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NYT "적 드론, 美본토에 밀수돼 작전시 9·11 항공기테러와 유사"
"미사일방어용 '골든 돔', 드론 방어체계 구축에도 활용 기대"
"드론잡는 '고출력 극초단파' 시스템 중동·태평양지역서 테스트"


'거미줄 작전'으로 러시아 항공기 타격하는 우크라이나군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최근 러시아와 이란에서 공격용 드론의 위력이 여실히 확인되면서 미국도 해외미군기지는 물론 본토에 대한 드론 방어 시스템 강화에 비상이 걸렸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달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 깊숙이 몰래 반입한 드론을 활용해 러시아의 전략폭격기를 비롯해 군용기를 다수 파괴하는 데 성공한 일과, 같은 달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기습 공격 때 이란에 몰래 반입된 이스라엘 드론이 보여준 위력 등이 미국에 상당한 자극제가 됐다는 것이다.

이들 드론 작전이 있기 전에도 미국 국방부는 작년초 요르단내 기지에 주둔하고 있던 미군 3명이 이란의 지원을 받은 민병대의 드론 공격에 숨진 일을 계기로 해외 미군 기지의 드론 방어 체제를 강화해왔다.

그러나 최근 수개월간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가 각각 적진 깊숙한 곳에 드론을 침투시켜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보면서 미국은 해외 미군 기지뿐만 아니라 미 본토도 드론 방어에 대한 잠재적 취약성을 확인하게 됐다고 NYT는 소개했다. 이처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은폐가 용이한 드론이 전쟁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지켜보면서 미국의 대(對)드론 방어 체제 강화 필요성이 더욱 시급하고 절실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중동내 친이란 민병대를 활용한 드론 공격으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던 이란이 역으로 이스라엘의 드론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은 군사용 드론 기술의 '확장성'을 보여준 일이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방산 기업들은 더 효과적으로 적성국의 드론을 요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중이다.

특히 이들은 미 국방부가 미사일방어에 투자할 예정인 수십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인 이른바 '골든돔 프로그램'이 새로운 드론 방어 체계 구축에도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군은 여러 기의 드론을 한꺼번에 떨어뜨릴 수 있는 고출력 극초단파 시스템을 중동과 태평양 지역에서 각각 테스트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미국은 이미 지난 수년간 적성국의 드론, 미사일 등을 요격하기 위한 겹겹의 대공 방어망 구축에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드론전 기술의 발전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첨단 기술을 활용한 대응 태세 구축의 시간표가 당겨진 형국이다.

이와 관련,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최근 '자폭용 일방향 드론'이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했다고 지적하고, 드론전과 대(對)드론 방어를 책임지는 조직을 육군 주도로 신설하는 방안을 승인한 바 있다.

드론 탐지 및 파괴 장비를 만드는 미국 군수업체 안두릴 관계자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9·11(2001년 9월11일 발생한 알카에다의 대미 동시다발 항공기 테러)과 비슷한 형태의 문제인데, 우리는 여전히 '9월10일'('9·11 이전'의 의미)의 마인드"라며 "재앙적 공격을 당하고 나면 우리가 그런 공격이 오고 있음을 파악하고 있어야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281 불더위 속 폐지 모아 3천원 손에…"돈 없는 게 죄니 어쩌겠소" 랭크뉴스 2025.07.11
54280 노사, 최저임금 합의는 ‘양보’…‘큰 숙제’ 떠안은 정부 랭크뉴스 2025.07.11
54279 “이것이 바로 조선의 타이칸”...현대차가 만든 ‘슈퍼카’의 정체 랭크뉴스 2025.07.11
54278 경영계도 노동계도 "아쉽다"...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랭크뉴스 2025.07.11
54277 비트코인 파죽지세…11만6천 달러선도 사상 첫 돌파(종합) 랭크뉴스 2025.07.11
54276 윤석열 재구속에···떨고 있는 ‘내부자들’은 누굴까[점선면] 랭크뉴스 2025.07.11
54275 박지원에 "한쪽 눈 없으시잖아요"... 시각장애인 변호사 사과 랭크뉴스 2025.07.11
54274 서울 '10억 이하' 아파트 계약 47%→67%...규제 후 중저가에 몰린 수요 랭크뉴스 2025.07.11
54273 [비즈톡톡] ‘1+1=3’ 마법 만든 애플과 중국의 공조… “파티는 끝났다” 랭크뉴스 2025.07.11
54272 인구 10명 중 3명 이상 토지 소유…60대 가장 많아 랭크뉴스 2025.07.11
54271 인천 곳곳 '땅꺼짐'‥사흘 연속 발생하기도 랭크뉴스 2025.07.11
54270 폭염 작업에 ‘20분 휴식’ 오늘 재심사…휴식 보장 의무화될 듯 랭크뉴스 2025.07.11
54269 [현장+] “BTS 컴백하는데”…방시혁 오너 리스크에 흔들리는 하이브 랭크뉴스 2025.07.11
54268 논문 표절에 중학생 자녀 조기 유학…여당 ‘이진숙을 어쩌나’ 랭크뉴스 2025.07.11
54267 열 받은 판자촌, 창문도 없다…손선풍기로 버티는 쪽방촌 눈물 랭크뉴스 2025.07.11
54266 에어컨 없는 2평대 독방 수감된 尹···수용번호는 '3617' 랭크뉴스 2025.07.11
54265 "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똥내 군복남 '100번째 신고' 랭크뉴스 2025.07.11
54264 [단독]재개발앞둔 ‘미아리텍사스촌’ 철거현장 가보니…성매매여성들 여전히 “생계 막막” 랭크뉴스 2025.07.11
54263 [단독]평양 무인기 침투 증거인멸? 드론통제車, 폐차 직전 막았다 랭크뉴스 2025.07.11
54262 [속보] 비트코인 급등, 11만6천 달러선도 돌파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