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런치플레이션'에 구내식당 투어·도시락 싸오기
"진짜 최고의 복지 중 하나는 구내식당"
"도시락, 돈 아끼려 시작했는데 정성 쏟게 돼"
점심식사 9천원 이상 쓰는 직장인, 2020년 18%→작년 62%


'가성비 맛집' 구내식당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지난 8일 낮 12시 서울 여의도 한 회사의 구내식당에 직장인들이 줄을 서고 있다. 2025.7.11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저희 회사는 제 짝꿍, 본부장님, 팀장님도 도시락 싸와서 같이 먹어요. 심지어 가끔은 사장님도." (유튜브 이용자 'pos***')

"구내식당 있는 회사 6년 다니다가 없는 회사로 이직해 다니니까 소중함을 깨닫는다." (스레드 이용자 'quie***')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상승) 속 식비를 줄이기 위해 도시락을 싸서 출근하거나 가성비 높은 구내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밀프렙 루틴'이나 '구내식당 맛집 투어' 등 알뜰하게 점심 식사를 해결하는 직장인들의 일상이 콘텐츠가 되고 있다.

'가성비 맛집' 구내식당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지난 8일 낮 12시 서울 여의도 한 회사의 구내식당에 직장인들이 줄을 서고 있다. 2025.7.11


"제대로 된 밥 먹으려면 만원은 기본"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한 회사의 구내식당.

가성비 맛집으로 소문난 이곳 구내식당은 오전 11시 30분부터 인근 직장인들이 모여들며 식당 입구까지 기다란 줄이 생겼다.

이 구내식당의 중식 한 끼 가격은 8천원으로, 식권만 구입하면 외부인도 식사를 할 수 있다. 이용자가 많은 탓인지 식당 앞에는 "혼잡도 증가로 외부인은 12시부터 이용 부탁드린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었다.

식당 내부 테이블 대부분은 자리가 차 있어 식판을 들고 빈 좌석을 찾는 이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한식을 먹고 싶을 때마다 이곳을 찾는다는 직장인 양모(35) 씨는 "여의도에서 제대로 된 밥을 먹으려면 1만원은 기본이고, 요즘에는 1만2천원도 거뜬히 든다"며 "이곳에서는 이모님께 말하면 밥도 리필이 되고 곰탕에 고기반찬까지 주니 말 그대로 '혜자'"라고 했다. '혜자'는 가격에 비해 양과 질이 좋다는 의미다. 앞서 GS25가 출시한 김혜자 도시락이 '가성비가 좋다'는 의미로 '혜자롭다'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데서 비롯된다.

또 다른 직장인 이우주(29) 씨는 "밖에서 샌드위치만 먹어도 8천원이 넘는데 밥과 국, 반찬까지 나오는 한상차림에 이 가격이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한 구내식당에서 계속 먹으면 물리기 때문에 인근 구내식당을 돌아다니며 먹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6천∼8천원으로 샐러드바가 따로 있거나, 입가심으로 탄산음료를 주는 곳도 있다"며 "외부 음식점은 정말 기분 내고 싶을 때만 간다"고 덧붙였다.

온라인에도 구내식당 이용기가 이어진다.

스레드 이용자 '_nor***'은 "진짜 최고의 복지 중 하나는 구내식당. 뭐 먹을지 생각 안 해도 되고, 따로 안 나가도 되니 시간도 절약되고, 사람 몰려서 기다릴 일도 없다"고 남겼고, 'hey***'은 "요즘 서울 구내식당 탐방 중. 음식 만드는 것도 귀찮고 점심값도 아끼고 사람 구경도 할 수 있다"고 했다.

직장인 도시락 밀프랩
[인스타그램 캡처. DB 및 재판매 금지]


"파트장도 함께 도시락 먹어요"
3년 차 직장인 김하린(30) 씨는 일요일마다 5일 치 점심 도시락을 싸는 것이 일상이 됐다. 도시락통도 하루에 하나씩 꺼내갈 수 있도록 5개를 구비했다.

김씨는 "도시락을 싸면 한 끼에 2천∼4천원 정도 든다"며 "구내식당이 따로 없어 늘 밖에서 사 먹어야 하는데 한 끼를 8천∼1만원으로 계산하면 월에 10만원 넘게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락을 싸오는 것은 직급을 가리지 않는다. 김씨는 "옆 파트는 파트장님도 함께 도시락을 싸서 팀원들과 먹는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돈도 돈이지만 메뉴를 고르고 움직이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니 30분 만에 식사를 끝내고 자유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점이 좋다"며 "산책하거나, 뜨개질·게임을 하는 등 자유롭게 시간을 보낸다"고 설명했다.

