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코로나 전사' 정은경, 배우자 마스크 주식 보유
현직 의원 강선우는 때아닌 '갑질 논란' 휩싸여
'與 아픈 손가락' 이진숙… "청문회서 소명 가능"
그래픽=강준구 기자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을 채울 16명의 장관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하는 인사청문회가 다음주 몰아친다. 자체적으로 7대 인사 검증 기준까지 만든 국민의힘은 "하나같이 의혹투성이"라며 검증의 칼날을 벼르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단 한 명의 낙마도 없다"고 철통 방어에 나서는 모습이다. 다만 교육부 수장으로 자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진보 교육 단체 중심으로 반발이 적지 않아 여권의 부담이 커지는 모습이다.

'슈퍼위크' 일정은?



다음주 국회는 그야말로 '인사청문회 슈퍼위크'다. 14일엔 강선우(가나다 순) 여성가족부·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재수 해양수산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첫 스타트를 끊는다. 이어 권오을 국가보훈부·김성환 환경부·안규백 국방부·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15일), 김영훈 고용노동부·이진숙 교육부·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16일), 구윤철 기획재정부·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17일) 청문회가 진행된다. ‘슈퍼위크’ 마지막 날인 18일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등판한다.

일단 민주당이 수싸움에선 우위에 있다. 이론상 민주당이 상임위원장을 맡은 후보자(9명)들은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에 문제가 없고, 국민의힘이 상임위원장을 맡은 후보자(7명)들은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더라도 이 대통령의 임명 강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민 눈높이에 벗어난 후보자에 대한 인사를 이 대통령이 강행할 경우, 일방 독주를 비판하는 민심의 역풍이 커질 수 있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현판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어떤 의혹이?



역대 청문회 단골 의혹들도 어김없이 등장하는 모습이다. 국민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동산·재산 문제가 역시 빠지지 않았다. 정은경 후보자는 인천에 근무 중인 배우자가 강원도에 농지를 보유하고 있어 농지법 위반 의혹이, 강선우 후보자는 배우자의 스톡옵션 주식에 대한 재산 신고를 누락한 의혹이 불거졌다. 한성숙 후보자도 가족들에게 무상으로 집·건물·차량을 임대·증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해충돌 논란도 두드러졌다. 정동영 후보자는 올해 태양광 사업을 지원하는 법안을 발의했는데, 가족이 태양광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코로나19 사태' 때 질병관리청장으로 주목받았던 정은경 후보자는 당시 배우자가 손소독제와 마스크 관련 주식을 보유해 이익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때아닌 갑질 의혹도 불거졌다. 현직 의원인 강선우 후보자의 보좌진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강 후보자가 자택 쓰레기 처리·변기 수리 등을 요구했다고 폭로했다. 아울러 강 후보자가 국회의원이 된 2020년부터 올해까지 5년 동안 보좌진을 51명을 임용하고 46명을 면직처리하는 등 잦은 보좌진 교체도 도마에 올랐다. 국민의힘은 "갑질 의혹이 사실이면 장관 자격이 없는 것은 당연하고 국회의원 자격도 없다"고 공세 수위를 높이고 나섰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이진숙을 어찌할꼬



여당의 가장 '아픈 손가락'은 이진숙 후보자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표절 의혹'에 더해 '자녀 조기유학'까지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겐 치명적인 의혹들이 불거지면서 자격 논란이 커지고 있다. 당장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했던 범학계국민검증단이 이 후보자의 논문을 직접 검증해 청문회 전인 14일까지 결론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연구 윤리 위반 여부 결과가 나오면 지명철회나 자진사퇴를 촉구하겠다는 방침이라 여권의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방어가 쉽지 않다"는 기류가 강해지고 있지만, 일단 "청문회에서 소명하는 걸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다만 여권 일각에선 정권의 부담을 덜기 위해, 차명 부동산 대출 의혹이 불거지자 자진사퇴한 오광수 민정수석의 전례를 따를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연관기사
• '김건희 표절' 떠오르는 이진숙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14일 검증 결과 나온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1010290002262)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167 尹 수인번호 '3617'… 과밀 수용 탓 2평대 일반 독방 수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6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최저임금, 올해보다 290원 오른 1만320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5 한국 증시 시총 첫 3천조 원 돌파…코스피 또 연고점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4 美국무 “러 외무와 우크라전 새로운 아이디어 나눴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3 김포서 청량리까지 33분…‘지옥철’ 끝낼 서부권 GTX 신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2 초콜릿이 시리얼 먹었다…伊 페레로, 美식품업체 WK켈로그 인수(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1 [단독] 토스, 중소업체 계약서에 “네카오·쿠팡과 거래 말라”… 갑질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0 교육부 간부 "대통령실서 리박스쿨 관련단체 챙겨달라 압력"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9 尹, 124일만 서울구치소 재수감…‘수용번호 3617’ 달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8 의문의 투자 유치…김건희 ‘집사 게이트’ 열리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7 “리박스쿨, 정부 간첩 폭로 때 전두환 알리기” 윤 정부와 사전교감 있었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6 매출 3배 뛰었다…'여름 필수가전' 된 음식물처리기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5 “이달 초 택배노동자 3명 사망…온열질환 의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4 김건희·순직해병 양 특검 동시 수사 선상‥이종호는 누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3 국방부 등 전격 압수수색‥'VIP 격노설' 파헤친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2 한강 수영장서 20개월 유아 숨져…안전요원·CCTV도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1 [단독] 올리브영, 입점만 하면 허위광고도 ‘프리패스’?…부실심사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0 노 1만430원·사 1만230원…최저임금 10차 수정안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9 "경력 인정 못받아도 NO 상관"…30대 '중고 신입' 몰리는 이 회사 어디?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8 ‘수인번호 3617’, 구치소 독방 수용…1차 구속 때와 다른 점은?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