54747 '강선우 방지법'까지 발의...논란의 여가부 장관 후보 랭크뉴스 2025.07.12
54746 더위에 수박이 '3만 원'‥"복숭아도 쳐다만 봐" 랭크뉴스 2025.07.12
54745 실물경제가 아닌 그림자금융 리스크를 경계하라 랭크뉴스 2025.07.12
54744 사회성 제로 ‘전직 천재’, 엄마로 살다 ‘나’를 되찾다[오마주]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