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정지지율, 2주 전보다 3%p 상승…인사에 60%가 긍정평가
국힘, 1%p 하락해 19%…45% 기록한 민주와 격차 더 벌어져


박수치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 주제 영상을 시청한 뒤 박수치고 있다. 2025.7.8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 평가한 비율이 2주 만에 3%포인트(p) 상승해 65%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7∼9일 만 18세 이상 남녀 1천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일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잘하고 있다'는 답변은 65%로 집계됐다. '잘못하고 있다'는 답변은 23%였다.

이는 2주 전 실시된 직전 조사(6월 23∼25일) 대비 긍정 평가는 3%포인트, 부정 평가는 2%포인트가 각각 상승한 것이다.

이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6월 2주차 취임 직후(53%) 대비 12%포인트가 오르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성에 대한 질문에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이 64%,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응답은 26%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93%,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63%였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66%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45%였고, 국민의힘은 19%를 보였다.

민주당 지지도는 직전 조사와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으나, 국민의힘 지지도는 1%p 하락해 20% 밑으로 떨어졌다.

이밖에 개혁신당 5%, 조국혁신당 3%, 진보당 1% 순이었다.

내란 및 외환 사건과 관련해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구속 수사하는 것에 대해선 '찬성한다'는 답변이 71%, '반대한다'는 답변은 23%였다.

진보층은 93% 찬성했고, 중도층은 78%가 구속 수사를 지지했다. 보수층에서는 45%가 찬성했고, 52%는 반대했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찬성 응답 비율이 반대 응답을 크게 앞섰고, 70세 이상에서는 찬성 응답이 50%였다.

이 대통령 인사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60%,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29%였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91%,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69%였다. 중도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63%, 부정 평가가 26%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자회견에 대한 평가는 긍정 평가가 65%, 부정 평가는 18%였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총리 역할을 잘 수행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는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62%, '잘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25%였다.

수사와 기소를 분리해 검찰 권한을 분산시키는 현 정부의 검찰 개혁 방향에 대해선 찬성 58%, 반대가 29%였다.

현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다'가 53%, '잘못하고 있다'가 29%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윤석열 정부 때와 비교하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는 다소 늘고, 부정 평가는 줄어든 것이라고 NBS는 설명했다. 윤석열 정부 당시 2023년 1월 5주차 부동산 정책 평가는 긍정이 39%, 부정이 48%였다.

NBS는 "경제적 상위 계층과 중위 계층에서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가 각각 60%, 56%인 가운데 하위 계층에서의 긍정 평가는 49%로 나타났다"며 "스스로 인식하는 경제적 귀속계층이 높을수록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추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조치에 대해선 '부동산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라는 의견이 55%,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조치'라는 의견이 33%로 나타났다.

6개월 후 현재 거주 지역의 전반적인 주택 가격에 대한 전망은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50%, '상승' 25%, '하락' 18%로 조사됐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9.9%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170 [속보] 내년도 최저임금 시간당 1만320원…올해보다 2.9% 인상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9 외교 차관, 일·중 외교수장 조우…"아세안+3 협력 중요성 커져"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8 국정원 교류 의혹에 대통령실 압력 증언까지…與 ‘리박스쿨’ 맹폭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7 尹 수인번호 '3617'… 과밀 수용 탓 2평대 일반 독방 수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6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최저임금, 올해보다 290원 오른 1만320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5 한국 증시 시총 첫 3천조 원 돌파…코스피 또 연고점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4 美국무 “러 외무와 우크라전 새로운 아이디어 나눴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3 김포서 청량리까지 33분…‘지옥철’ 끝낼 서부권 GTX 신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2 초콜릿이 시리얼 먹었다…伊 페레로, 美식품업체 WK켈로그 인수(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1 [단독] 토스, 중소업체 계약서에 “네카오·쿠팡과 거래 말라”… 갑질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60 교육부 간부 "대통령실서 리박스쿨 관련단체 챙겨달라 압력"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9 尹, 124일만 서울구치소 재수감…‘수용번호 3617’ 달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8 의문의 투자 유치…김건희 ‘집사 게이트’ 열리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7 “리박스쿨, 정부 간첩 폭로 때 전두환 알리기” 윤 정부와 사전교감 있었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6 매출 3배 뛰었다…'여름 필수가전' 된 음식물처리기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5 “이달 초 택배노동자 3명 사망…온열질환 의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4 김건희·순직해병 양 특검 동시 수사 선상‥이종호는 누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3 국방부 등 전격 압수수색‥'VIP 격노설' 파헤친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2 한강 수영장서 20개월 유아 숨져…안전요원·CCTV도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51 [단독] 올리브영, 입점만 하면 허위광고도 ‘프리패스’?…부실심사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