SNS에는 김씨처럼 점심 도시락을 준비하는 직장인을 위한 밀프렙(meal prep: 미리 만들어둔 먹거리)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최근에는 식비 절약을 넘어 도시락을 예쁘게 꾸며 인증하는 문화도 생겼다. 캐릭터를 활용하거나, 하나의 색을 테마로 하는 등 방식도 다양하다.

스레드 이용자 'hee***'은 "식비를 생각해서 현실적이면서도 귀엽게 만드는 것이 나의 도시락 철학"이라고 했고, 또 다른 이용자 'tan***'은 "돈 아끼자고 시작했다가 '날 위해 온전히 집중한 시간이 하루에 얼마나 될까' 하며 점점 더 정성을 쏟게 된다"고 남겼다.

그런가 하면 중년층은 저마다의 건강을 위해 저염, 저칼로리 식단으로 도시락을 싸기도 한다.

[스레드 캡처. DB 및 재판매 금지]


점심값 9천원 이상 쓰는 직장인 62%…2020년엔 18%였는데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0년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지난달 지수는 124.79로 약 25% 올랐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16% 오른 것과 비교하면 외식 물가 상승률이 1.5배 가파른 것이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점심값 급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만 19∼59세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직장인 중 점심식사 1회당 평균 9천원 이상을 썼다는 직장인은 61.9%였다.

응답률이 높은 순서대로 보면 9천원대가 24.7%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1만원대(18.4%), 8천원대(10%), 1만1천원대(8.9%) 등 순이었다.

2020년 조사 당시 평균 9천원 이상을 쓴다는 응답률은 18.1%에 불과했다. 4년 사이 43.8%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구내식당이 있는 경우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이 주 3회 이상 이용하고 있었다. 이용 빈도에 대해 '거의 매일'(41.2%), '주 3∼4회'(29.9%)라고 응답한 비율이 71.1%에 달했다.

1인 기준 구내식당 식대는 5천원대(24.4%), 6천원대(16.4%) 등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향후 직장 선택 시 구내식당 유무를 고려할 것인지 묻는 질의에 응답자 70.6%가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꼭 구내식당이 아니어도 식사 관련 복지를 제공해주는 회사에 호감을 느끼는 응답자는 전체의 84.6%로 집계됐다.

나날이 치솟는 외식 물가에 정부는 직장인 점심값 지원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후보자 신분이었던 지난달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직장인들의 점심값이나 이런 문제가 너무 고통스럽다는 걸 잘 안다"며 "매일매일 부딪히는 음식 물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430 보은서 드론으로 농작업 하던 60대, 드론 날개에 중상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9 [Why] 中 공산당원 수가 사상 최대치를 돌파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8 천장 뚫은 비트코인, 강세 요인 2가지 ‘엔비디아·기관’… 올해 14만달러 간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7 [속보] 윤 전 대통령, 구치소에 특검 조사 불출석 사유서 제출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6 “4대 이모님 가전 모실게요”~폭염 기승에 매출 3배 뛴 ‘이 제품’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5 잇단 19% 지지율에 TK 지지층도 이탈…국힘 "심각하고 엄중"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4 "고객님께 설명 드릴 마음 없다"… 현대차 상담 직원 불친절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3 “최상목 대행 몸조심 바란다” 이 대통령 대표 시절 발언 피고발 사건···경찰 불송치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2 조용필, 광복 80주년 기획 KBS 단독 공연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1 친부가 보육교사 속여 자녀 하원…대법 "미성년자 유인죄"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0 국민의힘, 또 19%…TK도 버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9 8년 전엔 “친박 모리배” 비판…이번 국힘 혁신위는 ‘친윤’ 말도 못 꺼내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8 해병특검, 구속된 尹 자택 압수수색…'VIP 격노설' 강제수사(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7 TK·PK도 민주당에 역전 당했다...10%대 고꾸라진 국힘 지지율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6 홍준표 “이진숙, 전현희 선례 따라가”…전현희 “나랑은 전혀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5 관세 협상 남은 3주…‘인하’ 가능할까 [뉴스in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4 “더운데 복도 창문 왜 닫아?”···대구 아파트서 70대 남성, 이웃에 흉기 위협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3 "서울신라호텔 또 붐비겠네"…6년 만에 다시 선보이는 '품절대란템',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2 ‘가족’인데…‘물건’ 취급 반려견 사고, 위자료 가능할까 [개st상식]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1 尹, 재구속 후 특검 첫 조사 응할까…불응시 강제구인 관측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