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직업의 미래 " 생성형 인공지능(AI)은 3억 개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다. " 골드만삭스가 2023년 3월에 발표한 섬뜩한 예언입니다. 사무·행정직에 종사하는 화이트칼라 노동자가 대체 위험성이 가장 높다는 분석도 함께 내놓았죠. 한국에서도 “2030년엔 일자리 90%가 AI로 대체될 것”(한국개발연구원, 2024)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궁금해집니다. AI 시대에 살아남으려면 무슨 능력이 필요할까요? 새롭게 부상할 직업은 무엇일까요? 미래학자는 직업의 미래를 어떻게 내다볼까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더중앙플러스 '뉴스페어링'에 출연한 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미래학자인 서 교수는 KT경제경영연구소, 한국행정연구원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저서『직업의 미래』를 통해 전례없는 기술 발전과 기후 변화, 인구 위기의 시대에 뒤바뀔 일의 지형도를 조명했다. 장진영 기자

인공지능과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시대는 마냥 비관적일까요. 미래학자 서용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위기의 직업’이 있다면, 반드시 ‘기회의 직업’도 있을 거라고 내다봅니다. 기존의 일자리는 기술 발전에 발맞춰 모습을 바꿀 것이고, 전에 없던 새로운 직업도 탄생할 것이란 예측이죠.

특히 ‘장생시대’라는 개념을 제시하는데요. 서 교수는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에도 신체적·정신적 기능을 젊게 유지하는 신인류가 등장할 것”이라며 “이러한 신고령층에게 ‘노화’ 대신 ‘장생’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싶고, 장생에서 파생되는 산업과 일자리도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장생시대엔 어떤 직업이 부상할까요? 서 교수는 “일종의 인생 코디네이터로서 ‘장생 시대 인생 설계사’가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결혼을 예로 들면, 예전엔 ‘검은 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한 배우자와 사는 게 미덕이었다면, 수명이 100~110세로 늘어나는 장생시대엔 두 번째, 세 번째 결혼이 당연해질지 모른다는 겁니다. 그러면 결혼 회차에 따라 다른 기준으로 배우자를 찾을 수 있고, 이를 돕는 설계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서 교수는 “결혼·건강·재정·연금·상속·좋은 죽음까지, 앞으로 20~30년 늘어날 인생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수행하는 직업이 생겨날 수 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서 교수는 더중앙플러스 '뉴스페어링' 팟캐스트에서 ①기술 발전 ②인구구조 변화 ③기후 위기라는 키워드에 맞게, 새롭게 탄생할 다양한 직업을 설명했는데요. 그 중에선 전문 자격증이나 학위가 필요 없는 직업도 있었습니다. 미래학자가 예측한 새로운 직업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또 서 교수는 “AI 활용 능력도 중요하지만, 기계가 절대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이 능력’을 기르는 게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는데요. 의사, 판검사 등 전문직도 미래엔 ‘이 능력’이 없으면 생존이 어렵다고 합니다. 어떤 능력을 키워야 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계속)
서용석 교수 인터뷰 전문엔 다음 내용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는 절대 못 한다…살아남을 직업들
-초고령화 시대에 탄생할 직업들
-5060도 쉽게 할 수 있는 AI 공부법
-미래 시대 흥하는 창업 분야
-자격증 대신 갖춰야 할 ‘이 능력’
☞ “세 번째 결혼도 당연해진다” AI 시대도 버틸 뜻밖의 직업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3864
추천! 더중플 - '뉴스페어링' 팟캐스트 ▶IQ보다 ‘이 행동’부터 봅니다…카이스트의 찐영재 판별법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수많은 영재를 지켜봐 온 이성혜 KAIST 영재교육센터장은 “지능이 높은 아이가 영재라는 건 1980년대까지만 유효했던 기준”이라며 “영재성을 기르려면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부터 조기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도 오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진짜 영재를 가리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KAIST는 어떻게 영재를 선발할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6826

▶팔란티어, 전쟁 끝나도 뛴다…이 뉴스 터지면 그때 팔아라
한국인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 미국 기업 팔란티어의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AI 업계의 변화를 살피는 강정수 블루닷AI연구센터장은 ‘이런 뉴스’가 나오면 주식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하죠. ① 팔란티어 주가 상승의 진짜 이유와 ② 산업 재편에 따른 가장 현실적인 미래 전망 ③ 매도를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리스크까지 살펴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022

▶학벌 참아도 이건 못 참아…요즘 결혼때 인기 없어진 '직업'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된 시대, 결혼 시장의 트렌드는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요?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은 듀오의 박수경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①10년 사이 인기 뚝 떨어진 ‘이 직업’ ②전문직은 S급, 월급쟁이는 C급? 등급표의 진실 ③“서로 맞추기 힘들다” 상극인 두 성향 ④자녀 결혼 고민인 부모가 명심해야 할 것 등을 알아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08

▶그녀가 통일교 돈가방 받았다…건진법사 폰 ‘천사 부인’ 정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554

▶“여자 나눠줘” 도태남도 떴다…자살 날짜 박는 2030 남자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05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939 편의점 알바생, 한밤의 무단퇴사… 점주 "가게 8시간 텅텅 비었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8 尹 불출석에 지귀연 '어리둥절'‥"출정 거부인가?" 질문도 랭크뉴스 2025.07.10
53937 윤석열, 영원히 사회와 격리되나…“감옥 나올 가능성 거의 없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6 관세로 들썩이는 구리… 대서양 사이에 두고 수익률 격차 커 랭크뉴스 2025.07.10
53935 ‘3대 특검’ 모두 걸친 윤석열···재구속으로 김건희·채상병 특검 수사도 ‘탄력’ 랭크뉴스 2025.07.10
53934 폭염에 에어컨 풀가동···전력수요 폭증에도 수급엔 여유가 있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3 구속된 尹, 당일 오전 내란재판 불출석…특검-尹측 법정 충돌(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932 지구온난화 영향? 삼척서 길이 3m·무게 226㎏ 황새치 잡혔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1 국민의힘, 강선우 후보자에 “갑질 의혹 사실이라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10
53930 민주 45% 국힘 19%…국힘 지지율 20%대도 무너졌다 [NBS] 랭크뉴스 2025.07.10
53929 미국 다녀온 위성락 안보실장 “3가지 주로 얘기했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10
53928 이 대통령 지지율 65%…윤석열 구속 찬성 71% [NBS] 랭크뉴스 2025.07.10
53927 트럼프, '영어 공식어' 라이베리아 대통령에게 "영어 잘하네" 랭크뉴스 2025.07.10
53926 기상청·대구시도 권장? 이제는 여름 무기 된 ‘이것’ 랭크뉴스 2025.07.10
53925 이재명 대통령 국정 긍정평가 65%···국민의힘 지지는 19%로 하락[NBS] 랭크뉴스 2025.07.10
53924 ‘재구속’ 윤 전 대통령, 내란 재판 불출석…“건강상 이유” 랭크뉴스 2025.07.10
53923 요거트 뚜껑 핥아먹어요?… 아이돌 데뷔한 신세계 외손녀의 대답은 랭크뉴스 2025.07.10
53922 [속보] 내란특검 "오늘 내란 재판 진행 중‥尹 내일 조사 예정" 랭크뉴스 2025.07.10
53921 ‘재구속’ 윤 전 대통령, 오늘 오전 내란 재판 불출석 전망 랭크뉴스 2025.07.10
53920 [속보] 한은총재 “집값 상승 속도, 작년 8월보다 빠르다”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