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크모어

Menu

랭크뉴스 › 다음은 한덕수·이상민‥'외환' 규명도 본격화

랭크뉴스 | 2025.07.11 06:36:03 |
[뉴스투데이]
◀ 앵커 ▶

내란 특검은 수사를 시작한지 22일 만에, 윤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했습니다.

이제 남은 기간의 관 건은, '내란 공범'.

그리고 '외환혐의'에 대한 수사입니다.

구나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내란' 특검은 현판식도 하지 않고 속전속결로 수사를 개시했습니다.

조은석 특별검사 임명 6일 만인 지난달 18일,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을 추가 기소했고 이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그리고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추가 기소했습니다.

내란 사태 주요 가담자들이 구속기간 만료로 석방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출석 요구 없이 곧바로 체포영장을 청구하는 '초강수'를 뒀습니다.

이미 경찰 출석 요구에 3차례 불응한 만큼, 이첩받은 사건의 연속성을 고려할 때 이미 체포 사유가 충분하다는 이유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의 정식 출석 요구는 한 차례도 없었다며 반발했고, 법원도 체포영장을 기각했습니다.

하지만 특검은 곧장 출석일을 통보하며 수사개시 열흘 만에 윤 전 대통령을 공개 소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차 조사를 두고 윤 전 대통령 측이 수차례 기일 변경을 요구하며 '버티기 전략'을 구사할 때에도, 이렇게 생긴 1주일의 시간 동안 한덕수 전 국무총리,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 김주현 전 민 정수석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김성훈 전 차장까지 윤 전 대통령의 혐의를 입증할 관련자들을 줄줄이 불러 조사했습니다.

영장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구속 기간 20일 안에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을 추가기소하면 구속 기간은 최대 6개월까지 늘어납니다.

사실상 수사기간 내내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해둘 수 있다는 뜻입니다.

김 전 장관과 노 전 사령관의 구속 기간도 연장돼 아직 조사가 더딘 외환 혐의 실체 규명에 집중 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습니다.

특검은 또 구속영장 청구서에 공범으로 적시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 강의구 전 실장이나 계엄 직후 '안가회동'에 참석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올릴 전망입니다.

MBC뉴스 구나연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목록

랭크뉴스 [54,688]

21 / 2735

랭크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