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SNS 캡처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안철수 의원이 인적 쇄신 대상자로 특정인을 지목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하남자 리더십으로는 당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
그러자 안 의원은 페이스북에 “하남자?”라는 짧은 문구와 함께 지난해 12월 7일 윤석열 전 대통령 1차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국민의힘에서 홀로 본회의장 자리를 지킨 사진을 게시했다.
하(下)남자는 ‘상남자’의 반대말로 소심하거나 겁이 많은 남자를 뜻하는 유행어인데, 자신은 집단적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소신을 지키는 정치인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당시 안 의원은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한 배경에 대해 “당론이 있다 하더라도 소신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하는 게 우선순위가 높다”고 밝힌 바 있다.
권 의원은 10일 페이스북에 “의원실에서 얼굴을 마주하고는 ‘전당대회 출마는 절대 없다’고 공언하더니 주말 사이 한동훈 전 대표를 폄훼하는 일부의 말을 듣고는 곧바로 ‘혁신위 철수 작전’을 실행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안 의원은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직에서 사퇴하면서 직전 지도부, 이른바 ‘쌍권’(권영세 전 비대위원장·권성동 전 원내대표)에 대한 인적 청산을 주장했으나 당 지도부가 수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권 의원은 “저는 지난주 당무감사위 조사에 직접 임해 후보 단일화 추진의 경위와 절차 전반에 대해 성실히 답변했다. 이 문제로 더 이상 동료 비대위원들, 특히 당 사무처 일선 직원들을 괴롭히지 않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대선 국면에서 당 지도부의 책무는 가장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출하고 승리를 위해 지원하는 것이다. 당시 한덕수 후보는 여론조사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지도부가 단일화를 외면했다면, 오히려 직무 유기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과반 국회의원들의 총의가 모여 단일화 절차를 추진했다. 그러나 과정에서 혼선이 있었고 저는 정무적 책임을 통감하며 사퇴 의사를 밝힌 바 있다”며 “다만 김문수 후보의 직접 요청에 따라 대선까지만 제한적 역할을 했다. 정치적 문제의 정치적 해결”이라고 했다.
권 의원은 “그런데 돌연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은 일련의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면서 돌연 ‘불공정과 불의, 반헌법과 반민주 새벽 후보교체 막장 쿠데타’로 규정하고 나섰다”며 “그 이유가 무엇이겠나. 한동훈 전 대표의 불출마 가능성을 틈타 동료 의원들을 희생양 삼아 본인의 당대표 당선을 노린 것”이라고 했다.
이어 “얼굴 나오는 인터뷰에서는 (인적 청산 대상으로) ‘특정인을 지목한 적 없다’고 하면서도 뒤에선 ‘권성동·권영세가 맞다’고 한다. 얼굴 보고는 하지 못할 말을 뒤에서 하는 것, 그것이 과연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인가”라며 “‘하남자 리더십’으로는 우리 당의 위기를 결코 극복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더욱이 안 전 위원장은 위헌적 요소로 점철된 특검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반헌법 척결을 외치면서, 정작 가장 반헌법적인 이재명식 특검에는 적극 환영하고 있는 모순”이라며 “결국 자신의 당대표 당선을 위해서라면 동료가 정치 수사의 희생양이 되어도 좋다는 태도다. 안철수 전 위원장이 말한 메스와 칼이 이재명의 특검이었던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무엇보다 당원들을 속여 일신의 영달을 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한 것”이라며 “부디 이번 전당대회가 자리다툼이 아닌, 보수 정치의 본령을 지키고 당을 재건하는 무대가 되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