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7월호
총수입 279조, 총지출 315조
관리재정수지 적자폭 역대 4번째
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기획재정부. 세종=이유지 기자


올해 5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폭이 54조 원대를 기록했다.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이 포함된 수치로 역대 네 번째다. 국가채무는 한 달 사이 19조 원이 증가했다.

1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7월호'를 보면 5월 말 기준 총수입은 작년 같은 달보다 21조6,000억 원 증가한 279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세수입은 172조3,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조3,000억 원 증가했는데, 지난해 기업실적이 개선되면서 법인세가 14조4,000억 원 늘어난 영향이 컸다. 실제 코스피 상장사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06조2,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74.4% 증가했다. 세외수입은 17조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6,000억 원 증가했고, 기금수입은 90조 원으로 3조3,000억 원이 감소했다.

총지출은 315조3,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조9,000억 원 증가했다. 특히 정부의 예산 집행 속도를 보여주는 지출 진도율은 45.9%로, 전년(48.6%·결산 기준)보다 2.8%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총지출 규모는 1차 추경분(13조8,000억 원)이 포함되면서 673조3,000억 원에서 687조1,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1차 추경 중 집행액이 3조2,000억 원에 그쳐 지출 속도가 늦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5월 기준 1차 추경 집행 실적은 22.9%로 목표 대비 집행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7월까지 추경분의 70%를 집행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2차 추경 편성에 연말 나라살림 적자 111조 예상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5조5,000억 원 마이너스였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54조2,000억 원 적자
였다. 총수입이 늘어난 덕에 작년보다는 20조2,000억 원 개선됐다.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2020년(77조9,000억 원), 지난해(74조4,000억 원), 2022년(71조2,000억 원)에 이어 역대 4번째로 컸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이 커 기저효과로 많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실제 국세수입이 증가한 영향도 있다"며 "2차 추경은 오는 9월 발표되는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31조8,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이 편성된 만큼 올해 말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111조6,00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마이너스(-) 4.2% 수준이다.

5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전월 대비 19조9,000억 원 증가한 1,217조8,000억 원
이다. 6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23조8,000억 원으로, 1∼6월 누계로는 123조8,000억 원어치가 발행됐다. 연간 총 발행한도의 59.8%를 채웠다. 6월 국고채 금리는 2차 추경 영향이 선반영돼 국고채 금리가 일시적으로 상승했지만, 추가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기재부는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100 "수영선수도 거긴 못 나와"…20대 4명 숨진 금강 상류, 어땠길래 [르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9 "가뭄에 단비" 하루 5000명 줄섰다…민생지원금 벌써 풀린 이곳 [르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8 리박스쿨 대표 "전두환 명예회복 돼야…백골단이 뭐가 문제냐"(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7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 "앞에선 '약자보호' 뒤에선 '갑질'‥사퇴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6 ‘윤석열 사단은 하나회’ 발언 이성윤…법원 “해임 정당”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5 [단독] ‘수인번호 3617’, 구치소 독방 수용…1차 구속 때와 다른 점은?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4 [단독] “통일교 간부가 건진에 ‘김건희 선물’ 준 시기는 윤석열 취임 전후”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3 “김포~청량리 33분”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예타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2 8m 빙하 아래 추락한 반려인, 치와와가 구했다…바들바들 떨며 “왈왈”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1 ‘VIP 격노설’ 피의자 김태효, 성균관대 교수 복귀···학생들 “‘구속종강’?”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90 “부산 한 병원에 폭탄 설치했다” 112 신고…경찰 수색 나서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9 [단독]채상병 특검, ‘이종섭 호주런’ 관련 한동훈·박성재·조태열 고발 사건 이첩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8 Z세대 ‘2배속 시청’, 뇌 건강에 악영향 줄 수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7 "한국인은 맨날 먹는 거 아니었어?"…아침에 '이것' 먹으면 얼굴 못생겨진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6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 당헌당규 수록 추진 발표(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5 트럼프 '관세 서한' 공습에도 잠잠한 美 증시…"경제 악영향 연말 나타날 것"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4 에어컨, 멀티탭에 꽂았더니 12분 뒤 화르르…절대, 절대 안 됩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3 국힘 ‘파산’ 신호…내란 윤석열정권 방탄 청구서 날아든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2 계속되는 상승 랠리에…증시 시총, 처음으로 3000조 돌파 new 랭크뉴스 2025.07.10
54081 "수박 1통 2만6000원"…폭염에 가격까지 더위먹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