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 페달에서 잠시 발을 떼기로 했다. 섣부른 인하는 서울 집값 상승만 부추길 수 있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

10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5%로 유지하기로 했다. 금통위원 6명 전원 일치다. 앞서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5월까지 경기 부양 등을 이유로 총 4차례(총 1%포인트) 금리를 낮췄다. 올해 1월과 4월엔 동결했다.

김영옥 기자
인하의 발목을 잡은 건 고삐 풀린 서울 집값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에 집중된 집값 상승 속도가 지난해 8월보다 빠르다”며 “정도로 따지면 지금이 더 경계감이 심하다”고 했다. 일단 한 차례 숨고르기하며 6·27 대출 규제 효과로 주택시장 과열이 진정되는지 지켜본 후 추가 금리 인하 시기와 폭을 결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43% 뛰었다.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6년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었다. 다만 정부의 6·27 대출 규제에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률은 2주 연속 둔화하며 지난주엔 0.29%를 기록했다.

모든 금융권 가계대출 증감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세도 한은이 신경 쓰는 부분이다. 한은은 6·27 대책 전 늘어난 주택 거래로 8~9월까지는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0%(올해 1분기 89.4%)에 가까워 이미 소비와 성장을 제약하는 임계 수준”이라는 게 이 총재의 진단이다. 그는 “일단 수도권 주택가격이 상승하지 않도록 기대 심리를 안정시키고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정책 우선순위”라고 설명했다.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 타이밍을 놓치면 1%대 성장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한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3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집행으로 성장률 추가 둔화는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은은 이번 추경으로 올해 성장률이 지난 5월 전망치(0.8%)보다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총재는 “저소득층에서는 한계소비성향이 0.5 정도(받은 돈의 50% 소비), 고소득층에서는 0.1 조금 넘는 수준(10% 이상 소비)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 총재는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 협상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1%대 성장률 달성을 언급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했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 시기가 불투명하다는 점도 이번 동결의 배경이다. 시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7월 말 금리를 동결하고, 향후 인하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날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19명의 Fed 위원 중 다수가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위험을 지적했고, 이 가운데 7명은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이 먼저 금리를 내려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지금의 2%포인트보다 벌어지면, 외국인 투자금 이탈과 환율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내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시장도 8월 인하에 무게를 두고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312 美텍사스 홍수 사망 120명·실종 170여명…재난청 축소 논란 랭크뉴스 2025.07.11
54311 “집값 하락 해피엔딩 올지 모르겠다…한은 비은행권 권한 커져야” [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7.11
54310 290원 오른 최저임금 1만320원…윤 정부 첫해보다 인상률 낮아 랭크뉴스 2025.07.11
54309 비트코인 11만6000 달러 돌파…연일 최고가 경신 랭크뉴스 2025.07.11
54308 [단독] ‘CJ대한통운·LX판토스 임차’ 부산 대형 물류센터 매물로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11
54307 내란재판 불출석 尹 특검반발? 지연전술?…구속적부심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11
54306 시총 역사 쓰는 ‘엔비디아’…배경엔 쿠다와 GPU가 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11
54305 [주정완의 시선] 표절 의혹에도 ‘내로남불’인가 랭크뉴스 2025.07.11
54304 약육강식 도심 속 야생서 생존한 '동물농장 길냥이'... 지금은 잘 지내나요? 랭크뉴스 2025.07.11
54303 법학교수 34명 "조국 사면해 광복절 국민통합해야"... 李대통령에 탄원 랭크뉴스 2025.07.11
54302 어린 토끼도 잡아 먹는다…'몸통 3cm' 귀여운 이 녀석의 반전 랭크뉴스 2025.07.11
54301 투자냐 승계 밑그림이냐…태광의 1.5조 신사업과 EB 막차 논란 랭크뉴스 2025.07.11
54300 “비트코인 11만 2000달러 돌파…재테크 시장 불 지폈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7.11
54299 짧은 장마·폭염이 부른 히트플레이션… 수박 한 통 3만원 육박 랭크뉴스 2025.07.11
54298 '내란 우두머리' 구속 여파… '尹의 남자들' 입장 돌아설까 랭크뉴스 2025.07.11
54297 [속보] 비트코인 급등, 11만6000 달러선도 돌파 랭크뉴스 2025.07.11
54296 [단독] “폭염 속 에어컨 고치다 어질”…주 50시간 강요받는 LG 노동자 랭크뉴스 2025.07.11
54295 자사주 의무 소각, 개미들이 원하는 이유 있었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11
54294 11일 금요일도 낮 최고기온 36도 무더위 이어져 랭크뉴스 2025.07.11
54293 "할인 쏟아져요" 서울 사는 서핑족, 양양 숱하게 간 뒤 벌어진 일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