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 취임 직후 불공정거래 엄단 지시에
금융위·금감원·거래소 합동 대응단 신설
34명 규모... 조사심리 2년→6개월로 단축
과징금에 거래제한 명령 등 적극 행정제재
대주주·경영진 공개... 시장에서 즉시 퇴출
이윤수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가운데), 이승우 금융감독원 부원장보(왼쪽), 김홍식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 실천방안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자본시장 불공정행위 엄벌 지시에 정부가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한다. 주가조작을 감시할 합동대응단을 신설해 신속하게 조사하고, 주가조작범은 이름까지 공개해 아예 시장에 발을 못 붙이게 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 실천 방안'을 발표했다. 시세 교란 행위를 차단해 건전한 시장 질서를 확립하는 것은 코스피 5000 달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 대통령의 핵심 관심 사안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취임 직후 첫 외부일정으로 거래소를 방문해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 불공정거래 하면 패가망신이라고 느끼게 해야 한다"며 적발시스템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우선 이달 말 신설되는 합동대응단은 부처간 불필요한 칸막이를 없애 주가조작을 조기에 적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간 이상거래 감시·심리(거래소), 자금추적 등 임의조사권(금감원·금융위), 압수수색 등 강제조사권(금융위) 기능이 흩어져 있어 신속함이 최우선인 긴급·중요사건 대응이 지연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주가조작범이 시세차익을 회수하고 증거까지 인멸할 시간을 준다는 지적이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이에 정부는 여의도 거래소에 합동대응단을 설치, 3개 기관이 한 곳에서 유기적으로 협업하기로 했다.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을 단장으로 34명의 직원이 사건 발생 초기부터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이윤수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은 "평균적으로 15~24개월 걸리던 심리조사 기간이 6, 7개월로 줄어들 것"이라며 "향후 50명 이상으로 증원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대응단은 △재범률이 높은 전력자 △대주주·경영진 △사회관계망서비스(SNS)·허위보도 악용 등을 중점 조사한다. 새롭게 구축한 전력자 데이터베이스를 우선 조사하고, 현장조사·포렌식 등 강제조사권도 필요 시 적극 발동한다. 주식 커뮤니티나 유튜브 방송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계좌 거래내역 등을 분석할 방침이다.

거래소의 시장감시시스템도 '계좌' 기반에서 '개인' 기반으로 전환된다. 기존 시스템에선 감시해야할 계좌가 너무 많은 데다(2,317만 개), 동일인 연계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당국은 감시체계 개편으로 감시대상이 39% 감소하고 자전거래 등 탐지 정확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도 활용해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종목을 신속하게 선별한다.

주가조작범은 시장에서 즉시 퇴출시키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한다. 범죄수익의 최대 2배 과징금을 부과하고 불법거래에 쓰인 계좌 지급정지, 상장사 임원 선임·재임 제한, 금융투자상품 거래제한 등 그동안 법상에만 존재하던 강화된 제재를 실제로 적용하기로 했다. 또 중대 불공정거래 행위에 연루된 대주주나 경영진은 이름을 대외에 공표한다. 금융회사 임직원의 직무 관련 미공개 정보이용은 가중처벌하고, 상장사 임원의 중요 전과는 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불법공매도에 대해선 주문금액의 100%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한편, 영업정지 등으로 시장에서 퇴출시킨다는 방침이다.

부실 상장사 퇴출은 빨라진다. 금융당국은 시가총액, 매출액 등 현행 상장유지 기준이 지나치게 낮다고 보고 단계적으로 상향조정하기로 했다. 퇴출 심사 단계도 3심제에서 2심제로 축소해 절차를 효율화한다.

이 상임위원은 "연내 원스트라이크 아웃 사례가 여러 건 나오도록 대응단에서 적극적으로 심리·조사할 것"이라며 "분식회계 관련 패가망신에 준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도록 제재 강화 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추가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816 [단독]오세훈 말처럼…돈 공급량 만큼 집값 올랐다[양철민의 서울이야기]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5 폭염특보 속 '에어컨 끈' 학교‥쏟아진 항의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4 현지 시설 짓고 금융 지원… HD현대·한화, 폴란드 잠수함 수주 경쟁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3 [단독] 김영선, 휴대폰·체어맨 숨겨놨었다…특검 재압수수색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2 돌연 출국 뒤 사라진 '김건희 집사'‥여권 무효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1 "나라 망했다" 오열·욕설…尹 재구속에 지지자들 망연자실 해산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0 머그샷 촬영 후 독방 수용‥이 시각 서울구치소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9 “마음이 생사를 가른다? 췌장암 환자 4명 중 3명은…” [박광식의 닥터K]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8 김건희가 밀었다는 김상민…공천개입 의혹 밝힐 '키맨' 되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7 '똘똘한 한채'는 비과세·지방2채는 과세…세금이 만든 서울 쏠림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6 국민연금에 재산 맡기면 생활비 지급?…"공공신탁제도 도입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5 "밖에 도깨비가 있어요" 구출된 후에도 아이는 두려워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4 윤, 석방 4개월여 만에 재구속‥"증거인멸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3 금강서 물놀이하던 20대 4명 숨져…입수 금지구역서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2 “세 번째 결혼도 당연해진다” AI시대, 대세 된다는 이 직업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1 尹, 넉 달 만에 다시 에어컨 없는 '3평 독거실' 수감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0 “거북선에 새겨진 일장기?”…서경덕 “있을 수 없는 일, 전량 폐기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99 “밤에도 땀 범벅, 얼음물로 버텨”···열대야 속 짐 나르는 하역 노동자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98 윤석열 전 대통령 넉 달만에 재구속…이 시각 서울구치소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97 [단독]‘최후 20분’에도 즉흥발언한 윤석열 “‘계엄 선포문 표지’ 폐기, 사후에 보고받아” new 랭크뉴스 2025.07.10