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사고 현장에 가장 먼저 달려가는 사람, 소방관. 그들이 119 구급차를 몰며 바라본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 시리즈를 연재하는 백경 소방관은 구급대원으로 9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출동 현장에서 너무 많은 죽음을 보아서일까요. 그는 매일 유서를 쓰고 잠이 듭니다. 그가 매일 마주하는 삶과 죽음, 절망과 희망의 이야기.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출동 벨이 울렸다.
동시에 프린터가 지령서를 출력했다.

‘머리가 아프다. 빨리 와 달라.
수시 이용자 김OO’

눈에 익은 이름이었다.
아니, 눈에 익다 못해 보기만 해도
뒷머리가 쭈뼛 솟는 이름이었다.

그는 두통으로, 요통으로, 복통으로, 치통으로
아픈 부위를 매번 바꿔 가며 신고했다.
올해만 119 신고 건수가 100건을 넘겼다.

일러스트 = 김지윤 기자

# 택시처럼 구급차 부르는 남자
집 앞으로 달려가면
여름이나 겨울이나, 낮이나 밤이나
똑같은 해병대 군복에 정글모 차림을 하고
구급차를 향해 손을 흔들었다.

차가 멈추면
제 손으로 처치실 문을 열고 들어오며
“씨X, 구급차가 왜 이렇게 늦어?”
라고 씹어뱉었다.

구급차는 그의 전용 리무진이요
구급대원들은 하수인인 셈이었다.

“OO병원으로 갑시다.”
말하는 입에서는 늘 술 썩은 냄새가 진동했다.

구역질을 참고 남자를 응급실에 데려가면
그때부터 또 다른 시련의 시작이었다.
그가 이미 온 시내 병원에서
이름을 날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습적으로 미수금을
납부하지 않는 건 물론이요,
의료진들을 조롱하고 욕설을 퍼부으며
의도적으로 싸움을 유도했다.

한 번은 병원 보안요원 면전에 대고
‘병신’이라고 했다가
멱살 잡히기 직전까지 갔는데,
때마침 출동한 경찰이 제지한 덕에
보안요원은 손을 더럽히지 않을 수 있었다.

비슷한 일이 반복되자 시내의 모든 응급실이
진료를 거부하기에 이르렀다.

(계속)
하지만 김씨의 악질적인 민원은 점점 심해졌다. 김씨는 어떤 일까지 벌였을까? 백경 소방관은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데,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 “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해병 군복남 ‘100번째 신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8869
추천! 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①‘6684#’ 여교사 유언이었다…교감이 두려워한 소문의 실체
젊은 여자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다. 월요일 오전, 학교 측에 아무 이야기 없이 결근했다. 여자는 말수가 적었지만 이따금 소소한 담화를 나누는 동료들이 있었다. 그들에게 여자의 번호로 문자가 왔다. ‘6684#, 죄송합니다’ 6684#은 무슨 뜻이었을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여자에게 어떤 사연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34

②저수지 뒤지다 기겁했다…치매 노모 실종 5시간 뒤 생긴 일
“엄마가 사라졌어요.” 다급하고 황망한 목소리였다. 시골집에 홀로 살고 있던 엄마가 마치 연기처럼 사라졌다고 했다. 너무 덥거나 추운 날 실종된 치매 노인들의 최후는 대개 비슷했다. 열기를 못 이겨 죽거나, 얼어 죽었다. 도대체 노인에겐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82

③피범벅 남자와 의문의 여자…"쪽팔렸다" 소방관의 고백
그 날 출동장소는 빌라 3층이었다. 사람이 쓰러져 있다는 신고였다. 소생 장비를 챙겨 올라갔다. 출입문을 열었는데 예상 밖의 상황이 펼쳐졌다. 입과 코에서 연신 피를 흘리는 남자와 곁에서 눈물범벅이 돼 자릴 지키고 있는 여자가 눈에 들어왔다. 이들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7082

④죽음의 이유, 전우는 몰랐다…군인이 남긴 ‘변기 위 쪽지’
산길을 따라 십여 분쯤 달리자 군부대가 나타났다. 생활관 화장실 가장 안쪽 칸막이 문 앞에서 당직사관이 바닥에 누운 병사의 가슴을 쉼 없이 누르고 있었다. 군화끈으로 목을 맸지 싶었다. 죽음을 결심한 병사는 아주 작은 쪽지를 남겼다고 했다. 그에겐 슬픈 사연이 있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329

⑤“이 죽음의 냄새, 쫄지 말자” 20대 커플이 남긴 악취 정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4100

⑥모녀는 112 대신 119 불렀다…손찌검 남편이 풍긴 ‘시체 냄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878

⑦“정녕 한국이 낙원입니까” 썩은 탈북자 시신, 그 옆 성경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783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329 코스피 장중 3200 돌파, 3년10개월 만에 최고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8 트럼프 “나머지 국가, 15%든 20%든 관세 내야…캐나다에는 35%”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7 트럼프 “캐나다에 35% 관세 통보... 나머지 모든 국가, 15%든 20%든 지불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6 트럼프 “나머지 모든 국가엔 15%나 20%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5 코스피, 연고점 재차 경신하며 상승 출발… 3200선 돌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4 [인싸M] "중국 유학생은 1억 지원' 일본 선거 달군 '외국인 우대' 진실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3 서울 낮 최고 36도 폭염·열대야 지속…제주도엔 3일간 비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2 [속보] 4년만에 코스피 3200 돌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1 태양광 쓰면 전기요금 오른다는데…꼭 해야 하나요, 전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20 고속도로 멈춘 화물차, 2중 추돌로 화재…2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9 이란 외교장관 “지금은 NPT 탈퇴 계획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8 대통령실 “최저임금 17년 만에 노·사·공 합의 결정, 의미 커···최대한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7 [오늘의 1면 사진] 이른 폭염이 불러온 '녹조 습격'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6 더위엔 간단하게, 오이로 만드는 여름 메뉴 제안 [쿠킹]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5 서울, 12일만에 열대야 벗어났지만…한낮 36도까지 올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4 "가장 높이 날았다"…'33년만의 1위' 한화이글스에 에어팟 맥스 쐈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3 참고서 문제 통째로‥사립고 기말고사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2 美텍사스 홍수 사망 120명·실종 170여명…재난청 축소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1 “집값 하락 해피엔딩 올지 모르겠다…한은 비은행권 권한 커져야” [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7.11
54310 290원 오른 최저임금 1만320원…윤 정부 첫해보다 인상률 낮아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