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법안 발의에 기대감 ↑
주 4.5일제 내세운 현 정부, 긍정적 검토하나
무더위가 이어진 2일 경기 고양시 일산호수공원 분수대에서 학생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스1


동남아시아를 방불케 하는 폭염 속에 엿새 앞으로 다가온 제헌절(7월 17일)의 공휴일 재지정 여부가 누리꾼들 관심사로 떠올랐다. 17년 전인 2008년 제헌절을 공휴일에서 제외한 이유가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기업 생산성 하락 우려였던 만큼,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이재명 정부에선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는 '희망 회로'가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헌법 중요성 제고 위해 '제헌절 공휴일' 필요"



직접적인 계기는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9일 대표 발의한 '공휴일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이다.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이 이 법안의 골자다. 강 의원은 "헌법의 중요성과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제헌절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려 한다"고 이유를 밝혔다.

한발 더 나아간 움직임도 있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제헌국회의원 유족회'는 11일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해당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요청했다. 제헌절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결과, 민주공화국 근간이 되는 헌법 제정의 역사적 의의도 시민들의 기억 속에서 흐려지고 있다는 이유였다. 우 의장 역시 공감을 표하며 법안 처리를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여정부 시절 '비공휴일 전환' 결정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날로 △삼일절(3월 1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5대 국경일이다. 하지만 이 중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니다. 1950년부터 공휴일로 기념해 왔지만, 2008년 비(非)공휴일로 분류됐다. '비즈니스 프렌들리'(친기업)를 내세운 이명박(MB) 정부 때의 일이다.

제71주년 제헌절이었던 2019년 7월 17일, 대구의 한 아파트에서 극소수 가구의 베란다에만 게양된 태극기가 쓸쓸하게 펄럭이고 있다. 대구=뉴스1


다만 관련 법령의 개정은 그보다 앞선 노무현 정부 시절 이뤄졌다. 참여정부는 2005년 3월 여당(열린우리당)과의 당정 협의에 따라 2006년부터 식목일을, 2008년부터는 제헌절을 공휴일에서 각각 제외하기로 합의했다. "주 40시간 근무제가 도입됨에 따라 공직사회 및 사회 전반의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함"('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 이유)이라는 게 당시 정부의 설명이었다. 이후 노동계·법조계를 중심으로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 요구가 꾸준히 나왔으나, '기업 부담이 가중되고 국가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이유로 번번이 무산됐다.

공휴일 제외 후 재지정, 한글날이 유일



하지만 이번에는 다를 수도 있어 보인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시대상 변화와 새 정부 출범이 맞물리면서 '제헌절을 공휴일로 다시 지정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많이 일하고도 생산성이 낮은 현재 방식으로는 국제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며 주 4.5일제를 추진하려 하는 이재명 정부의 기조는 제헌절 공휴일 부활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물론 법 개정 절차 등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면 당장 이번 제헌절에는 시행하기 힘들 전망이다. 지금까지 공휴일 제외 후 재지정 과정을 거친 국경일은 한글날이 유일하다. 1991년 비공휴일이 됐던 한글날은 2013년 다시 공휴일이 됐는데, 이에 대한 국무회의 의결은 시행 9개월 전 이뤄졌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40 러시아, 美 예일대 불법 단체로 지정 랭크뉴스 2025.07.12
49739 “제가 아빤데요”…부모라도 양육권 없이 아이 데려가면 ‘미성년자유인죄’ 적용된다 랭크뉴스 2025.07.12
49738 미 국무장관 “트럼프·시진핑 회담 가능성 크다” 랭크뉴스 2025.07.12
49737 “33세 연하 예비 며느리와 눈 맞은 아빠”…전 재산 들고 ‘사랑의 도피’ 랭크뉴스 2025.07.12
49736 브라질 룰라 "美 관세부과 않도록 싸울 것…안 되면 우리도 50%" 랭크뉴스 2025.07.12
49735 집중투표제 넣은 ‘더 강한 상법’···야 “경영권 압박” 여 “과도한 우려” 공방 랭크뉴스 2025.07.12
49734 SKY 최소·현역의원 최다·기업인 선호…李 1기 내각 인선 마무리 랭크뉴스 2025.07.12
49733 "대낮에 양손에 흉기 들고 도심 활보"‥알고보니 현직 경찰 랭크뉴스 2025.07.12
49732 바다 펄펄 끓자 몸값 펄쩍 뛴 ‘국민 횟감’ 랭크뉴스 2025.07.12
49731 “내수에 총력” 직원들에 소맥 건넨 이 대통령…안주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12
49730 강남 한복판서 출근 여성 뒤쫓아 '로우킥'…검은 옷 남성 추적 중 랭크뉴스 2025.07.12
49729 美국무부 "공동도전 대응 위한 한미일 협력을 우선순위로 삼아" 랭크뉴스 2025.07.12
49728 비트코인 11만8000달러도 돌파…美의회 암호화폐 법안 기대 반영 랭크뉴스 2025.07.12
49727 김계리, 尹 사저 압수수색에 "거기 뭐 있다고…쇼질 좀 작작" 랭크뉴스 2025.07.12
49726 '시총 4조 달러'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170달러선 접근 랭크뉴스 2025.07.12
49725 [단독] 버스 탔더니 '불가마'‥에어컨 왜 세게 못 트나 랭크뉴스 2025.07.12
49724 대림동 들이닥친 극우단체…중국동포·이주민 “인종차별 그만” 호소 랭크뉴스 2025.07.12
49723 김태효 "대통령 화내는 것 들었다"... 특검서 '尹 격노설' 인정 랭크뉴스 2025.07.12
49722 ‘VIP 격노’ 정조준 채상병 특검, 윤석열 사저 압수수색·김태효 첫 조사 랭크뉴스 2025.07.12
49721 트럼프, 무역 상대국에 "그저 열심히 일하라"... 관세 협상 압박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