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아세안 및 동북아 3국(한국·일본·중국)과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외교 고위 당국자가 아세안 및 일본·중국 외교 수장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차관은 10일 오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해 "재개되는 한일중 3국 협력과 '아세안+3' 메커니즘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지정학적·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아세안+3'의 역할은 중요해졌다"며 "한국 정부는 아세안, 일본, 중국과 함께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를 실질적인 '아세안+3' 협력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앞서 열린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의 새로운 정부에서 한국은 상호 신뢰·존중·이익에 기반해 아세안과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CSP)를 더욱 심화·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과 역량에 대해 지속적 신뢰와 지지를 보내준 아세안 회원국에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선 지난해 10월 채택된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 공동성명'의 세부 이행계획 성격인 '2026∼2030 행동계획'(POA)도 채택됐다. 기존 '2021∼2025년 POA'에 '평화', '전략대화', '초국가범죄', '한반도' 등 항목이 추가됐다.
박 차관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북한을 겨냥한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는데, 남북관계 개선을 희망하는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